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건강식품

식약처, 금지성분 포함된 식품의 해외직구실태조사 및 대책 마련 진행중

문정림 의원, 국정감사에서 「39개 금지원료 사용 포함 적발 및 11,113개 인터넷 판매사이트 차단요청」

“식약처의 금지성분 포함 식품 수거 및 검사 노력 긍정적이나 미비점 개선 필요“

문정림 의원(보건복지위원회, 새누리당)이 지난 국정감사를 통해, 금지성분이 포함된 운동보충제의 해외인터넷 사이트 구매(일명 해외직구) 실태를 지적하고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의 적극적인 감시·감독을 촉구함에 따라, 식약처는 문정림 의원의 국정감사 지적 이후 작년 12월 23일까지 39개의 금지원료 사용 인터넷 판매식품을 적발하고, 11,113개의 인터넷 판매 사이트를 차단요청했다고 밝혔다.

문정림 의원은 작년 10월 7일 식약처 국정감사에서, 해외 인터넷 사이트에서 구매(일명 해외직구) 가능한 운동 보조제 중 판매율이 높은 기능성 운동 보조제 15개를 선별, 조사하여, 총 38건의 성분이 식품위생법 상 사용이 허가되지 않은 성분임을 밝혀낸 바 있다[표1]. 

[1] 문정림 의원이 지적한 운동보조제 중 식품위생법 상 식품원료로 사용이 금지된 성분

번호

성분명

문정림 의원실과 전문가 검토 결과

운동 보조제 용도

효능/효과

부작용

예상 문제점

금기

1

N-Acetyl-L-Carnitine Hydrochloride

운동 전 집중력 및

근력 향상제(일명 부스터)

일차적 퇴행성 뇌질환 또는 뇌혈관 질환에 의한 이차적 퇴행성 질환

오심, 구토, 우울증, 조증, 혼돈, 공격성향, 초조

장기 임상연구자료가 부족함

전문의약품으로 허가

2

L-Citrulline

운동 전 집중력 및 근력 향상제(일명 부스터)

기능 무력증의 보조치료

비교적 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보임

 

6세 미만

3

Agmatine Sulfate

운동 전 집중력 및

근력 향상제(일명 부스터)

유효성에 대한 임상시험이 충분하지 않음:

안전성에 대한 임상시험이 충분하지 않음:

 

 

4

Norcoclaurine HCl

운동 전 집중력 및

근력 향상제(일명 부스터)

지방분해 촉진, 에너지 소비 증가

안전성에 대한 임상시험이 충분하지 않음: 혈중 빌리루빈 상승, 어지러움, 구역,

 

 

5

3,4-Dihydroxycinnamic Acid

운동 전 집중력 및

근력 향상제(일명 부스터)

유효성에 대한 임상시험이 충분하지 않음:

안전성에 대한 임상시험이 충분하지 않음:

 

 

6

Beta-Alanine HCI

운동 전 집중력 및

근력 향상제(일명 부스터)

근력증가

안전성에 대한 임상시험이 충분하지 않음:

 

 

7

Potassium Aspartate

운동 전 집중력 및

근력 향상제(일명 부스터)

유효성에 대한 임상시험이 충분하지 않음:

안전성에 대한 임상시험이 충분하지 않음:

 

 

8

Mucuna pruriens

남성호르몬유도제

(근육 성장 및 에너지 제공)

유효성에 대한 임상시험이 충분하지 않음:

안전성에 대한 임상시험이 충분하지 않음:

 

 

9

Hypromellose

남성호르몬유도제

(근육 성장 및 에너지 제공)

약품 첨가제

 

 

 

10

D-Aspartic Acid

남성호르몬유도제

(근육 성장 및 에너지 제공)

최근 임상시험에서 근육량 및 근력 증가 효과, 남성호르몬 분비 효과가 관찰되지 않음

안전성에 대한 임상시험이 충분하지 않음:

 

 

