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삼제품이 의약품에서 식품으로 인식전환 계기, 인삼종주국으로서 위상제고 및 수출 확대에 기여
내년 7월이면 인삼제품의 세계규격화 이루어진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와 한국식품연구원(원장 권대영)은 지난 9월8일부터 12일까지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개최된 제27차 코덱스 가공과채류분과위에서 우리나라가 제안한 인삼제품 세계규격(안)이 심의를 통과하였다고 밝혔다.
세계규격 등재를 위한 이번 4단계 심의에서 회원국 전체의 합의를 도출함에 따라 인삼제품 세계규격 등재 조기 추진*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이는 당초 목표였던 2017년 인삼제품 세계규격 등재 계획보다 2년 앞당겨 이루게 되는 쾌거이다.
* 총 8단계 심의 과정 중 5단계(총회 심의) 및 6단계(회원국 의견 재수렴) 과정 생략, 7단계(분석분과위, 표시분과위 등 기타 분과위 심의) 과정 조기 진행
분과위원회에서 심의가 통과됨에 따라 내년 7월 스위스에서 개최되는 코덱스 총회의 승인절차만 거치게 되면 인삼제품은 명실 공히 코덱스 세계규격으로 등재된다.
인삼제품의 코덱스 세계규격 등재는 세계규격화를 추진한 지 15년 만에 이루어낸 어렵고도 긴 여정의 산물이다. 인삼제품 코덱스 규격화를 제안할 2000년 당시만 해도 인삼은 거의 모든 국가가 식품이 아닌 의약품으로 간주했었다.
그동안 각 국 대표들과의 개별 접촉을 통한 꾸준한 이해와 설득 끝에 인삼제품이 지난 2009년에 아시아 지역규격으로 등재되었으며, 이번 가공과채류분과위 심의를 통해 186개 전체 회원국을 대상으로 하는 세계규격(안)이 통과되었다.
코덱스 세계규격화를 통해 거둔 가장 큰 수확은 인삼을 의약품으로 간주하던 유럽, 중남미 및 태국 등을 포함한 전 세계시장으로 인삼제품을 수출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우리나라가 인삼 종주국으로서 제품의 품질과 안전성 측면 등에서도 가장 앞선 국가임을 다시 한번 국제적으로 확인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인삼제품이 세계규격으로 등재되면 우리나라는 지난 2001년 등재된 김치에 이어 2개의 식품이 코덱스 세계규격을 보유하게 된다. 고추장, 된장은 이미 아시아 지역규격으로 2009년에 등재된 바 있다.
한편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우리 전통식품의 세계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오는 11월 일본 동경에서 개최되는 코덱스 아시아지역조정위원회에 막걸리와 삼계탕을 새롭게 제안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인삼제품 세계규격화 추진 경과
일 시 | 주 요 내 용 |
'00.9 | 제20차 가공과채류분과에 Korean Insam 규격화 제안 |
'01.9 | 제49차 집행이사회에서 규격화 작업 승인 |
'02.9 | 제21차 가공과채류분과에서 논의 중단 (인삼은 식이보조제/약품이므로 CODEX 논의대상 아니라는 유럽 등의 주장) |
'03.7 | 제26차 총회(CAC)에서 규격화 추진 여부 재심의 |
'04.7 | 제27차 총회에서 신규작업 재승인 (아시아지역에서 우선 논의 결정) |
'04.9 | 제14차 아시아지역조정위원회에서 4단계 심의 통과 |
'05.7 | 제28차 총회에서 5단계 심의 (ASEAN 국가 반대(‘규격안의 제품은 약품’)로 3단계 반려) |
'06.3.∼10 | 주요 반대국 순회 방문 및 설득 (중국, 말레이시아, 태국, 인도, 싱가포르 등 5개국) |
'06.11 | 제15차 아시아지역조정위원회에서 4단계 심의 통과 |
'07.7 | 제30차 총회에서 5단계 심의 통과 |
'08.3.∼5. | 분석및시료채취분과, 식품표시분과 승인 |
'08.11 | 제16차 아시아지역조정위원회에서 7단계 심의 통과 |
'09.7 | 제32차 총회에서 8단계 최종 채택(지역규격) |
'10.10 | 제25차 가공과채류분과에서 세계규격 필요성 제안 |
'12.10 | 제26차 가공과채류분과에서 세계규격 전환 작업 추진 합의 |
'13.7 | 제36차 총회에서 세계규격 전환 작업 승인(1단계) |
'14.9 | 제27차 가공과채류분과에서 세계규격(안) 심의 통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