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성심병원, 최종점수 89.56점으로전국 114개 지역응급의료기관 가운데 4위 왼쪽부터 한림대강남성심병원, 한림대동탄성심병원, 한림대춘천성심병원 한림대학교의료원 산하 한림대동탄성심병원, 한림대강남성심병원이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16년 응급의료기관 평가에서 ‘A등급’을 받았다. 특히 한림대춘천성심병원은 이번 평가에서 최종점수 89.56점을 얻어 전국 114개 지역응급의료센터 가운데 4위를 차지했다. 응급의료기관 평가는 보건복지부가 2015년 7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전국 414개 응급의료기관에 대해 시설·장비·인력 법정기준 충족 여부, 응급실 과밀화 지수, 최종치료 제공률 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발표한 것이다. 한림대춘천성심병원은 ‘최종치료 제공 표준화지수’, ‘응급실 전담의사·전문의·간호사 인력의 적절성’, ‘환자 만족도’ 등 전체 15개 개별평가지표 중 9개 부분에서 전국 1위를 기록하며 응급의료 최우수기관임을 인정받았다. 한림대동탄성심병원과 한림대강남성심병원은 각각 85.92점, 85.28점으로 지역응급의료센터 평균점수 80.2점을 넘어 ‘A등급’ 응급의료기관으로 선정됐다. 한림대동탄성심병원은 응급실 전담 의사·전문의 인력 적절성, 재실시간 및
한림대학교의료원 산하 한림대성심병원, 한림대강남성심병원, 한림대동탄성심병원, 한림대춘천성심병원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이 실시한 ‘위암 2차 적정성 평가’에서 1등급을 획득했다. 한림대춘천성심병원은 평가결과 종합점수 99.35점으로 전체 평균 95.77점 보다 높은 점수를 받으며 2년 연속 1등급을 기록했다. 특히 한림대춘천성심병원은 총 16개 구조·과정지표 중 1개 항목을 제외하고 전 항목 만점(100점)을 받았다. 한림대성심병원, 한림대강남성심병원, 한림대동탄성심병원은 각각 종합점수 98.39점, 98.02점, 97.73점을 얻어 위암 진료와 효율성 측면에서 최우수 병원임을 인정받았다. 이혜란 한림대학교의료원장은 “한림대의료원은 ‘위암 적정성평가’ 외에도 ‘폐암 적정성평가’, ‘대장암·유방암 적정성평가’, ‘급성기 뇌졸중 적정성평가’ 등 심평원이 실시한 각종 평가에서 1등급을 얻으며 의료 질 부문 최고 등급을 유지하고 있다”면서 “현재에 만족하지 않고 보다 좋은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 꾸준하게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심평원은 국민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의료 질 향상을 위해 위암 적정성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이번 위암 적정성 평가는 2015년
3번의 조산 끝에 건강한 아이를 갖게 된 홍콩의 조산 고위험군 산모, “모든 자궁경부무력증 엄마들, 희망을 잃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한림대강남성심병원 이근영 교수가 홍콩에서 조산 고위험군 산모와 아기를 살렸다. 자궁경부무력증 세계 최고 권위자로 꼽히는 이근영 교수는 지난 5월 초 홍콩 중문대학교병원의 초청으로 홍콩을 방문해 자궁경부원추절제술을 받은 조산 고위험군 산모에게 복식자궁경부봉합술을 시행했고, 그 결과 8월 9일 2.5kg의 건강한 아기가 태어났다. 이근영 교수는 2013년에 홍콩 중문대학에서 복식자궁경부봉합술을 직접 시행해 만삭에 태아를 분만할 수 있도록 했던 것이 계기가 돼 이번 산모의 수술집도를 요청받았다. 산모 티 투 후이엔(THI THU HUYEN)씨는 40세에다 과거 자궁경부무력증으로 출산을 3번이나 실패한 조산 고위험군 산모였다. 게다가 총 3번의 조산 가운데 두 번은 홍콩에서 질식자궁경부봉합술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겪은 것이다. 수술 전 상황은 4번째 임신에다 임신 17주차에 찾아온 자궁경부무력증으로 산모와 태아 모두가 위험한 상태였다. 수술후 건강한 아기를 출산한 시투후옌은 “3번의 조산을 겪고 마지막이라는 마음가짐으로 갖은 아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