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4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학회및기관

[통계청 브리핑] 2015년 2월 소비자물가동향

2015.3.3(화) 김보경 물가동향과장(통계청)


20152월 소비자물가 동향 발표를 시작하겠다.

 

2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월대비 변동이 없으며, 전년동월대비 0.5% 상승하였다.

 

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는 전월대비 0.1%, 전년동월대비 2.3% 각각 상승하였고,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는 전월대비 0.2%, 전년동월대비 2.3% 각각 상승하였다.

 

생활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1%, 전년동월대비 0.7% 각각 하락하였고, 신선식품지수는 전월대비 3.2% 상승하였고, 전년동월대비 1.1% 하락하였다.

 

20152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9.35로 전월대비 변동이 없었습니다. 전년 동월대비로는 0.5% 상승하여 지난달 대비 0.3%p 하락하였다.

 

농산물 및 석유류제외지수는 전월대비 0.1%, 전년동월대비 2.3% 각각 상승하였다.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는 전월대비 0.2%, 전년 동월대비 2.3% 각각 상승하였다.

 

생활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1%, 전년동월대비 0.7% 각각 하락하였다.

 

식품은 전월대비 0.5%, 전년동월대비 1.6% 각각 상승하였다.

 

식품이외는 전월대비 0.4%, 전년동월대비 1.6% 각각 하락하였다.

 

전월세포함생활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1%, 전년동월대비 0.2% 각각 하락하였다.

 

신선식품지수는 전월대비 3.2% 상승하였고, 전년동월대비는 1.1% 하락하였다.

 

신선어개는 전월대비 변동이 없으며, 전년동월대비 3.4% 상승하였다.

 

신선채소는 전월대비 7.7%, 전년동월대비 6.7% 각각 상승하였다.

 

신선과실은 전월대비 1.2% 상승하였고, 전년동월대비는 11.4% 하락하다.

 

기타신선식품은 전월대비 1.8%, 전년동월대비 8.3% 각각 상승하였다.

 

소비자물가지수 부문별, 지출목적별 동향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전월에 비해 식료품비주류음료, 주택수도전기연료, 가사용품 및 가사서비스, 교육 부문 등은 상승하였고, 통신과 기타상품서비스 부문은 변동이 없으며, 교통, 의류신발, 오락문화 부문은 하락하였다.

 

전년동월대비로는 주류담배, 식료품비주류음료, 음식숙박, 교육, 의류신발, 가사용품 및 가사서비스 부문 등은 상승하였고, 교통과 통신 부문은 하락하였다.

 

상품은 전월대비 0.2%, 전년동월대비 0.7% 각각 하락하였다.

 

농축수산물은 전월대비 1.5%, 전년동월대비 1.1% 각각 상승하였다.

 

공업제품은 전월대비 0.7%, 전년동월대비 0.8% 각각 하락하였다.

 

전기수도가스는 전월대비 0.1% 상승하였고, 전년동월대비 2.5% 하락하였다.

 

서비스는 전월대비 0.2%, 전년동월대비 1.5% 각각 상승하였다.

 

집세는 전월대비 0.2%, 전년동월대비 2.3% 각각 상승하였다.

 

공공서비스는 전월대비 변동이 없으며, 전년동월대비 0.5% 상승하였다.

 

개인서비스는 전월대비 0.2%, 전년동월대비 1.8% 각각 상승하였다.

 

16개 시도별로 전월대비 소비자물가 동향은, 서울과 인천은 0.1% 상승하였고, 부산, 대구, 광주, 대전, 경기는 변동이 없으며, 강원은 0.3%, 충남, 전남, 제주는 0.2%, 울산, 충북, 전북, 경북, 경남은 0.1% 각각 하락하였다.

 

특별시광역시를 제외한 30개 도시별로 전월과 비교하면 의정부와 부천은 0.1% 상승하였고, 수원, 안양, 안산, 고양, 청주, 안동, 창원은 변동이 없으며, 그 외 도시는 0.1~0.4% 하락하였다.

 

16개 시도별 공공서비스 부문의 전월대비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강원은 0.2%, 부산, 대구, 광주, 경북은 0.1% 각각 상승하였고, 대전은 0.1% 하락하니다.

 

개인서비스 부문은 대전은 0.8%, 대구, 전북, 경북은 0.4% 각각 상승하였으며, 서울, 광주, 울산, 충북, 경남은 0.3% 각각 상승하였다.

 

* 질문 답변[마이크 미사용으로 확인되지 않는 내용은 별표(***)로 처리]

 

<질문> 매달 안 여쭤볼 수가 없는 게 물론 어떻게 대답하실 것도 잘 압니다만, 디플레이션 우려에 대한 말씀 한마디 부탁드리겠습니다.

 

<답변> 질문에서... 우리는 물가 통계를 만드는 입장에서 특별히 드릴 말씀이 없는 것 같습니다. 더 이상의 말씀은 없는 것 같고요. 이번에도 사실은 국내 석유류 가격 하락으로 0.5로 총 지수는 하락했는데 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나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는 2.3으로 지난 1월하고 비교해서 큰 변동은 없었습니다. 그리고 전월비는 0.1~0.2%가 상승하였던 것이니까 그것을 감안해서 살펴보시고, 또 디플레이션이라는 게 물가뿐만 아니라 생산이나 고용과 같이 봐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것은 그런 측면이 있는 것 같습니다.

 

<질문> ***

 

<답변> 전월세가 집세입니다. 똑같습니다.

 

<질문> 담뱃값 기여도 관련해서 지난달에도 그렇게 말씀하셨던 것 같은데, ‘담뱃값을 제외하면 유가하락으로 실제 마이너스 물가였다이렇게 보면 맞는 것입니까?

 

<답변> 전년동월비 말씀하시는 것입니까? . 지금 현재 기여도가 0.52이고, 담배가 0.58이니까 마이너스라고...

 

<질문> 0.52라는 것이 뒷자리까지 하면 0.52% 전년에 비해 올랐다는 말씀이신 것이죠?

 

<답변> .

 

<질문> ***

 

<답변> 지금 주류가 거의 기여도가 없기 때문에요. 담배로 보셔도 될 것 같습니다.

 

<질문> 석유류가 전년동월비로 24.3인데요?

 

<답변> 거의 품목성질별로 석유류 통계를 낸 것이 1985년부터인데 아마 1985년 이래로 전년동월비 기준으로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석유류는.

 

더 질문 없으시면 이상 마치겠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