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신경계, 심혈관계 및 비뇨생식기계 의약품이 전체 69%차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정승)는 ’14년 제네릭의약품 개발을 위한 생물학적동등성(이하 ‘생동성’)시험계획 승인 현황을 분석한 결과, 승인건수는 총 156건으로 ‘13년(163건)과 비슷한 수준이며, 제형 변경 등 새로운 패턴 의약품과 비뇨·생식기계의약품 개발 증가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러한 ‘14년 제네릭의약품 개발 동향은 국내 제약사들의 연구 개발 분야 투자 확대, 세계적 인구 고령화 및 재심사·특허 만료 도래 등에 기인한 것으로 파악된다.
  
* 생물학적 동등성시험: 생물학적 동등성을 입증하기 위한 생체시험으로서 동일 주성분을 함유한 두 제제의 생체이용률이 통계학적으로 동등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시험
식약처장은 ‘14년도에는 ▲오리지널의약품의 제형 변경 등 새로운 패턴 의약품 개발 ▲비뇨․생식기계의약품 증가와 심혈관계 및 소화계의약품 감소 ▲재심사 만료 및 특허 종료예정 의약품 개발 집중 등이 주요 특징이라고 밝혔다.
 〈오리지널의약품의 제형 변경 등 새로운 패턴 생동성시험 승인 건수 증가>
새로운 제형(동일투여 경로) 개발 및 함량변경 등을 위한 생동성시험 승인 건수는 ‘13년(6건)에 비해 ’14년(28건)에는 4배이상 증가하였다. 
이는 제약사가 기존의 단순 제네릭의약품에서 벗어나 제제 개선 등 다양한 제품을 개발하여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시도로 볼 수 있다. 
제형변경을 위한 승인이 20(71.4%)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중 9건은 관절염 치료제인 ‘세레콕시브’를 캡슐에서 정제로 제형을 변경한 것이다.
  〈치료영역 별로는 비뇨․생식기계 증가, 심혈관계 및 소화계 의약품 감소〉
치료영역별 승인건수는 정신신경계의약품 41건(26.3%), 심혈관계의약품 33건(21.2%), 비뇨․생식기계의약품 33건(21.2%) 등의 순서로 많았다.
                            2014년 치료영역별 승인 현황
| 
 약효군  | 
 건수  | 
 백분율(%)  | 
| 
 정신신경계의약품(소염진통제, 우울장애, 간질치료제 등)  | 
 41  | 
 26.3   | 
| 
 심혈관계의약품(고혈압, 고지혈증치료제)  | 
 33  | 
 21.2   | 
| 
 비뇨생식기계의약품(발기부전치료제 등)  | 
 33  | 
 21.2   | 
| 
 대사성의약품(당뇨, 통풍치료제 등)  | 
 20  | 
 12.8   | 
| 
 소화계의약품(위·십이지장궤양치료제등)  | 
 10  | 
 6.4   | 
| 
 항암제  | 
 9  | 
 5.7   | 
| 
 기타  | 
 10  | 
 6.4  | 
| 
 총합계  | 
 156  | 
 100  | 
 
