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로슈진단(대표이사 킷 탕)은 12월 2일 병리과 전문의를 대상으로 한 VIP(Value In Pathology) 심포지엄을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올해로 세 번째를 맞는 이번 심포지엄은 작년에 이어 올해도 온라인으로 진행됐으며, 개인맞춤의료(Personalized Medicine)를 주제로 한 3개의 강연이 펼쳐졌다. 첫 순서는 ‘개인맞춤치료를 향해(In Pursuit of PHC)’라는 주제로 로슈그룹에서 바라보는 맞춤 의료에 대한 발표가 있었으며 환자의 치료 여정을 개선하기위한 데이터와 통찰력을 활용하는 방법이 소개되었다. 이어 한국의 맞춤 의료에 대한 ‘병리학에서의 암환자 관리 단계(The Ladder of Cancer Patient Care in Pathology)’와 ‘실생활에서의 데이터 활용: 더 많은 환자에게 더 나은 데이터를 더 빨리 제공(Real-World Data Utilization: Better Outcomes for More Patients, Faster)’이라는 주제로 강연이 진행됐다. 국내 병리학 전문의 50여 명이 참여한 이번 행사는 조남훈 교수(연세의대, 대한병리학회장)가 좌장을 맡고, 로라츄 미주 지역 리드(Laura
대한민국의학한림원은 12월 8일 09:00-17:00시, JW 메리어트 강남 3층 JW 메리어트 강남 3층에서 '의료서비스의 현명한 선택' 심포지움을 개최한다. JW 메리어트 강남 3층 (온라인 포럼-대한민국의학한림원 채널) - Choosing Wisely 개요 ① 미국 등 외국에서 시작한 현명한 선택 캠페인은 불필요한 진단이나 검사, 치료 등을 배제함으로써 의료자원의 낭비를 억제하고 의료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자는 취지로 전개되었다. ② 미국, 캐나다, 영국, 이태리 등 여러 국가에서 수행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80개 이상의 학회가 진료리스트를 개발, 발표하고 있다. ③ 우리나라에서도 의료계의 선도적인 활동으로 이를 확산시킬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 한국형 Choosing Wisely 리스트 및 개발과정 현명한 선택 (대한영상의학회)의 명단은 다음과 같다. ① 복통이 없는 환자에서 통상적으로 일반 (plain) 복부영상검사를 하지 않는다.② 소아의 경우 급성 충수돌기염이 의심될 때 초음파검사에서 CT를 권고하기 전에는 CT를 시행하지 않는다.③ 같은 부위에 CT검사가 예정되어 있을 경우 일반촬영을 동시에 처방하지 않는다.④ 단순한 두통이 있을 경우 영상검
감염된 임신부 치료 위한 전담 의료체계 갖추고 컨트롤타워 관리 시급임신부 감염시 산부인과 외 소아과, 호흡기내과, 중환자의학과 등 다학제진료 가능해야현재 감염시 시설상의 문제로 자연분만 안되고 제왕절개 전환 사례도 있어개인방역 철저히 하면서 몸에 이상 느끼면 즉시 의사 찾아야 최근 코로나19에 확진된 임신부가 조기 출산하면서 태아가 사산하는 안타까운 일이 벌어지면서 임신부들의 불안이 커진 가운데, 대한의사협회(회장 이필수)가 12월 1일 임신부의 백신 접종과 의료적 대처방안 등을 주제로 전문가 좌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좌담회에는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배진곤 교수,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조금준 교수, 의협 박수현 홍보이사 겸 대변인이 참여했다. (KMA-TV 좌담회 전체영상 : https://youtu.be/NaMYePOXaPI) ■ 코로나19 백신접종은 임신부와 태아를 위한 최선의 방법현재 코로나19 백신 접종률이 높아졌지만 부작용 등의 우려로 임신부의 백신접종은 저조한 편. 이에 조금준 교수는 “백신 접종에 따른 부작용의 위험성과 백신 미접종으로 코로나에 감염됐을 때의 위험성을 놓고 비교해야 하는데, 백신 접종은 본인과 태아를 보호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라
암환자, 독거노인, 취약계층 어린이 돕기 등… 지역사회 위한 다양한 맞춤형 사회공헌활동 펼쳐 한국머크 바이오파마(총괄 자베드 알람)는 12월 3일, 2019년부터2021년까지 3년 연속으로 머크가 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복지협의회가 선정한 ‘지역사회공헌 인정기업’으로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지역사회공헌 인정제는 비영리단체와 파트너십을 맺고 꾸준한 지역 사회공헌 활동을 펼친 기업과 기관을 발굴하여 그 공로를 인정해 주는 제도다. 올해는 지역심사와 중앙심사를 거쳐 총 350개 지역사회 공헌인정기업이 선정되었다. 올해 심사 지표구성은 한국형 지역사회공헌 인정제도(Korea CSR in the Community) 표준 가이드 개발에 따라, ISO 14001(환경)·26000(사회적책임)·37301(준법경영), UN SDGs(지속가능발전목표), UNGC(10대원칙), GRI Standards(지속가능경영보고서), ESG 평가기준(MSCI, SASB, TCFD, KCGS, SUSTINVEST) 및 기획재정부·행정안전부 공공기관 경영평가(사회적가치 실현)가 반영되었다. 한국머크 바이오파마는 환자를 위한 한마음(As One for Patients)’이라는 미션을 실천하기 위해
