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절제 뒤 칼슘 체내 섭취 낮아진 탓 … 골밀도 저하 이어져신동욱 교수 “칼슘 및 비타민D꾸준히 보충해야 예방” 위암 환자의 경우 골다공증 위험이 3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위암 수술 후 칼슘 흡수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인데, 골밀도 저하를 막으려면 비타민D와 함께 칼슘 보충제를 꾸준히 먹어야 예방이 가능하다.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신동욱 교수 연구팀(제 1저자 하버드대 보건대학원 영양역학 전공 정수민 연구원)은 국민건강영양조사(2008년 ~ 20011년)에서 위암 경험자(94명)와 암 병력이 없는 대조군(470명)을 비교 분석해 이 같이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위암 경험 환자 대부분(85%)이 뼈가 약해져 있는 상태로 조사됐다. 10명 중 3명(30.2%)꼴로 골다공증이 발견됐고, 절반 넘는 환자(55.5%)에서 골감소증이 확인됐다. 이를 토대로 연령과 성별을 맞춘 대조군과 비교 분석시 위암 경험 환자의 경우 골다공증 발생 위험은3.72배, 골감소증 발생 위험도 2.8배 높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이러한 결과는 고관절 골절에 직접 관련 있는 대퇴골 부위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보고했다. 1저자인 정수민 연구원은 “위암 경험
당뇨병에 의한 심부전 악화 및 사망 위험, 여성이 남성보다1.4배 가량 높아... 여성은 세심한 관리 필요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원장 김병관) 순환기내과 연구팀이 심부전 병력이 있는 여성 당뇨 환자의 경우 심부전 병력이 있는 남성 당뇨 환자보다 심부전에 의한 재입원 및 사망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보라매병원 순환기내과 연구팀(김학령·김명아 교수)은 국내 심부전 환자 등록연구인 KorHF(Korean Heart Failure Registry)의 2004년 6월부터 2009년 4월까지 데이터 중 연구에 적합한 3,162명의 심부전 환자를 선별해 당뇨병에 의한 심부전 증상 악화 위험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는지 비교 분석했다. 환자의 특성에 대한 연구 결과, 전체 3,162명 중 30.8%에 해당하는 974명이 당뇨병도 함께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나눈 당뇨병 유병률은 남성 30.5%, 여성 31.1%로 성별 간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당뇨를 가진 남성은 정상 남성에 비해 나이가 많고 고혈압을 가진 비율이 높았으며, 당뇨가 있는 여성은 정상 여성에 비해 좌심실의 수축 기능이 상대적으로 악화된 것으로 나
삼성서울병원 연구팀, 보청기-소리증폭기 비교 연구 결과경-중도 난청까진 소리증폭기도 효과적문일준 교수 “가격 부담 털고 난청 해결에 보탬 기대” 난청에도 불구하고 비싼 가격 탓에 보청기 착용을 망설였다면 소리증폭기가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국내의 경우 청각재활이 필요한 중도 이상 난청 인구 가운데 12.6%만이 보청기를 착용한다는 보고가 있을 정도로 난청 인구에서 보청기 사용률이 선진국에 비해 낮다. 소리증폭기란 보청기와 유사하지만 보청기의 여러 기능을 간소화해 주로 소리만 키워주는 장치를 말한다. 상대적으로 보청기보다 가격이 저렴해 난청환자들의 관심이 크지만 효과 검증은 아직 미흡한 상태다. 아직 국내 시장은 활성화되지 않았고, 미국에서는 40만원대 이하로 구매가 가능하다. 보청기의 경우 기능에 따라 수백만원을 호가하기도 한다. 삼성서울병원 이비인후과 문일준 교수·조영상 임상강사 연구팀은 국내 난청 환자 56명을 대상으로 소리증폭기와 보청기의 임상적 효과 차이를 비교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미국의학협회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지(JAMA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최근호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이대서울병원 강덕희 교수팀- 미국, 이탈리아, 일본 등 국제 연구팀과 공동 집필한 논문 발표‘고요산혈증 및 만성신장질환 환자에서 요산강하치료(The case for uric acid-lowering treatment in patients with hyperuricemia and chronic kidney disease)' 이대서울병원 (병원장: 편욱범) 신장내과 강덕희 교수가 미국, 이탈리아, 일본 등 국제 연구팀과 공동으로 집필한 ‘고요산혈증 및 만성신장질환 환자에서 요산강하치료(The case for uric acid-lowering treatment in patients with hyperuricemia and chronic kidney disease)'라는 주제의 논문이 세계적 신장 전문 학술지인 ’Nature Review Nephrology(Impact factor 19.68)‘에 게재되었다. 체내에서 요산이 과잉 생성되거나 신장으로 잘 배출되지 않아 체내에 요산 농도가 증가되는 고요산혈증(Hyperuricaemia)은 만성신장병(Chronic Kidney Disease: CKD) 환자에서 흔히 나타나는 합병증이다. 하지만 만성신장병 환자에게 고요
