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글레카프레비르/피브렌타스비르' 리바비린 없이, 대상성 간경변증이 있는 만성 C형 간염 환자에게서 12주 지속 바이러스 반응 99% 달성

애브비의 범유전자형 임상시험약물


새로운 데이터에서 12주 치료 시 
대상성 간경변증이 있는 유전자형 1, 2, 4, 5, 6형 만성 C형 간염 환자에서 
높은 12주 지속 바이러스 반응 보임
제3상 EXPEDITION-1 연구에서 이상 반응으로 인해 치료 중단한 환자 없음 
해당 연구 결과는 모든 유전자 유형의 대상성 간경변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G/P 임상연구 데이터에 추가됨



글로벌 바이오 제약 기업 애브비는 범유전자형 임상시험약물, 글레카프레비르/피브렌타스비르(G/P)가 대상성 간경변증이 있는 유전자형 1, 2, 4, 5, 6형 만성 C형 간염 환자의 99%에서 12주 지속 반응을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리바비린을 사용하지 않고, 12주간 G/P로 치료한 결과다. 치료 시작 전에 혈액 내 내성관련 특정 바이러스 균주가 있거나, 다량의 바이러스가 있더라도 환자를 연구에서 제외하지 않았다. 제3상 EXPEDITION-1 연구에서 얻은 새로운 데이터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개최되는 국제간학회(International Liver Congress 2017)에서 구두 발표됐다.

스페인 바르셀로나 병원, 간염 부서 책임자, 자비에 포른스 박사는 “대상성 간경변증이 있는 만성 C형 간염 환자의 치료법은 많은 발전을 이루어왔다. 그러나 리바비린 사용으로 인해 환자 치료시에 어려움이 여전한 상황이다. EXPEDITION-1 연구에서 발견한 긍정적 결과와 이전 보고 데이터를 검토한 결과, 대상성 간경변증이 있는 유전자형 1, 2, 4, 5, 6형의 환자라도 G/P로 치료할 경우, 리바비린 없이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라고 말했다.

EXPEDITION-1 연구에서 대부분 이상 반응은 경증이었고, 이상 반응으로 치료를 중단한 환자는 없었다. 가장 흔한 이상 반응(10% 이상)은 피로와 두통이었다.

애브비의 연구개발 부사장 겸 기업연구개발 분야 최고 책임자 마이클 세베리노 박사는 “애브비 G/P 임상 개발 프로그램의 목표는 모든 유전자형에서 대상성 간경변증으로 진행된 환자를 포함, 가능한 많은 만성 C형 간염 환자를 치료하는 것이다. EXPEDITION-1 연구 결과는 애브비 G/P 임상 개발 프로그램에서 얻은 다른 다수의 국제간학회 발표 자료와 함께, 특정 치료에 어려움이 있는 환자를 위한 애브비 치료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밝혔다.

전 세계에서 약 1억 3,000만 명~1억 5,000만 명이 만성 C형 간염을 앓고 있으며, 그 중 15~30%가 20년 이내에 간경변증으로 진행될 위험이 있다. 세계적 치료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간경변증이 있는 모든 환자를 치료에 고려해야 하지만, 대상성 간경변증을 앓는 C형 간염 환자의 치료는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다.

애브비는 국제간학회에서 만성 신장 질환 환자(SAT-273), HIV-1 동시 감염 환자(LBP-522), 간 및 신장 이식 환자(LBO-03), 기존 직접 작용 항바이러스제(DAA) 치료 시 12주 지속 바이러스 반응을 달성하지 못한 환자(PS-156)를 비롯한 치료가 어려운 환자에 관한 추가 데이터를 발표한다. G/P 임상 시험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http://www.clinicaltrials.gov에서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전 세계 규제 기관에서 G/P에 대한 허가 신청을 검토 중이다. G/P는 유럽의약품청(EMA)에서 신속 심사 자격을 인정받았고,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일본 후생노동성(MHLW)에서 우선 심사 대상으로 지정되었다. G/P는 임상시험약물이며, 아직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립 중이다.



