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향대 부천병원, 비침습·무통증 ‘간 섬유화 스캔 검사’로 간암 발생 위험 조기 진단

  • 등록 2025.09.03 14:22:41
크게보기

● 침습적인 간 조직 검사 없이 간질환 정확히 평가... 안전하고 통증 없어 환자 부담 적어

● 최신 검사 장비 ‘FibroScan 630’ 운용... 실시간 결과 확인 및 상담 가능

 

순천향대 부천병원(병원장 문종호)이 침습적인 간 조직 검사 대신 비침습·무통증의 간 섬유화 스캔 검사를 통해 간암 발생 위험을 조기에 진단하고 있다.

 

간 섬유화는 간이 점점 굳어지면서 탄성이 떨어지고 혈류 흐름이 방해되는 상태를 말한다. 방치하면 간경변이나 간암으로 진행될 수 있어 정확한 진단이 치료 방향 결정에 큰 역할을 한다. 기존 표준 진단법인 간 조직 검사는 절개가 필요한 침습적 검사로, 환자의 통증과 불안은 물론 드물게 심각한 합병증 위험까지 따른다.

 

간 섬유화 스캔 검사는 환자의 우측 옆구리에 검사 장비를 대고 초음파와 진동파를 보내, 간의 탄성도와 지방 함량을 동시에 측정하는 방식이다. 별도의 금식이나 마취·조영제 투여가 필요 없고, 검사 시간이 5~10분 이내로 짧다. 특히 절개나 통증, 부작용이 없어 환자 부담이 적다.

 

순천향대 부천병원은 최신 검사 장비 ‘FibroScan 630’을 운용 중이다. 세계적으로 검증된 표준 장비로 높은 정확도를 자랑하며, 간 섬유화와 지방간을 동시에 평가할 수 있다. 실시간 수치 확인 및 결과 상담도 가능하다.

 

순천향대 부천병원 소화기내과 간클리닉 김영석 교수팀(김상균·유정주 교수)은 항바이러스 치료를 받는 만성 B형 간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간 섬유화 스캔 검사가 간 조직 검사와 동등한 정확도로 간암 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음을 세계 최초로 입증했다. 이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메디슨(Medicine)’에 게재됐으며, 연구진은 이를 근거로 간암 조기 예측에 간 섬유화 스캔 검사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유정주 소화기내과 교수는 간 섬유화 스캔 검사는 통증과 부작용 위험 없이 간 섬유화 정도를 정량화할 수 있는 획기적인 검사다. 최근에는 간경변, 지방간, 간염 등 다양한 간질환 평가에 필수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간경변증이 한번 진행되면 정상 간 상태로 완전히 회복되기 어려우므로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관리로 간 기능 손상과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순천향대 부천병원 소화기내과 유정주 교수가 간 섬유화 스캔 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메디컴 기자 news@mdon.co.kr
Copyright @이엠디(메디컴)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컴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254 월드메르디앙1차 1405호 등록번호 : 서울 아03115 ㅣ등록연월일 : 2014.4.21ㅣ발행인 : 박경미 | 편집인 : 설명희ㅣ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경희 전화번호 : 02-6958-5434 ㅣ 팩스번호 : 02-6385-2347ㅣ 이메일 : news@mdon.co.kr Copyright @이엠디(주식회사 메디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