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 아동 구강건강 실태조사 활용, 더 간편해져!
한국건강증진개발원(원장 조인성)은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의 이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오는 5월 15일부터 원시자료를 기관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제공체계를 개선하였다고 밝혔다.
기존 수기로 신청하여 최대 10일 정도 소요되었던 방식에서 전산을 통해 즉시 신청·제공받을 수 있도록 홈페이지 기능을 추가하고, 자동 관리 시스템을 마련하였다.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 자료 제공 체계

이를 통해 구강건강 관련 연구‧정책개발 활동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누구나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되며, 이용자가 신청하는 즉시 제공 될 수 있도록 신속성을 갖추게 되었다.
*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는 「구강보건법 제9조」에 의거, 아동·청소년의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의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3년 단위로 실시되는 조사이며, 개발원이 해당 자료를 제공·관리하고 있음
원시자료 신청절차는 한국건강증진개발원 홈페이지*에서 본인확인 인증절차를 거쳐,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동의’, ‘원시자료 이용관련 서약’, ‘원시자료 이용계획‘을 작성하면 신청이 완료되고, 그 즉시 원시자료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 홈페이지(http://www.khealth.or.kr) ≫ 사업소개 ≫ 건강증진사업 활성화 ≫ 구강건강증진사업≫ 구강건강실태조사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는 원시자료는 다음과 같다.
▲ 1차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2000년), ▲ 2차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2003년), ▲ 3차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2006년), ▲ 4차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2010년), ▲ 5차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2012년), ▲ 6차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2015년), ▲ 7차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2018년)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조인성 원장은 “이번 개편으로 관계된 학계, 기관을 넘어 다양한 직종에서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 자료가 활용되길 기대하며, 더불어 구강분야의 제도·정책·산업 등 전방위적 연구가 활성화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 개요
1. 조사 개요
· (목적) 국민구강건강 증진 위한 전국 단위 구강 보건 실태 파악
- 구강보건사업 기본계획 수립 및 관리 프로그램 개발 위한 기초자료
- 지역 단위 구강건강상태를 확인하고, 지역 여건이 반영된 실질적인 구강보건사업 추진에 활용
· (법적 근거) 구강보건법 제9조 및 시행령 제4조
* 구강보건법 제9조(구강건강실태조사) ①보건복지부장관은 국민의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의식 등 구강건강실태를 정기적으로 조사하여야 한다.
· (조사 대상) 중학교 324개, 유치원 및 어린이집 327개 총 4만 1670명
- 유치원 및 어린이집(만5세) : 9개도 9,900명, 8개 특·광역시 4,250명
- 중학교 1학년(만12세): 9개도 9,900명, 8개 특광역시 1만 7620명
* 최종분석대상자 수 : 총 3만 2155명 (만 5세 9,784명, 만 12세 2만 2371명)
· (조사방법) 기관방문 조사방식으로 구강건강상태 및 의식조사 수행
· (조사내용)
- 구강건강상태조사(만5세, 12세): 유치우식경험상태, 영구치우식경험상태, 치면열구전색상태, 반점치아상태, 치주건강상태
- 구강건강의식조사(만12세) : 구강건강인식상태, 치과의료이용상태, 구강건강관련행태, 주관적 구강 증상 및 징후경험상태, 가족구성 및 사회경제적 상태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 원시자료 다운방법

[자료 도표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