EXPEDITION-1 연구에 대하여 

EXPEDITION-1은 단일 환자군, 다기관, 오픈라벨 연구로, 대상성 간경변증이 있는 유전자형 1, 2, 4, 5, 6 만성 C형 간염 성인 환자(Child-Pugh A)를 대상으로 12주간 G/P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이 연구에는 146명이 등록되었으며, 치료경험이 없는 환자와 IFN 기반 치료(IFN/pegIFN ± RBV 또는 소포스부비르 + RBV ± pegIFN)를 받은 경험이 있는 환자를 포함한다. 1차 유효성 평가변수는 12주 지속 바이러스 반응 달성 환자 비율이다. 12주 지속 바이러스 반응은 146명 중 145명(99%)이 달성하였으며, 유전자형 1a형 감염 환자 한 명에서 재발이 있었다.

grade 3 이상 ALT가 상승한 환자는 없었다. 심각한 이상 반응을 경험한 환자 11명(7.5%) 중, 치료와 관련된 이상 반응은 없었다.



애브비의 HCV 임상 개발 프로그램에 대하여

애브비의 글레카프레비르/피브렌타스비르 임상 개발 프로그램은 기존의 미충족 수요가 있는 분야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목적으로, 모든 주요 유전자형 (유전자형 1형-6형) C형 간염의 바이러스학적 완치* 에 보다 빠르게 도달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 설계되었다. 

글레카프레비르/피브렌타스비르는 범유전자형 임상시험약물로, 대부분C형 간염 환자들의 특징인, 간경변증이 없고 치료경험이 없는 만성C형 간염 환자들을 위한 8주 치료의 가능성이 평가 중에 있다.** 애브비는 유전자형 3형 환자, 직접 작용 항바이러스제(DAA)로 이전에 치료 받았지만 치료되지 않은 환자, 투석 환자까지 포함한 만성 신장 질환자처럼 치료에 어려움이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글레카프레비르/피브렌타스비르 치료에 대한 임상 연구도 진행 중이다. 

글레카프레비르/피브렌타스비르는 두 개의 서로 다른 항바이러스 제제를 1일 1회 투여하는 요법이다. NS3/4A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인 글레카프레비르300mg, NS5A 억제제 피브렌타스비르120mg의 고정 용량 복합제이며, 경구용 정제 3정을 1일 1회 투여한다.

글레카프레비르는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를 포함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제 개발을 위한 애브비와 에난타 제약의 지속적 협업 중 발견되었다.

*치료 종료 후 12주째 지속 바이러스 반응을 달성한 환자들은 C형 간염이 완치되었다고 간주 
**치료경험이 없거나 이전에 인터페론기반 치료([페그]인터페론+/-리바비린 혹은 소포스푸비르, 리바비린+/-페그인터페론 )경험이 있는 환자가 대상



References
1 Forns, X et al. EXPEDITION-1: Efficacy and Safety of Glecaprevir/Pibrentasvir in Adults with Chronic Hepatitis C Virus Genotype 1, 2, 4, 5 or 6 Infection and Compensated Cirrhosis.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Liver Congress™ (ILC) in Amsterdam, The Netherlands, April 19-23, 2017.
2 Hepatitis C. World Health Organization. World Health Organization, July 2016. Web.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164/en/>.
3 EASL Recommendations on Treatment of Hepatitis C 2016. J Hepatol (2016), http://dx.doi.org/10.1016/j.jhep.2016.09.001.
4 Spach D, Scott J. Treatment of Hepatitis C in Patients with Cirrhosis. Hepatitis C Online. http://cdn.hepatitisc.uw.edu/pdf/special-populations-situations/treatment-cirrhosis/core-concept/all  Published 2015. Accessed April 03, 2017.

관련기사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