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보안기술 ‘베리스마트’ 오픈소스 공개

  • 등록 2020.06.03 18:32:40
크게보기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계약’의 보안 취약점 잡았다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계약(컨트랙트) 시스템의 보안 취약점을 자동 분석해 해킹 등 보안 사고를 예방하는 솔루션인 ‘베리스마트(VeriSmart)’가 오픈소스로 공개됐다. 

려대학교(총장 정진택) 소프트웨어보안연구소는 기존의 스마트 계약이 가진 보안상의 취약점을 보완한 베리스마트를 지난 5월 20일 보안 분야 최우수 학술대회인 ‘IEEE 시큐리티&프라이버시(IEEE Symposium on Security & Privacy)’에서 논문으로 발표했다. 또한 해당 솔루션의 오픈소스를 공개하고 누구나 사용해볼 수 있도록 했다. 

* 저자 : 소순범(제1저자), 이명호, 박지수, 이희조, 오학주(교신저자)
* VeriSmart를 직접 사용해볼 수 있는 플랫폼 : IoTCube(https://iotcube.net/veris


 
‘IEEE 시큐리티&프라이버시’는 ‘ACM CCS’, ‘Usenix 시큐리티’와 함께 3대 컴퓨터 보안학회로 꼽힌다. 다른 분야와 달리 보안 및 소프트웨어 분야는 SCI저널보다 우수 학술대회에 논문을 발표하는 것이 훨씬 까다롭다는 것을 감안할 때 그 우수성을 인정받았다고 할 수 있다. 이번 학술대회에는 총 841편의 논문이 접수되었고 이 가운데 12.3%인 104편만이 게재 승인을 받았다. 

스마트계약은 블록체인에서 일정 조건이 충족되면 중개인 없이 거래를 당사자 간 자동으로 체결되는 기술로 블록체인 기반 사업의 핵심 기술이다. 금전 거래 시 많이 활용되지만, 시스템의 허점으로 인해 2017년 패러티 월렛(Parity Wallet)에서 350억원의 피해가 발생하는 등 보안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고려대가 이번에 오픈소스를 공개한 베리스마트는 기존 솔루션의 단점을 보완했다. 베리스마트의 실험 결과 취약점 검출률 100%, 정확도는 99.5%를 기록하여 기존 기술과 비교하면 월등하게 향상된 보안 안정성을 보여줬다. 

검출률은 오류를 찾아내는 능력으로 이번 실험에서는 490개 취약점 중 490개 모두를 찾아냈다. 정확도는 허위 경보가 포함된 상태에서 실제 오류의 비중이 얼마나 높은지를 보여준다. 490개의 취약점을 찾아내는 과정에서 단 2개의 허위 경보만 보고한 것이다. 
 
소프트웨어보안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는 고려대 컴퓨터학과 이희조 교수는 “블록체인 기술의 핵심이지만 그 동안 보안의 취약점이 큰 단점으로 꼽힌 스마트 계약 분야에서 베리스마트가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오픈소스 공개로 많은 사람들이 더욱 보안성이 강화된 스마트 계약을 활용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편집부 기자 news@mdon.co.kr
Copyright @이엠디(메디컴)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컴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254 월드메르디앙1차 1405호 등록번호 : 서울 아03115 ㅣ등록연월일 : 2014.4.21ㅣ발행인 : 박경미 | 편집인 : 설명희ㅣ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경희 전화번호 : 02-6958-5434 ㅣ 팩스번호 : 02-6385-2347ㅣ 이메일 : news@mdon.co.kr Copyright @이엠디(주식회사 메디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