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관절 이상과 귀 먹먹감의 연관성 규명

  • 등록 2019.01.01 19:44:20
크게보기

보라매병원 김영호 교수·서울의대 치과 박지운 교수팀, 'The Laryngoscope'에 게재

알 수 없는 귀 먹먹감 계속되면 턱관절 이상 유무 확인해야
환자 34명 대상 턱관절 치료 실시 후 귀 통증 50%이상 호전돼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원장 김병관) 이비인후과 김영호 교수·서울의대 치과 박지운 교수가 턱관절 이상이 귀 먹먹감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귀 먹먹감은 일반적으로 외이도에서 내이에 이르는 통로나 청각기관의 결함으로 인해 귀에 압력이 가해지는 느낌이나 귀가 막히는 느낌이 드는 증상을 말한다. 귀 먹먹감이 계속되는 경우에는 대개 중이염이 관찰되고 드물게 난청이 확인되기도 한다. 그러나 귀에 특별한 질환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에는 정확한 원인을 판별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귀 먹먹감이 이어져 괴로움을 호소하기도 한다.

보라매병원 이비인후과 김영호 교수·서울의대 치과 박지운 교수팀이 2010년 5월부터 2016년 11월까지 지속되는 귀 먹먹감으로 내원한 4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턱관절 MRI 검사를 실시한 결과, 80.9%에 해당하는 34명에게서 턱관절 이상소견이 발견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당 환자들을 대상으로 개별적인 턱관절 치료를 실시한 결과, 이전에 비해 환자가 느끼는 귀 먹먹감이 유의하게 해소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제로 턱관절 치료 전 후의 통증평가척도검사(VAS) 결과를 비교했을 때 이전에 비해 환자들의 귀 통증 정도가 50% 이상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관련해 김영호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귀와 특별한 관련이 없는 귀 먹먹감이 턱관절 이상과 상당한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최초로 규명했다”며 “귀 염증이나 청각 이상 없이 귀 먹먹감을 호소하는 환자들의 경우 빠른 시일 내에 턱관절 이상 여부를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또한, 김 교수는 “해당 연구 결과는 MRI 촬영을 통한 턱관절 검사가 알 수 없는 귀 먹먹감의 원인을 판별하고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최근 미국 이비인후과학회지 The Laryngoscope에 게재되었다. 
편집부 기자 news@mdon.co.kr
Copyright @이엠디(메디컴)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주)메디컴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254 월드메르디앙1차 1405호 등록번호 : 서울 아03115 ㅣ등록연월일 : 2014.4.21ㅣ발행인 : 박경미 | 편집인 : 설명희ㅣ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경희 전화번호 : 02-6958-5434 ㅣ 팩스번호 : 02-6385-2347ㅣ 이메일 : news@mdon.co.kr Copyright @이엠디(주식회사 메디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