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성 자궁내막암 신치료 프로토콜 관련 임상 시험 결과
자궁내막암은 본래 서양에서 발병률이 높은 질환이다. 하지만 최근 우리나라에 서양식 생활양식과 식습관이 정착함에 따라, 자궁내막암으로 병원을 찾는 여성 환자들이 많아지고 있다.
2013년 12월, 중앙암등록본부가 발표한 통계자료에 의하면, 2011년에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218,107건의 암 발생 중 자궁내막암은 1,770건으로 전체의 약 0.81%를 차지했다.
자궁내막암은 조기에 발견해 바로 치료를 받는다면 완치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3기, 4기의 진행성 자궁내막암의 경우 국소적 또는 전신성 재발이 흔하여 예후가 좋지 않다*.
* 미국 암학회 보고에 의하면 1기에 치료했을 경우 생존율은 80% 내외, 2기는 70% 내외다. 하지만 3기에 치료했을 때의 생존율은 50% 내외이며 4기인 경우에는 10% 내외에 불과하다.
이와 관련해 최근, 고위험 자궁내막암 치료를 위한 새로운 프로토콜을 연구한 임상시험 결과가 발표돼 관심을 끌고 있다.

▲ 김재훈 교수
연세대학교 강남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 김재훈·조한별 연구팀과 대한부인종양연구회(Korean Gynecologic Oncology Group, KGOG)는 재발 위험이 높은 고위험 자궁내막암 환자에게 수술 후 항암 치료와 방사선 치료를 동시에 시행하는 새로운 치료 프로토콜을 만들고 그 효과와 부작용을 살피는 다기관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 대상은 2006년 1월부터 2008년 3월까지 대한부인종양연구회(KGOG)에 소속된 전국의 20개 대학병원에서 진행성 자궁내막암(3기 또는 4기)으로 진단받은 52명의 환자였다. 연구팀은 대상 환자에게 수술 후 방사선 치료(총량 4500-5040cGy)를 매주 5회씩, 총 25~28회 가량 시행하고, 동시에 항암제(Paclitaxel 60mg/m2)를 일주일 간격으로 총 6회에 걸쳐 투여하는 새로운 프로토콜을 구축, 치료에 적용했다.
5년간 이들 환자에게서 나타난 부작용과 치료 성적을 추적 관찰한 결과, 19명(전체의 36.5%)에게 자궁내막암이 재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거에 시행된 다국적 임상 연구의 치료 결과에 비해 적은 수치다. 또, 5년간 무병 생존율은 63.5%, 전체생존율은 82.7%로 분석되어 이 역시 과거 임상 연구에 비해 좋은 결과를 보였다.
* 골반내 재발은 1.9%(1건)이었고 폐, 간, 뼈 등 골반외 기관에서 암이 재발한 비율은 34.6%(18건)로 나타났다.
가장 주목할 점은 자궁내막암 3기 환자들만의 5년 생존율이 88%에 달했다는 것인데, 이는 기존 방법으로 치료했을 때 3기 생존율이 50% 내외임을 감안했을 때, 30%이상 향상된 성적이다.

▲ 조한별 교수
결과적으로 연구팀은 진행성 자궁내막암 환자에게 수술 후 항암 치료와 방사선 치료를 동시에 시행하는 요법이 국소적 또는 전신적 재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임을 입증했다.
특히 예후가 좋지 않은 3, 4기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해 새로운 치료 프로토콜이 고위험군 환자에게서 메우 효과적임을 밝혔다. 이에 대해 연구를 이끈 강남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 조한별 교수는 고위험 자궁내막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연구 대상의 동질성을 확보한 것이 기존 연구에서 진일보한 성과임을 강조했다.
고위험 자궁내막암은 수술적 치료만으로는 좋은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수술 후 많은 보조 치료가 동반된다. 하지만 아직까지 표준화된 수술 후 보조 치료법이 없고, 암 재발률은 여전히 높은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연구는 치료 성적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치료법을 제시했다는데 가장 큰 의의가 있으며 연구팀은 “앞으로도 진행성 자궁내막암 환자의 치료에 대한 적극적이며 다국적인 임상 연구가 수행되기를 기대 한다”고 전했다.
논문은 지난해 말, 종양학 및 방사선 치료 부문에서 상위권에 속해 있는 저널 「International Journal of Radiation Oncology, Biology, and Physics ( IF: 4.176)」에 게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