은평구 내 취약계층 어르신 위한 ‘사랑의 김장’ 담그기 한국일본계제약협의회(이하 KJPA)는 11월 20일(토) 서울시립은평종합노인복지관에서 취약계층 어르신들을 위한 ‘김장 나눔 봉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올해 네 번째를 맞이한 KJPA 김장 나눔 봉사활동은 동절기를 맞이하여 취약계층 어르신의 식생활을 돕고 김장 김치 나눔을 통한 경제적 지원을 목적으로 기획됐다. 이번에 만들어진 김장 김치는 은평구 내 취약계층 300세대에 전달될 예정이다. 이날 행사에는 KJPA 제8대 회장인 이한웅 한국산텐제약 대표이사를 비롯해 각 사의 회원 및 가족 20여 명이 참석해 나눔의 기쁨을 함께했다. 또한 일본인 주재원들과 가족들이 함께 참여해 한국의 전통문화인 김장을 체험하며 도움의 손길을 더했다. 이한웅 회장은 “장기화된 코로나19 상황 속에서도 사회공헌활동을 지속적으로 이어 가기 위해 올해도 봉사활동을 진행하기로 결정했다”며 “방역체계가 단계적 일상회복으로 전환됨에 따라 앞으로 더욱 한국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겠다”라고 입장을 밝혔다. 한편, KJPA는 일본계 다국적 제약사 등을 중심으로 한 의료 관련 기업의 모임으로 한국인의 건강증진과 의료의 질을
2025 초고령사회 맞이할 다음 정부의 핵심 과제는 ‘골다공증 골절 예방’대국민 골다공증 질환 인식 개선 및 치료환경 개선과제 담은 정책제안서 전달김덕윤 이사장, “2025년 초고령사회 앞두고 골다공증 환자를 위한 정책 위해 대한골대사학회의 지속적인 노력 이어갈 것” 대한골대사학회(회장 강무일∙이사장 김덕윤)는 지난 12월 1일, 김덕윤 이사장 등 학회 임원진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강기윤 국민의힘 간사와 면담을 갖고 <대한민국 골절 예방 2025 로드맵: 초고령사회 골다공증 골절 극복을 위한 치료 환경 개선과제 및 통합적 정책 제언>을 제목으로 한 정책 제안서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대한골대사학회가 골다공증 골절 예방을 위한 이 정책제안서를 국회에 전달한 것은 지난 11월 25일 김민석 보건복지위원장에 이어 두 번째다. 이 제안서 전달은 본격적으로 시작된 대선 레이스에서 정당별 공약 수립과 발표가 이어지는 가운데, 여야를 아우르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과 간사 위원에게 정책제안서를 전달하고 골다공증 환자를 위한 정책 과제들을 강조했다는 점이다. 이날 면담에서는 특히 정책제안서에 담긴 3대 개선과제 중 가장 시급하다고 보이는 골다공증 조기 진단과
의료기기 개발 제조업체인 쉬엔비(대표이사 강선영)가 버츄RF(Virtue RF)의 국내 정식 런칭 소식을 알렸다. 버츄RF(Virtue RF)는 Micro Needle RF 장비로써, 기존 쉬엔비 사의 비바체(Vivace)의 후속제품으로 개발된 신제품이다. 비바체는 미국 시장에서 다수의 수상경력과 높은 판매율을 기록해 왔으며, 이를 바탕으로 제품 업그레이드 및 개선을 통해 버츄RF를 선보이게 되었다고 전하였다. 버츄RF는 미국 FDA를 먼저 받아 미국 판매를 먼저 시작하였으며, 현재 미국 판매는 2년차에 접어들고 있다. 이미 미국에 많은 판매고를 올리며, 시장점유율 1위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현재까지도 꾸준한 판매고를 올리고 있는 상황이라고 한다. 버츄RF의 이와 같은 성공비결과 관련하여 쉬엔비 관계자는, “기존 비바체를 개발하여 판매해오면서 쌓인 MicroNeedle RF 개발 노하우를 모두 적용하여 개발을 진행하게 되었고, 총3가지의 대표 시스템으로써 버츄RF를 설명할 수 있다. 첨단쿨링시스템(ACS : Advanced Cooling System), 통합펄스조절시스템(IPRS: Integrated Pulsed Radio Frequency System),
ANT-X 임상 실증·적응증 확대 및 차세대 AI 타겟팅 로봇 ANT-C 개발시술용 바늘이 병변에 빠르고 정확하게 위치해 수술 시간 단축 및 정밀한 중재시술 가능 ㈜시지바이오(대표이사 유현승)는 11월 26일 아주대학교병원 혁신의료기기 실증지원센터(센터장 임상현), 싱가포르 AI 로봇 의료기기 개발사인 NDR Medical Technology사와 AI 타겟팅 로봇 ANT-X의 임상 실증·적응증 확대 및 차세대 AI 타겟팅 로봇인 ANT-C의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2월 2일 밝혔다. 아주대학교병원 혁신의료기기 실증지원센터(이하 센터)는 혁신성 높은 의료기기의 개발부터 시장 진입까지 신속한 상용화를 지원하기 위해, 첨단 기술군별 전문분야를 중심으로 글로벌 수준 인프라를 갖추고 전주기 실증을 이행하는 기관이다. NDR Medical Technology는 싱가포르 난양 공대 출신들이 설립한 싱가포르 소재 의료기기 기업으로, 세계 최초로 AI 중재시술 로봇을 개발한 회사다. 센터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X-선 발생장치인 C-arm의 영상 이미지를 활용한 수술용 AI 타겟팅 가이드 로봇 ANT-X의 임상 실증지원 및 적응증 확장을 위해 비뇨기과, 정형외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