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 진료지침 개정 발간!

  • 등록 2020.05.07 13:44:55
크게보기

WHO의 다제내성결핵 통합 가이드라인 개정・발표(2019.3.)에 따른 결핵 진료지침 개정

각계 의견 수렴 통해 국내 여건에 맞는 표준화된 진료지침 마련
신약・신속진단 제도 개선, 
다제내성결핵 컨소시움 구축 등 환자 관리체계 강화 추진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다제내성결핵* 퇴치를 위해 신속한 진단 및 신약 사용 기준을 담아 결핵 진료지침 4판을 발간하였다. 
  
* 다제내성결핵(MDR-TB, multidrug-resistant tuberculosis)이란, 이소니아지드와 리팜핀 두 가지의 항결핵제에 내성이 있는 결핵균에 의해 발생한 결핵

이번 결핵 진료지침은 2011년 초판 이후 네 번째 개정판으로,  우리나라의 현실에 맞는 결핵 진료 및 관리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본 지침은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가 주관하여 전문가들로 구성된 결핵 진료지침 개발위원회를 통해 개정되었으며, 2019년 3월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의 권고안*을 바탕으로 국내 현실에 맞는 표준화된 다제내성결핵 진단‧치료방법을 담았다.
    
※ 공청회 개최(2019.9.), 2019년 제4차 결핵전문위원회 심의‧의결(2019.10.)

* WHO consolidated guidelines on drug-resistant tuberculosis treatment (WHO, 2019)

우리나라의 결핵 신규환자는 ’19년 2만 3821명(10만 명당 46.4명)으로 2011년 이후 8년 연속 감소중이며, 이 중 다제내성결핵 신규환자는 580명(2.4%)으로 매년 꾸준히 감소하고 있으나, 다제내성결핵 치료성공률은 2017년 64.7%로 선진국의 70-80%에 비해 여전히 낮아 질병부담을 낮추기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
    
* 결핵 신환자수: (2011년) 39,557명 → (2015년) 32,181명 → (2019년) 23,821명
* 다제내성결핵 신환자수: (2011년) 975명 → (2015년) 787명 → (2019년) 580명

  
이번 개정안에서는 치료 성공을 높이기 위해 다제내성결핵 환자를 보다 빨리 진단하고, 초기에도 신약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신속 진단 및 신약 사용 기준을 변경했다.

다제내성결핵 진단에서는 진단 지연을 줄이기 위해 모든 결핵환자의 첫 배양 균주 혹은 항산균 도말 양성 검체에 대해 이소니아지드와 리팜핀의 신속감수성검사를 권고하였다.

또한, 다제내성결핵이 확인된 경우 반드시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퀴놀론계 약제에 대한 신속감수성검사도 추가 권고하였다. 

이에, 정부는 진료현장에서 권고안이 적용될 수 있도록 퀴놀론 신속감수성검사 체계를 구축‧운영한다.
  

[결핵 퀴놀론 신속감수성검사 체계 구축 사업]   
‧ 결핵 1차 항결핵제 내성인 경우 신규검사코드를 생성, 유전자증폭 및 염기서열분석으로 퀴놀론 감수성 검사 결과를 신속하게 병원에 환류
‧ 국내 퀴놀론 신속감수성 검사체계 구축 및 결핵 치료성공률 향상에 기여


다제내성결핵 치료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베다퀼린(신약), 리네졸리드 및 퀴놀론계 약제를 다제내성결핵의 치료초기부터 포함할 핵심약제로 분류하였다. 
   
※ 또 다른 신약인 델라마니드는 WHO에서는 핵심 약제로 분류하였으나, 국내 지침에서는 선택약제(C2군)로 분류, 베다퀼린의 대체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권고

이를 통해, 핵심약제(A, B군) 중심으로 치료가 가능하게 되어, 부작용 위험이 감소되고 환자의 편리성은 증가된다.

심태선 결핵진료지침 개정위원장은 “본 지침은 결핵 환자를 치료하는 임상 현장에서 활용하는 국내 유일한 진료지침으로, 이번 개정을 통해 국내 다제내성결핵의 진단 및 치료 방향을 제시할 뿐만이 아니라, 검사법 개발, 환자진료 형태 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며, 우리나라 결핵 근절에 한 발 다가설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전했다.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진료지침 발간을 위하여 노력해주신 「결핵 진료지침 개정위원회」등 모든 분들께 감사드리며, 일선 의료현장에서 결핵환자를 치료하는 데 유익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히며 “이번 결핵 진료지침 개정에 따라「결핵예방관리 강화대책」 실행계획의 일환인 다제내성결핵 신약 등의 요양급여 확대 및 신속감수성검사 제한 완화 등 관련 제도가 개선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정 본부장은 “다제내성결핵 환자의 치료성공을 높이고자 다제내성결핵 전문 진료기관 지정과 협회(컨소시엄)구축을 준비 중에 있으며, 이를 통해 다제내성결핵 환자관리를 지속 강화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개정된 결핵 진료지침 4판은 5월 7일부터 누리집(질병관리본부, 결핵ZERO,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해 확인 가능하며, 인쇄본은 5월 말까지 민간의료기관‧지자체 등으로 배부할 예정이다.
  
* ① 질병관리본부(http://cdc.go.kr) ② 결핵ZERO(http://tbzero.cdc.go.kr) ③ 질병보건 통합관리시스템(https://is.cdc.go.kr)


결핵 퀴놀론 신속감수성검사 체계 구축 사업 개요

▷ 사업 배경 및 목적

·  (배경) 국내 다제내성결핵 매년 약 600명 발생 및 낮은 치료성공률

·  (현황) 국내 퀴놀론 신속감수성검사는 여건 미비로 검사체계 부재

·  (목적) 국내 퀴놀론 신속감수성검사 체계 구축(단기), 치료성공률 향상(장기)

▷ 사업 개요 및 내용

·  사업명: 2020년도 결핵 퀴놀론 신속감수성 검사사업’

·  수행기간: 2020. 3월 ~ 2020. 12월

·  수행기관: 녹십자의료재단/서울의과학연구소(협력기관)

·  검사방법: 결핵균의 gyrA 및 gyrB 유전자 염기서열분석

·  예상 검사 건수: 2,000건

▷ 사업 체계




                                                                    [ 항결핵제 분류 변경표 ]


[자료 도표 질병관리본부 제공]
편집부 기자 news@mdon.co.kr
Copyright @이엠디(메디컴)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컴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254 월드메르디앙1차 1405호 등록번호 : 서울 아03115 ㅣ등록연월일 : 2014.4.21ㅣ발행인 : 박경미 | 편집인 : 설명희ㅣ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경희 전화번호 : 02-6958-5434 ㅣ 팩스번호 : 02-6385-2347ㅣ 이메일 : news@mdon.co.kr Copyright @이엠디(주식회사 메디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