척수장애인 열 명 중 3명은 방광관리 제대로 안돼

2021.11.26 19:32:41

- 척수장애인 600명조사, 청결간헐적도뇨 보편적이나 여전히 30% 가까이 부적절하게 배뇨
- 청결간헐적도뇨 사용자 ‘만족도 높고 사회활동에 도움’, 69%는 1일 평균 5개 이상 도뇨관 사용
- ‘충분한 도뇨 교육 제공 위한 제도 정비’와 ‘10년간 고정된 도뇨관 급여 비용 현실화’ 필요



대한척수학회(회장 김영우)가 한국척수장애인협회(회장 정진완)와 함께 지난 5월~ 9월까지 전국의 척수장애인 6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방광 관리 실태조사결과를 발표했다. 

방광 기능 손실은 척수손상 이후에 발생하는 가장 심각한 결과 중 하나로, 부적절한 방광관리는 요로감염이나 요 정체(retention), 신장 및 요로결석 등의 2차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심한 경우에는 신장기능 손실이나 신부전으로 인한 사망에 이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대다수의 척수장애인들이 배뇨관리법을 임의로 변경하는 등 배뇨 및 방광관리가 적절하게 시행되지 않고 있으며 이로 인해 다수의 척수장애인들은 감염 위험과 신기능 손상의 위험은 물론이고 낮은 삶의 질을 경험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한척수학회는 한국척수장애인협회와 함께 척수장애인의 도뇨 현황과 만족도 조사를 통해 방광관리 실태를 확인하였다. 

조사 결과 청결간헐적도뇨(CIC, Clean Intermittent Catheterization)는 국내 척수장애인들이 보편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도뇨법(45%, 270명)으로 확인되었으나 여전히 약 30%에 가까운 척수장애인들은 병원 퇴원 시 복압을 이용한 반사배뇨, 배를 두드려 자극해서 배뇨하는 등 권장되지 않는 방식으로 배뇨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청결간헐적도뇨는 척수손상환자가 정상적으로 배뇨를 할 수 없거나 잔뇨가 남는 경우 일차적으로 권장되는 도뇨법으로, 하루에 수차례(간헐적) 도뇨관(카테터)을 통해 소변을 배출하는 방법을 말한다. 청결간헐적도뇨는 척수손상이나 척수질환 환자에서의 소변 배출 방법 중 가장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신경인성방광과 관련된 합병증을 줄이는 데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응답자 대부분은 마비로 인해 손가락 사용이 원활하지 않은 등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본인이 직접 시행(82%, 221명)하고 있었으며, 청결간헐적도뇨 시에는 주로 일회용 코팅 도뇨관(62%, 169명)을 사용하고 있었다. 비코팅 일회용 도뇨관은 19%(52명)에 그쳤다. 또한 응답자들은 평균 하루 5개 이상의 도뇨관을 사용하고 있었다. (69%, 186명)

그러나 여전히 일회용 비코팅 도뇨관 넬라톤을 사용하는 척수장애인의 25%(52명 중 13명)는 일회용품임에도 불구하고 재사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도뇨관 재사용 문제에 대한 교정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외에 청결간헐적도뇨를 이용하는 척수장애인의 74%(202명)는 도뇨법에 만족하고 있었으며, 해당 도뇨법 사용 후 가장 큰 변화로 사회활동이 가능해졌다고 답했다. (62%)

대한척수학회 이범석 부회장은 ”척수손상은 사회활동이 왕성한 청장년층 연령대에서도 많이 발생되므로 척수손상으로 인해 사회활동에 제약이 생기는 것은 사회적으로도 큰 손실이 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청결간헐적도뇨 이후 환자의 다수가 사회 활동을 할 수 있게 되었다고 응답한 것에 비추어보면, 해당 도뇨법이 환자의 방광관리 뿐 아니라, 사회활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설문에 참여했던 척수장애인들은 간헐적도뇨에 대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었으나(63%, 376명), 교육을 받았던 환자의 59%(227명)는 30분 이내의 교육을 받았다고 답했다. 간헐적도뇨와 방광관리에 대한 정보는 의사 및 간호사(34%, 203명), 지인 또는 주변환자(28%, 166명)를 통해 취득했다. 교육주제와 관련해서는 대다수가 합병증 예방 및 대처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72%, 425명)

