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위산분비억제제와의 차별화, 글로벌 블록버스터로 육성CJ헬스케어(대표: 곽달원)가 개발 중인 새로운 기전의 위식도역류질환 치료 신약 CJ-12420이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 과제로 선정되어 16일 서울 서대문구 소재 KTG 서대문타워에서 (재)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 (단장 이동호)과 위식도역류질환 치료 신약 CJ-12420의 연구지원 협약을 체결했다.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은 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가 참여하는 국가 RD사업으로, 글로벌 신약 10개 이상 개발 등을 목표로 삼아 2020년까지 총 1조 600억원(정부 5,300억원, 민간 5,300억원)을 투자하는 글로벌 신약개발 프로젝트다. 이번 협약으로 CJ헬스케어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기술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중국에서 CJ-12420의 임상개발을 추진하는 등, 차세대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 신약을 개발하는데 탄력을 받게 되었다. CJ-12420은 CJ헬스케어가 글로벌 무대를 목표로 개발 중인 신약으로, 칼륨경쟁적 위산분비억제(Potassium Competitive Acid Blocker, 이하 P-CAB) 기전의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다.새로운 기전인 P-CAB기전으로 도전장을 내민 CJ
구입가 미만 판매 금지로 소비자가 싼 가격에 상품을 구입할 기회를 박탈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노대래)는 다단계판매업자인 한국암웨이(이하 암웨이)가 2008년 9월 1일부터 소속 다단계판매원에 대하여 자신이 암웨이로부터 구입한 가격보다 낮은 가격으로 판매하지 못하도록 하고 이를 강제한 행위에 대하여 시정명령을 부과하였다.암웨이는 2008년 9월 1일부터 소속 다단계판매원에 대하여 자신이 암웨이로부터 구입한 가격보다 낮은 가격으로 판매하지 못하도록 하여 최저 재판매가격을 유지하였다.암웨이는 소속 다단계판매원의 준수사항을 규정한 「윤리강령 및 행동지침」에 위 내용을 규정하고 2008년 9월 1일 시행하였고, 이에 앞서 홈페이지 공지사항 화면을 통하여 이러한 내용을 공지하고, 모든 다단계판매원에 교부하는 판매원수첩에 이를 반영하였다. 암웨이는 위 규정을 위반한 다단계판매원에 대하여 일정 기간 자격을 정지하는 등 엄격히 제재하였으며,자격이 정지된 다단계판매원은 판매활동이나 하위판매원 모집활동을 할 수 없고 후원수당도 지급받지 못했다.자격정지된 다단계판매원은 판매활동이나 하위판매원 모집활동을 할 수 없고 후원수당도 지급받지 못하며,소비자는 싼 가격에 상품을 구입할 수 있
⊡ 김옥선의 근작들을 처음으로 선보이는 전시■ 정면 초상의 형식으로 나무의 동질성이 반복되어 각각의 존재가 극대화 되는 연작전시개요한미사진미술관은 오는 2014년 8월 9일부터 9월 6일까지 김옥선의 근작 《The Shining Things》를 처음으로 선보인다. 이번 전시는 김옥선 작가가 《No Direction Home》 이후 꾸준히 작업해오던 새로운 연작을 처음으로 공개하는 자리이며, 전시와 더불어 50여점의 작품이 실린 사진집도 함께 발간할 예정이다.The Shining Things 거기 있음에 나무 한 그루가 있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평범한 나무이다. 움직이지도 않고 항상 그 자리에 있어 지나쳐 버릴 수도 있는 보통 나무인데 사진 속 나무는 바람에 기울어진 형태와 사시사철 푸른 잎이 어색하고 화면의 중앙에 자리 잡은 굵은 가지와 그것을 감싸는 마른 가지들이 혼란스러운 듯 어우러져 있어 다시 한 번 바라보게 된다.김옥선은 드라마틱한 요소들로 새로운 상황을 만든 아름다운 사진을 보여주지 않는다. 그저 있는 그대로를 관찰하고 기록하는 사진가이다. 한국 사회에 오랫동안 자리 잡아온 가족의 개념과 다른 국제결혼 커플, 동성애 커플을《Happy
식품의약품안전처는 16일, ‘졸피뎀’과 '프로포폴' 제제 허가사항 변경지시를 공고했다.졸피뎀은 ‘이 약을 복용한 다음날 운전 또는 완전히 각성된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다른 행동에 장애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취침 직전에 1회 복용하되 약물 복용 후 기상 전까지 최소 7-8시간의 간격을 두도록 한다.’ 는 내용이 추가되었다.한편 '프로포폴'은 '유해사례분석결과에 따른 이상반응으로 국내 의약품 유해사례보고자료(1989-2013년 상반기)를 분석한 결과, 유해사례가 보고된 다른 의약품에서 발생한 유해사례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이 보고된 유해사례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다만, 이로서 해당성분과 다음의 유해사례 간에 인과관계가 입증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 정신신경계: 약물남용 * 심장: 청색증 * 기타: 사망(약물남용으로 인한 사망의 경우를 포함한다)' 는 내용이 추가되었다.* 졸피뎀 품목현황 번호전문/일반제품명업소명1전문의약품산도스졸피뎀정10mg(주석산졸피뎀)한국산도스(주)2전문의약품졸뎀속붕정(졸피뎀타르타르산염)보령제약(주)3전문의약품졸피드정(주석산졸피뎀)한미약품(주)4전문의약품도미졸정10밀리그램(졸피뎀타르타르산염)(주)사노피아벤티스코리아5전