삼성서울병원 권현철 교수 연구팀, 스마트-초이스 연구 발표아스피린 없는 항혈소판단독요법 우수성 확인권현철 교수 “환자 부담 줄여주는 치료 전기 마련” 관상동맥질환 환자에게 항혈소판 치료 기간은 매우 민감한 문제다. 관상동맥질환으로 스텐트 시술을 받은 환자는 6개월에서 12개월 정도 아스피린과 더불어 클로피도그렐과 같은 P2Y12억제제를 이중으로 복용하여야 한다. 이후에는 아스피린만 단독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문제는 이러한 이중 항혈소판 치료 기간이 짧으면 혈전 생성이나 심근경색 발병 위험을 키우고, 길어지면 위장관 출혈,뇌출혈과 같은 출혈성 질환 발병 부담이 커진다는 점이다. 특히 아스피린은 위장 출혈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어느 쪽이든 환자에게 득이 되지 않다 보니 이중 항혈소판 치료의 적정 기간이 얼마인지, 또 아스피린이 아닌 최신 항혈소판제제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안전한 지 의문이 있었다. 국내 연구진이 관상동맥스텐트 시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 첫 3개월 동안 아스피린과 P2Y12 억제제를이중으로 사용하고, 이후 아스피린 대신 P2Y12 억제제만 투약하면 기존 치료법과 비교하더라도 환자의 경과가 우수하다고 발표하여 학계
·음주 즐기는 여성 암생존자 흡연율비음주자보다 21배나 높다- 암생존 남성 세명 중 한 명, 꿋꿋하게 흡연 즐겨- 향후 암생존자 금연 억제 방법 개발 필요 암생존자(암진단 후 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부터 치료 후 생존하고 있는 모든 사람을 통칭)의 현재 흡연 패턴과 암 질환 발생 전 흡연경험이 얼마나 현재 흡연패턴에 영향을 주는지를 밝힌 연구논문이 발표됐다.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김희진·지선하 교수팀은 한국의학연구소와 함께 20∼64세 한국 성인남녀 91.04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했다. 연구팀은 암질환 과거력 유무를 기준으로 암생존자군(남성 1,375명, 여성 671명)과 비(非) 암생존자군으로 분류했으며, 각 집단에 대한 설문·신체계측·혈액검사 등의 자료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암 생존자의 현재 흡연률은 비(非) 암 생존자에 비해 낮았다. 하지만 암 질환 진단을 받은 암생존자 가운데 남성의 33.53%, 여성의 2.53%가 여전히 흡연을 지속하고 있었다. 남성 암 생존자의 경우 50세 이하 젊은 연령일 수 록 현재 흡연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았다. 51∼64세 집단에 비해 20-39세 집단은 흡연을 시행할 위험도가 2.47배 높았으며, 40-50세 집단은
이영한 교수, 딥노이드에 기술이전…기술 수준 높여 임상시험 준비실용화되면 경추 손상 중증•응급환자에 도움 기대 세브란스병원 영상의학과 이영한 교수 연구팀이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황도식 교수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X-ray 결과로 환자의 중증도를 파악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해 최근 딥노이드에 이전했다. 이영한 교수 연구팀은 중증•응급환자를 빨리 진단해야 하는 응급실을 대상으로 X-ray를 통한 중증•응급환자 판독 AI 기술을 개발했다. 외상으로 응급실을 방문한 환자에서 경추와 흉부, 골반 X-ray를 기본으로 촬영해 상태를 확인한다. 이 중 경추 X-ray 영상은 응급환자나 중증 환자를 평가하는데 중요한 기초 영상자료로 활용된다. 경추 C2/3번과 C6/7번의 경우 척추앞공간은 각각 6~7mm와 20mm 정도로 측정되는데, 내부출혈이나 부종 등이 있을 경우 이 두께가 넓어진다. 이 때 의사는 X-ray 영상판독결과에 따라 CT나 MRI 등의 정밀 검사를 신속히 진행해야 할지 응급처치를 우선해야 할지 등의 진단과 치료 계획을 세우게 된다. 이영한 교수 연구팀은 경추 X-ray 검사에서 C2번과 C6번 척추앞 공간을 검출할 수 있도록 200명의 측정값
‘파동에너지 기반 미세액체방울 분석 기술’ 개발 성공뎅기열, 말라리아, 메르스 등 전염병 바이러스 검출 시간 1/2로 줄여바이오 센서 분야 최고 권위 국제 SCI 저널 ‘바이오센서스 앤 바이오일렉트로닉스’ 게재 말라리아, 뎅기열, 메르스 등 각종 전염병의 바이러스 검출 시간을 1/2로 줄일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고려대 구로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임채승 교수, 고려대학교 남정훈 박사 연구팀이 말라리아, 뎅기열, 메르스 등 각종 전염병의 신속한 진단 및 바이러스 검출이 가능한 ‘파동에너지 기반 미세액체방울 분석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연구팀은 램 웨이브(Lamb wave)기반의 파동에너지를 이용해 뎅기열 바이러스가 포함된 시료 내부에서 입자의 움직임을 일으켜, 대상 바이러스가 존재할 경우 유전자 증폭과정에서 점성이 증가하는 것을 분석해 바이러스가 포함되지 않은 시료와 비교함으로써 25분 만에 바이러스 존재 여부를 검증해냈다. 뎅기열 바이러스 검출에는 통상적으로 바이러스 배양검사가 사용됐는데, 바이러스 검출에 1시간가량 소요되고 배양 방법도 까다로워 진단결과가 적절하게 치료에 적용되지 못했다. 특히 이번에 개발된 신기술을 활용하면 땀 한 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