관련해 대한척수학회 오승준 부회장(차기회장)은 “방광관리는 환자의 방광건강뿐 아니라 전반적인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속적인 교육과 지원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이뤄지고 있는 교육은 청결간헐적도뇨를 익히는 데 충분하지 않고, 잘못된 사용이나 치료의 탈락으로 이어질 수 있는 상황”이라며 “의료진 입장에서 환자 교육을 위한 전문적인 인력을 확보하고 운영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해결방안에 대한 건설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실태조사를 함께 진행한 한국척수장애인협회 정진완 회장은 “척수장애인에 대한 지원이 과거에 비해 개선된 것은 맞지만, 보완되어야 할 부분이 여전히 많다”며 “일례로 도뇨관에 대한 하루 지원금 9,000원은 10년 전에 1,500원짜리 구형 제품 6개를 기준으로 책정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별도의 윤활과정이나, 사용에 통증을 줄여주는 등 사용 편의성을 한층 개선한 제품들이 많다. 이들 제품은 하루 2~4개 밖에 구입하지 못하다 보니 부족한 수량은 자비로 구매해야 하는데 부담이 커, 지원금의 현실화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관련해 정 회장은 한정된 예산의 사용으로 지원 금액 증액이 어렵다면, 일본의 경우처럼 도뇨관의 종류에 따라 지원금액을 다르게 책정하는 지원금 차등제가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참고] 실태조사결과 주요 결과

척수손상에 대하여
척수손상은 척수에 가해진 외상으로 인해 정상적인 운동, 감각 및 자율신경기능에 이상이 생긴 상태를 말하며, 신체적으로나 심리적으로나 심각한 후유장애를 초래하는 질환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척수손상은 흔하지 않은 상해이나, 대부분 젊고 사회활동이 왕성한 사람에서 발생한다. 국립재활원에 등록된 3,395명의 의료기록을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9년 사이 척수손상환자의 절반에 가까운 45.2%가 45세 미만이었다. 동기간 환자의 평균연령은 47.1세였으며 교통사고와 낙상이 가장 흔한 원인이었다.  이 외에도 척수혈관질환, 척수종양, 척수염증 등 질병에 의해서도 발생된다.  손상부위에 따라 감각, 운동신경 외에 방광과 대장기능을 조절하는 자율신경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며 다양한 임상증상을 보이게 된다. 마비에 따라 사지마비, 하지마비로 구분되기도 하며, 신경학적 기능수준에 따라 완전, 불완전 척수손상으로 구분된다.


대한척수학회에 대하여
대한척수학회는 국내 척수손상 치료 분야의 발전을 위해 2000년 발족된 의학회이다. 재활의학과, 비뇨의학과, 신경외과, 정형외과 전문의는 물론,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간호사) 등 다학제적 접근을 통한 학문적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학문적 성장 외에도 척수장애인의 직접적인 참여를 통해 척수 손상 환자를 진료하는 의료진에게 도움을 주는 학회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References
1  Consortium for Spinal Cord Medicine. Bladder management for adults with spinal cord injury: a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health-care providers. Washington, DC, Paralyzed Veterans of America, 2006.
2  Bryce T. Spinal Cord Injury. New York, Demos Medical, 2010
3  Wolfe DL et al. Bladder health and function following spinal cord injury. In: Eng JJ et al., eds. Spinal cord injury rehabilitation evidence, Version 4. Vancouver, Spinal Cord Injury Rehabilitation Evidence (SCIRE), 2012 (http://www.scireproject.com/rehabilitation-evidence, accessed 25 April 2012).
4  Bum-Suk Lee, Onyoo Kim & Daehoon Ham, Epidemiological changes in traumatic spinal cord injuries for the last 30 years (1990–2019) in South Korea, Spinal Cord (2021)
5  Bum-Suk Lee, Onyoo Kim & Daehoon Ham, Epidemiologic changes in nontraumatic spinal cord injury for the last 30 years (1990–2019) in South Korea, Spinal Cord (2021


편집부 기자 news@mdon.co.kr
Copyright @이엠디(메디컴)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컴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254 월드메르디앙1차 1406호 등록번호 : 서울 아03115 ㅣ등록연월일 : 2014.4.21ㅣ발행인 : 박경미 | 편집인 : 설명희ㅣ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경희 전화번호 : 02-6958-5434 ㅣ 팩스번호 : 02-6385-2347ㅣ 이메일 : news@mdon.co.kr Copyright @이엠디(주식회사 메디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