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내장 시야검사이미지 실시간 디지털화된 AI(반자동, 완전자동) 모델 개발추출 정확도 반자동 AI 99.3%, 완전자동 AI 98.3%논문보기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16926072100242X?via%3Dihub 국내 연구진이 AI 기반 실시간 녹내장 시야검사 결과 추출법을 독자 개발하여 효과를 입증했다. 향후 녹내장진단 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녹내장은 안압 상승 등의 원인으로 시신경이 눌리거나 혈액 공급에 장애가 생겨 시신경 기능에 이상을 초래하는 질환이다. 시신경 손상은 시야 결손으로 이어지고 말기에는 실명에 이를 수 있다. 녹내장 진단에는 시간에 따른 시야 변화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동안 시야검사 결과는 병원 의료정보시스템 내 이미지 형태로 존재하여 분석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됐다.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안과 장동진 교수 연구팀은 병원내 누적된 시야검사 이미지 빅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디지털화하여 분석할 수 있는 인공지능 모델(AI digitizer)을 개발하여 그 정확도를 분석했다.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총 325,310장
남성들 최대의 적인 발기부전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한다. 특히 영양소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그 중에서도 비타민D가 부족할 경우 발기부전의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을 받았다. 미국 존스홉킨스 의과대학 에린 미코스 박사의 연구 발표에 따르면 비타민 D가 부족한 남성은 정상적인 남성에 비해 발기부전이 발생할 가능성이 32%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과 음주, 고혈압, 당뇨병, 약물 복용 및 염증과 함께 비타민D 부족 또한 관련 높은 원인이다. 일상 속 비타민 D 합성을 위해서는 매일같이 10~20분간 야외에서 충분히 햇빛을 쬐어야 한다. 식품으로 비타민D를 섭취하더라도 이는 전구체에 불과하므로 자외선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장시간 자외선 노출은 오히려 해가 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만약 이러한 생활 습관 개선에도 호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증상이 지속되거나 심화된다면 이때는 주저하지 않고 의료기관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로 많은 남성이 발기 부전을 겪고 있지만 수치스럽고 부끄러운 증상으로만 여기고 의료기관에 방문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 경우 적절한 시기를 놓치게 될 가능성이 크며, 그렇게 되면 치료가 더욱 어려워지기 때문에
- ‘도시 당뇨병 줄이기(Cities Changing Diabetes)’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세계 유수 도시 대표 인사들과 함께 모인 웨비나로 라이브 스트리밍- CCD 한국 준비 위원회 윤건호 회장, “도시 당뇨병 줄이기(CCD) 캠페인을 통해 도시 당뇨병 발생 증가를 막아 내기 위한 동력이 되도록 지속 노력할 것”- 한국 노보 노디스크 라나 아즈파 자파 사장, 노보 노디스크는 앞으로도 글로벌 공동협력 플랫폼인 CCD를 통해 한국 도시 당뇨병과의 전쟁에서 앞서 나갈 수 있도록 더욱 기여할 것” 글로벌 프로젝트 ‘도시 당뇨병 줄이기(Cities Changing Diabetes, 이하 CCD)’ 한국 운영 위원회(회장 윤건호)는 12월 13일 ‘도시 당뇨병과 건강 불평등 (Diabetes and Health Inequality in the cities) 라는 주제의 글로벌 웨비나 행사를 성료했다고 밝혔다. 본 행사는 CCD 한국 준비 위원회 윤건호 회장(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내분비내과 김신곤 교수, 영남대학교 의료원 내분비대사내과 문준성 교수,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의 의료 인류학과 데이비드 네이피어(David Napi
지난 3년간 194,000개의 청소년 고민 청취, 고위험 학생 3,875명 치료비 지원▪ 생명보험재단, 교육부와 SNS 기반 청소년종합상담시스템 ‘다 들어줄 개’ 구축 및 운영▪ 2017년 9월부터 현재까지 누적 194,000건 상담 접수 받아 전문 상담 및 치료비 등 지원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이사장 이종서, 이하 생명보험재단)은 12월 13일(월) 교육부와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정부서울청사에서 체결했다. 협약식은 생명보험재단 이종서 이사장과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생명보험재단과 교육부는 2017년부터 MOU를 맺고 청소년 자살예방과 학생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 사업을 펼쳐왔다. 관련 협약이 올해로 종료됨에 따라, 이번에 업무 내용을 재정비하고 협약을 새롭게 체결함으로써 지속적으로 협력을 이어 나갈 계획이다. 생명보험재단은 청소년 사망원인 1위인 자살을 예방하고자 위기상담이 필요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365일 24시간 상담이 가능한 SNS 기반 청소년종합상담시스템인 ‘다 들어줄 개’를 구축 및 운영 지원하고 있다. ‘다 들어줄 개’를 통해 2017년 9월부터 현재까지 약 194,000개 청소년의