보건복지부(장관 문형표)는 18일 기획조정실장에 최영현 보건의료정책실장을 전보발령하고, 보건의료정책실장에 권덕철 보건의료정책관, 사회복지정책실장에 김원득 前국무조정실 사회총괄정책관을 임용하는 등 실국장급 13명에 대한 인사를 단행했다고 밝혔다.최영현 기획조정실장은 제주출신이며 성균관대 사회학과, 서울대 행정대학원을 마쳤으며 행시 29회로 생명과학단지조성사업단장, 인천공항검역소장, 건강보험정책관, 장애인정책국장, 대통령실 보건복지비서관, 보건의료정책실장을 역임하였고,권덕철 보건의료정책실장은 전북출신으로 성균관대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슈파이어행정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행시 31회로 재정기획관, 보건의료정책과장, 대통령비서실 선임행정관, 보육정책관, 복지정책관을 거쳐 최근까지 보건의료정책관으로 근무하였다.김원득 사회복지정책실장은 경북출신으로 경북대 독어교육학과, 서울과학기술대 IT정책전문대학원 박사과정을 수료하였으며, 행시 30회로 공직에 입문하여 국무총리실 사회정책총괄과장, 문화노동정책관, 사회총괄정책관, 사회복지정책관 등을 역임하였고 지난해 11월부터 새누리당 정책위원회 수석전문위원으로 근무하고 있다.아울러, 실장급 인사에 따른 후속 국장 인사로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의료기기 제조·수입업체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2014년도 의료기기 제도개선 민원설명회’를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개최했다.이번 설명회는 행정절차의 개선 방안 및 업계의 애로사항 등을 주제로 식약처 의료기기정책과와 정보기술과 관리과 관계 담당 공무원들이 직접 나와 제도개선을 설명했다.주요내용은 ▲‘14년 의료기기 법령 개정 사항 ▲전기·기계적 안전에 관한 공통기준규격 개정사항 ▲의료기기정보기술지원센터사업 안내 ▲전자파 안전에 관한 공통기준규격 개정사항 ▲하반기 의료기기 사후감시 계획 ▲의료기기 GMP 개정사항 등이다. [첨부파일 ‘2014년도 의료기기 제도개선 민원설명회 발표자료 ’]1. 의료기기법령 주요 내용 및 개정방향2. ‘전기·기계적 안전에 관한 공통 기준규격’ 개정3. 의료기기 활성화를 위한 의료기기정보기술센터 지원전략4. ‘식약처고시 제2014- 호: 제3판 변경요약 (의료기기전자파 공통기술기준)5. 의료기기 사후광리에 대한 이해6. 의료기기 GMP 재도 개선사항
7월 24일까지 의협에서 구체적인 시범사업안 제시할 경우 논의 재개 예정원격의료의 안전성 및 유효성 검증을 위한 醫․政공동 시범사업과 관련하여, 보건복지부는 의협과의 논의가 중단되고 원격모니터링중심으로 시범사업을 추진할 계획임을 밝혔다.의사-환자간 원격모니터링(지속적 관찰, 상담․교육)은 현재에도 해석상 가능하나 건강보험 미적용. 향후 수가개발 등 건보적용 방안 마련 계획이며, 의사-의료인간 원격자문(의료지식․기술지원)은 현행 법률상 허용되어 있고, 의사-환자간 원격진료(진단 및 처방)은 현행 법률상 금지다.보건복지부와 대한의사협회는 3월 17일 의정합의 이후 醫․政 공동 원격의료 시범사업 추진을 위해 수차 협의해 왔으나, 지난 5월 30일 원격의료 시범사업 실시방안 합의이후, 대상지역이나 참여 의료기관 선정 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의료계가 제시하지 않아 착수가 지연되고 있다.이에 따라, 복지부는 원격모니터링부터 우선 시작하고, 진단․처방을 하는 원격진료는 의료계가 우려를 표명하고 있으므로 준비기간을 거쳐 착수하는 방안을 의협에 제안하였으나, 이후 16일이루어진 의정합의 이행추진단 회의에서도 원격의료 시범사업과 관련한 의협의 구체적인 내용 제시가 없었음을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정승)는 `12년부터 자율적인 나트륨 저감화 사업을 실시한 이 후 나트륨 함량을 줄인 9개 식품군 165개 제품의 나트륨 함량 감소 수준을 조사한 결과, 평균 21.0% 줄었다고 밝혔다.올해 상반기에만 나트륨 함량을 줄인 제품 수가 70개로 조사되었으며, 나트륨 함량은 22.4% 줄었는데 식품군별로는 라면류가 60개로 가장 많았고, 장류(16개), 김치류(9개), 치즈류(9개) 순이었다.⊙라면류 (`、14년 6월 기준)제 품 명1회 제공량 당 나트륨함량(mg)저감률(%)제 품 명1회 제공량 당 나트륨함량(mg)저감률(%)농심 감자면1,750 9.33 김치 왕뚜껑1,930 15.72 농심라면 육개장1,780 10.10 볶음김치면1,980 28.52 얼큰한 너구리1,700 13.27 왕뚜껑1,77029.20 육개장 큰사발1.61020.51우동 왕뚜껑1,65017.10김치 큰사발1,430 22.28 빅3 볶음 김치면1,980 22.35 새우탕 큰사발1,71013.68 도시락 새우탕1,850 16.29 새우탕컵1,230 15.17 오뚜기 진라면1,540 21.83 辛라면큰사발1,550 20.92 오뚜기 열라면1,530 21.94 신라면사발(기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