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과제 선정으로 285억원 규모 22개 감염병 대응 기술 포트폴리오 구축
코로나19 포함 호흡기 감염병 R&D 가장 많아…
새 과제 공고 현재 진행 중

글로벌헬스기술연구기금 ‘라이트펀드’(대표 김윤빈/RIGHT Fund)가 코로나19 백신, 진단, 디지털 헬스 기술 개발 프로젝트들을 포함해 감염병 대응에 필요한 17개 R&D에 2020년부터 약 180억원의 기금을 추가 지원한다.
오는 7월 설립 두 돌을 맞는 라이트펀드는 이로써 2019년부터 연구비를 지원하고 있는 5개 감염병 과제를 포함해 총 22개 감염병 과제에 285억원의 기금 투입 결정을 마쳤다.
라이트펀드는 세계 공중보건 증진을 목표로 2018년 보건복지부와 한국 생명과학기업 5개사(SK바이오사이언스, LG화학, GC녹십자, 종근당, 제넥신), 빌앤멜린다게이츠재단의 공동 출자로 만들어진 글로벌 민관협력 연구기금이다. 개발도상국의 보건의료 문제 해결에 필요한 감염병 대응 기술 개발을 위해 한국의 우수한 보건의료 기술력을 활용할 수 있는 중대형 과제(후기 개발 프로젝트)와 소형 과제(전기 개념증명 프로젝트)를 발굴, 선정해 2022년까지 500억원을 지원한다.
라이트펀드가 올해 선정한 R&D에는 코로나19 백신, 진단, 디지털 헬스 기술 개발 프로젝트들을 비롯해 신종 호흡기 감염, 결핵, 말라리아, A형 간염, 수막구균 감염, 흑열병, 장티푸스에 대한 대응 기술 개발 프로젝트 및 패치형 백신 기술 개발 프로젝트 등 17개 과제가 포함됐다. 이는 2019년 하반기 ‘2차 중대형 과제 공모’와 올해 상반기 ‘1차 소형 과제 공모’에서 각각 5개 과제(백신 과제 4건, 진단 과제 1건)와 12개 과제(백신 과제 5건, 진단 과제 5건, 디지털 헬스 과제 2건)가 선발된 것이다. 이번 선정으로 라이트펀드 포트폴리오에서 코로나19를 포함한 호흡기 감염병 R&D가 전체 22개 과제 중 8개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게 됐다.
라이트펀드는 2020년 새롭게 기금 지원을 결정한 과제에 대한 연구비 지원을 선정 과제 별 연구 수행 기관과의 계약 체결을 마무리하는 대로 신속하게 진행할 방침이며, 구체적인 선정 프로젝트와 연구수행 기관은 계약 체결 뒤 라이트펀드 홈페이지를 통해 공지할 예정이다.
김윤빈 대표는 “라이트펀드가 지원하는 연구 과제는 모두 한국의 우수한 백신, 치료제, 진단, 디지털 헬스 기술 개발로 국내 공중보건 향상과 더불어 개도국의 감염병 대응 및 의료 불평등 해소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며 “라이트펀드는 한국의 강점 기술과 개도국의 공중보건 필요도를 연계해 가능한 빠른 시기에 의미 있는 결과물이 도출될 수 있게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라이트펀드는 내년 상반기 연구비 지원을 목표로 개도국의 풍토성 및 신종 감염병 대응에 필요한 백신, 치료제, 진단, 디지털 헬스 연구 과제를 7월 7일까지 공모한다. 공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라이트펀드 공식 웹사이트(http://www.rightfund.org)에서 확인 가능하다.
라이트펀드(RIGHT Fund)에 대하여
라이트펀드(RIGHT Fund: Research Investment in Global Health Technology fund)는 한국정부, 한국생명과학기업, 국제자금지원단체 3자간 민관협력으로 만들어진 국내 비영리재단이다. 한국의 뛰어난 보건의료 R&D 기술력이 글로벌 헬스의 지역 및 소득간 불균형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도록 2018년 7월 설립되었으며, 한국의 법인등록명은 글로벌헬스기술연구기금이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라이트펀드 웹사이트(http://www.rightfund.org)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참고자료] 2019년 라이트펀드 선정 5개 감염병 과제
▷단회 투약 말라리아 신약 후보물질의 경제적이고 안전한 공정 기술 개발 프로젝트(SK바이오텍, MMV:Medicines for Malaria Venture)
▷ 저개발국 5세 미만에게 효과적인 주사제형의 신 접합 콜레라백신 개발 프로젝트(유바이오로직스, 국제백신연구소, 하버드의대)
▷ 저개발국의 필수백신 접종율을 높일 수 있는 6가 백신(DTwP-HepB-Hib-IPV) 공정 개발 프로젝트(LG화학)
▷ 삼일열 말라리아 치료제에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나는 G6PD 결핍증 환자 선별을 위한 G6PD 현장진단기기 저개발환경 맞춤 기술 개발 프로젝트(에스디바이오센서, PATH:Program for Appropriate Technology in Health)
▷ 분자진단을 이용한 4가지 결핵 약제 내성 동시 확인 가능한 광범위약제내성결핵 현장진단장치 개발 프로젝트(바이오니아, FIND:Foundation for Innovative New Diagnostics, 국제결핵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