- 서울대병원 박상민·이경실 교수팀, “콜린알포세레이트, 상황에 맞게 사용해야”- 50세 이상 성인, 콜린알포세레이트 복용 시 뇌졸중 발생 위험 46%↑ 콜린알포세레이트는 우리나라에서 치매관련 또는 뇌대사관련 질환 관리의 목적으로 승인받은 약제다. 최근 국내에서 콜린알포세레이트의 뇌 대사개선 효과를 두고 논란이 있었다. 건강보험급여 기준을 합리적으로 재설정해야한다는 지적도 있어, 관련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했다. 이때, 국내 연구진이 콜린알포세레이트 사용과 뇌졸중 발생 간의 연관성을 밝혔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박상민·이경실 교수팀(최슬기 연구원)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50세 이상 성인 12,008,977명을 10년간 추적·관찰했다. 성별과 나이 등 기본적인 인구통계학적 변수들을 비롯해 콜린알포세레이트 복용여부 및 복용기간, 뇌질환 발생여부 등 다양한 정보를 수집했다. 연구 결과, 콜린알포세레이트를 복용한 경우 뇌질환 발생 위험이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콜린알포세레이트를 복용한 사람은 복용하지 않은 사람보다 뇌졸중, 뇌경색, 뇌출혈 발생 위험이 각각 43%, 34%, 37% 높았다. 콜린알포세레이트는 국내에서 소위 ‘치매예방약’으로 불리며
혁신 신약 도입으로 환자의 수명 연장과 사회적 비용 절감 모두 달성할 수 있다는 연구보고서 발표신약에 대한 환자 접근성은 더 개선될 필요 있다는 의견 제시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이하 KRPIA, 회장 오동욱)는 보건경제학 분야의 세계적 거장인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프랭크 리텐버그(Frank R. Lichtenberg) 교수의 ‘The Health Impact of, and Access to, New Drugs in Korea’ 연구보고서가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원장 김흥종) 제20회 East Asian Economic Review (EAER)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EAER 우수논문 심사위원들은 리텐버그 교수의 이번 연구가 혁신 신약의 도입이 우리나라 환자의 수명 연장과 입원일수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학술적 기여도가 매우 높고 국내 보건의료정책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평가했다. 보건의료정책의 중요성과 그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날로 커지는 가운데, 게재된 리텐버그 교수의 논문은 신약의 사회적 가치를 수치화해 제시하는 한편, 한국의 신약 접근성을 해외 상황과 비교해 신약에 대한 환자 접근성을 더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
선한 영향력과 공존의 시간 12월 10일 세계 인권의 날을 맞이해 '생명 인권 그리고 강제 장기적출' 국제 포스터 수상작 전시회가 12월 6일부터 7일까지 고려대 하나스퀘어에서 열렸다. 10일에는 고려대 과학도서관에서 윤호섭 국민대 명예교수와 함께 하는 아티스트 토크 행사를 진행했다. 이번 행사에 전시된 작품은 지난해 한국장기이식윤리협회(KAEOT)가 대만 국제장기이식관리협회(TAICOT) 등과 함께 진행한 중국의 양심수에 대한 강제 장기적출을 주제로 한 국제 포스터 공모전(Stop Organ Harvesting In China) 수상작이다. 전 세계 디자이너들은 강제 장기적출이 인류 공통의 문제이자 인권이라는 인류 보편의 가치에 대한 중대한 침해라는 인식하에 대거 공모전에 참여했다. 70개국에서 1049점이 출품됐으며 잔혹한 인권 탄압 현실을 예술 작품으로 승화해 '강제 장기적출 중단' 메시지를 전했다. 전시회에는 금상 수상작인 ‘붉은 상처(Red Wound)’ 등이 다양한 형태로 전시됐으며, 관람객들은 작품이 전하는 메시지를 통해 생명과 인권에 대한 소중함을 함께 하는 시간을 가졌다. 윤호섭 국민대 명예교수는 공모전 심사위원으로 참여한 인연으로 이번 전시
고려대 의과대학 연구팀,당대 과학을 예술적인 은유로 표현한 작품으로 재해석해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유임주 교수(BK21 의과학연구단 단장) 연구팀(김대현 교수, 박현미 교수)가 세계 최고 권위의 의학저널인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JAMA, 미국의학협회저널)에 연구성과를 발표했다. 본 연구 성과는 20세기 최고 걸작 중 하나로 꼽히며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그림 중 하나인 구스타프 클림트(1862~1918)의 <키스>를 의학자의 관점에서 새롭게 분석했으며, 국내 최초로 의학과 예술을 넘나드는 '통섭' 연구의 성과로 의학계뿐 아니라 예술계와 대중의 이목도 집중되고 있다. 연구팀은 <키스>에 그려진 문양과 상징들을 의학 문헌들과 비교 분석한 결과, 당대에 인류가 꾸준한 연구를 통해 알게 된 인간 발생의 신비를 예술적으로 표현한 작품이라는 사실을 무려 113년 만에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 연구팀은 클림트의 <키스> 속에 표현된 인간 발생의 장면들을 다음과 같이 해석했다. 남자의 옷에는 흑백으로 강인한 느낌을 주는 직사각형이 남성의 상징으로 표현되고 있고, 고해상도 현미경으로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