불안 및 우울장애, 관절염치료제 등 정신신경계의약품은 현대 사회 스트레스 증가 및 고령화 등의 영향으로 2011년 이후 처음으로 심혈관계의약품을 제치고 가장 많이 승인되었다.
고지혈증․고혈압치료제 등 심혈관계의약품은 지난해 33건이 승인되어 ‘13년(50건)에 비해 34% 감소하였고, 위·십이지장궤양 치료제 등 소화계의약품도 지난해 10건이 승인되어 ’13년(22건)에 비해 54%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특히 승인된 심혈관계의약품(33건) 중 18건(54.5%)이 복합제로 나타났으며, 이는 만성질환의 병용투여를 대신하여 복용방법 편의 등을 고려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또한 발기부전치료제 등 비뇨․생식기계의약품의 경우 제약사의 개발이 두드러졌는데, ’13년(5건)에 비해 33건으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는 치료목적 이외에 삶의 질을 높이는 제품의 시장수요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재심사 만료 및 특허 종료 예정 의약품에 집중〉
‘14년도 승인된 156건 중 재심사 만료예정 또는 특허 종료예정인 오리지널품목에 대한 제네릭의약품 생동성시험승인은 68건(43.6%)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순위  | 
 성분명  | 
 건수  | 
 적응증  | 
| 
 1  | 
 타다라필  | 
 20  | 
 발기부전치료제  | 
| 
 2  | 
 암로디핀베실산염/올메사르탄메독소밀  | 
 9  | 
 고혈압치료제  | 
| 
 3  | 
 세레콕시브  | 
 8  | 
 관절염치료제  | 
| 
 4  | 
 실로도신  | 
 6  | 
 전립선비대증에 수반하는 배뇨장애  | 
| 
 5  | 
 둘록세틴염산염  | 
 5  | 
 우울장애 및 범불안치료제  | 
| 
 시타글립틴인산염수화물/메트포르민염산염  | 
 5  | 
 제2형 당뇨병치료제  | 
| 
 에스오메프라졸마그네슘  | 
 5  | 
 위·십이지장궤양치료제  | 
| 
 8  | 
 게피티니브  | 
 4  |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 
| 
 로수바스타틴칼슘  | 
 4  | 
 고지혈증치료제  | 
| 
 시타글립틴인산염수화물  | 
 4  | 
 제2형 당뇨병치료제  | 
| 
 아토르바스타틴칼슘삼수화물  | 
 4  | 
 고지혈증치료제  | 
| 
 암로디핀베실산염/텔미사르탄  | 
 4  | 
 고혈압치료제  | 
| 
 13  | 
 도네페질염산염  | 
 3  | 
 치매치료제  | 
| 
 라록시펜염산염  | 
 3  | 
 골다공증치료제  | 
| 
 솔리페나신숙신산염  | 
 3  | 
 과민성방광 증상 치료제  | 
| 
 아세트아미노펜/트라마돌염산염  | 
 3  | 
 소염진통제  | 
| 
 쿠에티아핀푸마르산염  | 
 3  | 
 정신분열병 및 양극성장애치료제  | 
| 
 페북소스타트  | 
 3  | 
 통풍치료제  | 
| 
 19  | 
 두타스테리드 등 11성분  | 
 각 2  | 
 양성전립성비대증의 치료제 등  | 
| 
 30  | 
 니코틴 등 38성분  | 
 각 1  | 
 금연의 보조요법제 등  | 
| 
 합 계  | 
 156  | 
 
성분별로는 ‘15년 9월에 특허 종료 예정인 발기부전치료제 ‘타다라필’이 20건으로 가장 많았고, ’14년 8월에 재심사가 종료된 고혈압치료제 ‘암로디핀베실산염/올메사르탄메독소밀’이 9건으로 두 번째였다.
이어 관절염치료제 ‘세레콕시브’는 8건(올해 6월 특허 종료), 배뇨장애치료제 ‘실로도신’ 6건(지난해 4월 재심사 종료) 등의 순이었다.  
승인을 처음으로 받은 성분인 소염진통제 ‘아세트아미노펜/트라마돌염산염‘(14년 11월, 재심사 종료), 통풍치료제 ‘페북소스타트’(‘15년 6월, 재심사 종료), 항암제 ‘게피티니브’(‘16년 12월, 특허 종료)도 모두 재심사나 특허가 종료되었거나 예정인 품목이다.
  
* 재심사 : 신약의 허가 후 안전성·유효성 및 적정한 사용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여 심사하는 제도. 재심사기간 동안 타제약사의 제네릭의약품 허가는 제한
식약처는 정신신경계의약품과 발기부전치료제 등 삶의 질을 높이는 제품 개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고, 단순 제네릭의약품에서 벗어나 새로운 제형(동일투여경로) 개발 등 새로운 패턴의 생동성시험이 향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하였다.
생동성 승인 현황은  [온라인의약도서관 
http://drug.mfds.go.kr → 의약전문가 → 생동성주간승인정보]에서 주단위로 확인할 수 있으며, 제약업계는 물론 누구나 제네릭의약품 개발동향을 신속히 확인할 수 있도록 생동성시험 승인현황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