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총리, 광복군 합동묘역 및 이시영 선생 묘소 첫 참배

  • 등록 2019.08.15 18:29:58
크게보기

- 광복절 74주년을 맞아 애국선열들의 헌신에 감사 




이낙연 국무총리는 8월 15일(목) 오전, 광복절 74주년을 맞아 수유리 애국선열 묘역(서울시 강북구)에 있는 광복군 합동묘역과 이시영 선생 묘소를 참배했다.

* (참석) 보훈처 차장(이병구), 강북구청장(박겸수), 이시영 선생 유족

이 총리는 지난 1월 손병희 선생 묘소와 2월 백범 김구 선생 묘소, 3월 한용운·오세창 선생 묘소를 참배한 데 이어, 대한민국 국무총리로서는 처음으로 광복군 합동묘역과 이시영 선생 묘소를 참배했다.

이 총리 참배는 광복절을 맞아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하셨던 애국선열들에 대한 감사를 표하기 위해 이뤄졌다.

광복군 합동묘역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광복군으로 중국 각 지역에서 일본군과 싸우다가 전사하거나 순국한 17위의 합동묘다.

중국에서 무장독립투쟁 활동을 하던 광복군의 유골을 동료가 수습하여 귀국한 후, 후손이 있는 경우 국립묘지에 안장하였으나 후손이 없어 안장되지 못한 선열을 위해 1967년 (사)한국광복군동지회에서 합동묘를 조성했다.

* (안장자) 김성률, 김순근, 김운백, 김유신, 김찬원, 동방석, 문학준, 백정현, 안일용, 이도순, 이한기, 이해순, 전일묵, 정상섭, 조대균, 현이평, 한휘


수유리 애국선열 묘역 현황

구분

성명

서훈

묘역면적

비고

수유리 애국선열

묘 역

(16)

이시영

대한민국장

700

등록문화재

516

김창숙

대한민국장

500

등록문화재

518

이 준

대한민국장

4,800

등록문화재

514

신익희

대한민국장

600

등록문화재

520

손병희

대한민국장

3,000

등록문화재

515

여운형

대한민국장

(대통령장)

300

등록문화재

530

(우이동 소재)

신숙

독립장

600

 

조병옥

독립장

2,500

 

김병로

독립장

300

 

유림

독립장

700

 

김법린

독립장

500

 

김도연

애국장

700

 

신하균

애국장

100

 

양일동

애족장

700

 

서상일

애족장

300

 

이명룡

대통령장

70

(통일교육원 소재)

복군 합동묘역

1

(17)

 

200

광복군동지회 조성

※ 광복군 합동묘소(’67.4.27.조성) : 광복군으로 중국 각 지역에서 일본군과 싸우다 전사 또는 순국한 17위 합동묘


성재 이시영 선생은 서울 출생으로 1905년 신민회를 조직하고 구국운동을 벌였으며, 1910년 가족 50여명을 이끌고 중국 유하현(柳河縣) 추가가(鄒家街)로 망명했다.

1911년 경학사와 신흥강습소 설립을 주도하고 1912년 신흥강습소를 신흥무관학교로 발전시켰으며, 1919년 상해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하여 법무총장, 재무총장 등을 재임하였다.

이에 대한 공훈을 인정받아 1949년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받았다.

한편, 정부는 그간 국가차원의 관리가 미흡했던 국립묘지 외 독립유공자의 묘소를 체계적으로 관리해나갈 계획이다.

이와 관련하여 독립유공자 묘소 실태조사 주기적 실시, 묘소 정보 시스템 개발, 합동묘역의 국가관리묘역 지정․관리, 묘소 미확인 독립유공자 유족 DNA 채취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편집부 기자 news@mdon.co.kr
Copyright @이엠디(메디컴)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컴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254 월드메르디앙1차 1405호 등록번호 : 서울 아03115 ㅣ등록연월일 : 2014.4.21ㅣ발행인 : 박경미 | 편집인 : 설명희ㅣ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경희 전화번호 : 02-6958-5434 ㅣ 팩스번호 : 02-6385-2347ㅣ 이메일 : news@mdon.co.kr Copyright @이엠디(주식회사 메디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