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2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한국노바티스 키스칼리, ESMO 2025서 조기 유방암 환자 대상 NATALEE 연구 5년 장기 추적 데이터 발표 새 창으로 메일 보기

● HR+/HER2- 환자 대상 5 추적 결과, 키스칼리+내분비요법 병용군에서 침습적 무질병 생존율(iDFS) 개선 지속[i]

● 림프절 음성 환자를 포함한 HR+/HER2 조기 유방암 환자 전반에서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유익성 입증1

● 원격 무전이 생존율(DDFS)에서 29.1% 위험 감소 및 전체 생존율(OS) 개선 경향 확인 1

 

한국노바티스(대표이사 사장 유병재) 지난 17일부터 21일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된 2025 유럽종양학회(European Society for Medical Oncology 2025, 이하 ESMO 2025)’에서 자사의 CDK 4/6 억제제 ‘키스칼리(성분명: 리보시클립)’의 글로벌 3 임상시험인 NATALEE 연구의 5 장기 추적 데이터1 발표했다고 22 밝혔다.

 

이번에 새로 공개된 데이터는 재발 위험이 높은 HR+(호르몬 수용체 양성)/HER2-(사람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2 음성) 2 3 조기 유방암(eBC) 환자를 대상으로, 3년간의 키스칼리 치료 종료 2년이 경과한 시점(중앙값 58.4개월)에서도 키스칼리의 지속적인 이점을 확인한 연구 결과다1.

 

이번 ESMO 2025에서 발표된 데이터는 HR+/HER2− 조기 유방암 환자 5,101명을 대상으로 키스칼리 병용요법의 장기 재발 억제 효과를 평가한 글로벌 3 임상시험 NATALEE 연구의 5 추적 분석 결과로, 키스칼리 병용요법은 내분비요법 단독군 대비 침습적 질병 진행 또는 사망의 위험을 28.4% 낮춘 것으로 나타났다(HR=0.716, 95% CI: 0.618-0.829, P<0.0001)1. 5 침습적 무질병 생존율(iDFS)키스칼리 병용군에서 85.5%, 내분비요법 단독군에서는 81.0% 나타나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4.5%의 개선 효과를 보였다1. 이는 앞서 발표된 NATALEE 4 데이터(키스칼리 병용요법군 88.5%, 내분비요법 단독군 83.6%) 대비 추적 기간이 길어졌음에도 불구하고 효과가 일관되게 유지돼, 키스칼리 치료 효과의 지속성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1,[ii].

 

특히 이러한 경향은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주요 하위군 전반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났으며, 림프절 음성 고위험 인자를 가진 환자군에서도 유의한 개선 효과(HR=0.606, 95% CI: 0.3720.986)가 관찰됐다1. 또한 원격 무전이 생존율(DDFS) 29.1%(HR=0.709, 95% CI: 0.608-0.827), 원격 무재발 생존율(DRFS) 30.1%(HR=0.699, 95% CI: 0.594-0.824) 더 낮췄다. 전체 생존율(OS)에서도 위험비(HR)0.800으로 개선되며, 내분비요법 대비 사망 위험이 20% 감소하는 고무적인 추세를 보였다(95% CI: 0.637–1.003, P=0.026)1. NATALEE 연구는 향후 OS 및 기타 장기 평가 지표에 대한 충분한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추적 관찰을 지속할 예정이다1.

 

세인트 빈센트 대학병원 종양내과 전문의이자 NATALEE 연구 책임자인 존 크라운(John Crown) 박사는 매년 수천 명의 환자들이 조기 유방암으로 진단받고 있으며, 재발에 대한 두려움은 환자와 가족 모두에게 부담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5 추적 데이터는 키스칼리의 효과가 치료 종료 후에도 지속됨을 보여주며, 재발 위험이 높은 환자들에게 유방암 없는 삶의 가능성을 한층 넓혀주는 의미 있는 데이터라고 강조했다.

 

노바티스 글로벌 종양혈액학 연구개발 총괄 책임자 두션 체티(Dushen Chetty) “이번 데이터는 키스칼리가 3년의 치료 기간을 넘어 장기적으로 유방암 재발 위험을 유의하게 낮출 있는 잠재력을 다시 한번 입증한 것”이라며 이를 통해 의료진과 환자 모두가 키스칼리의 장기적인 질환 관리에 있어 신뢰를 가질 있게 됐다 전했다.

 

한국노바티스 유병재 대표이사·사장은 “키스칼리는 조기 유방암 환자, 특히 림프절 전이가 없는 환자에게까지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며 “노바티스는 환자의 치료 여정을 함께하는 파트너로서, 혁신적인 치료 옵션을 지속적으로 제공해 국내 유방암 치료의 새로운 기준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키스칼리는 미국 FDA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를 포함해 세계 100개국 이상에서 승인된 유방암 치료제다[iii],[iv]. 국내에서는 2019 10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HR+/HER2– 진행성 또는 전이성 유방암 환자에서 아로마타제 억제제 또는 풀베스트란트와 병용하는 내분비요법으로 허가받았으며, 2025 8월에는 재발 위험이 높은 HR+/HER2– 2 3 조기 유방암 환자의 보조요법(adjuvant therapy) 적응증으로 확대 승인됐다[v]. 키스칼리는 조기 유방암에서 미국국립종합암네트워크(NCCN) 가이드라인이 권장하는 CDK4/6 억제제로, 최고 등급(Category 1) 치료 옵션으로 선호되는 약제이다[vi].




[i] Crown J, Stroyakovskii D, Yardley DA, et al. Adjuvant Ribociclib Plus Nonsteroidal Aromatase Inhibitor Therapy in Patients With HR+/HER2− Early Breast Cancer: NATALEE 5-Year Outcomes. Presented at the European Society for Medical Oncology (ESMO) Congress; October 17-21, 2025; Berlin, Germany.

[ii] Fasching, Peter A., et al. Adjuvant ribociclib plus nonsteroidal aromatase inhibitor in patients with HR+/HER2− early breast cancer: 4-year outcomes from the NATALEE trial. European Society of Medical Oncology (ESMO) Congress. Vol. 16. 2024.

[iii] Kisqali. Prescribing Information (US FDA). Novartis Pharmaceuticals Corporation; 2017. Accessed October 2025. https://www.fda.gov/drugs/resources-information-approved-drugs/ribociclib-kisqali

[iv] Kisqali. Summary of product characteristics (SmPC). Novartis Europharm Limited; 2017. Accessed October 2025. https://www.ema.europa.eu/en/documents/product-information/kisqali-epar-product-information_en.pdf

[v] 키스칼리정 국내허가사항,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Available at: https://nedrug.mfds.go.kr/pbp/CCBBB01/getItemDetail?itemSeq=201907575. Accessed Oct 20, 2025.

[vi] NCCN Guidelines. NCC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in Oncology (NCCN Guidelines®) - Breast Cancer. Accessed September 2025. https://www.nccn.org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