11

Supplying Boron

남성호르몬유도제

(근육 성장 및 에너지 제공)

 

 

 

 

12

Glycosaponins

남성호르몬유도제

(근육 성장 및 에너지 제공)

유효성에 대한 임상시험이 충분하지 않음:

안전성에 대한 임상시험이 충분하지 않음:

 

 

13

Piper Nigrum

남성호르몬유도제

(근육 성장 및 에너지 제공)

유효성에 대한 임상시험이 충분하지 않음:

안전성에 대한 임상시험이 충분하지 않음:

 

 

14

Ketonic Isomers

남성호르몬유도제

(근육 성장 및 에너지 제공)

유효성에 대한 임상시험이 충분하지 않음:

안전성에 대한 임상시험이 충분하지 않음:

 

 

15

GHRP-2 Hexapeptide Acetate

남성호르몬유도제

(근육 성장 및 에너지 제공)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

안전성에 대한 임상시험이 충분하지 않음:

 

 

16

Cretine Peptides

남성호르몬유도제

(근육 성장 및 에너지 제공)

유효성에 대한 임상시험이 충분하지 않음:

안전성에 대한 임상시험이 충분하지 않음:

 

 

17

tribulus terrestris

남성호르몬유도제

(근육 성장 및 에너지 제공)

유효성에 대한 임상시험이 충분하지 않음: 전립선비대증 개선, 최음제

안전성에 대한 임상시험이 충분하지 않음:

 

 

18

shilajit extract fulvic acid

남성호르몬유도제

(근육 성장 및 에너지 제공)

항산화, 소염, 면역조절 작용

안전성에 대한 임상시험이 충분하지 않음: phase I 시험에서는 안전한 것으로 보고됨

 

 

19

boron cirtate

남성호르몬유도제

(근육 성장 및 에너지 제공)

 

안전성에 대한 임상시험이 충분하지 않음:

 

 

20

diindolylmethane

남성호르몬유도제

(근육 성장 및 에너지 제공)

 

안전성에 대한 임상시험이 충분하지 않음: 제한된 임상시험에서 제기될 만한 안전성 문제는 없었음

 

 

21

free acid beta-hydroxy-beta methylbutyrate

산화질소제

(근육펌핑)

근육량 증가

비교적 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보임

 

 

22

L-Citrulline

산화질소제

(근육펌핑)

기능 무력증의 보조치료

비교적 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보임

 

6

미만

23

Creatine HCl

산화질소제

(근육펌핑)

항산화효과, 근육기능강화

비교적 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보임

 

 

24

Creatine Anhydrous

산화질소제

(근육펌핑)

항산화효과, 근육기능강화

비교적 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보임

 

 

25

Pterostilbene

산화질소제

(근육펌핑)

resveratrol과 유사한 작용

비교적 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보임

 

 

26

Microcrystalline Cellulose

산화질소제

(근육펌핑)

약품 첨가제

 

 

 

27

Croscarmellose Sodium

산화질소제

(근육펌핑)

약품 첨가제

 

 

 

28

(nitrooxy)ethyl 2-amino-3-methylbutanoate

산화질소제

(근육펌핑)2-a산화질소제

(근육펌핑)

 

 

 

 

29

Gamma-Butyrobetaine Ethyl Ester

산화질소제

(근육펌핑)

 

 

 

 

30

L-Arginine Pyroglutamate

산화질소제

(근육펌핑)

간부전의 고암모니아혈증, 성장호르몬 분비

비교적 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보임: 구역, 구토, 설사

 

 

31

Mgnesium Tanshinoate B

산화질소제

(근육펌핑)

 

 

 

 

32

Creatine Mgnesium Chelate

산화질소제

(근육펌핑)

항산화효과, 근육기능강화

비교적 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보임

 

 

33

6-Methyluracil

산화질소제

(근육펌핑)

유효성에 대한 임상시험이 충분하지 않음:

안전성에 대한 임상시험이 충분하지 않음:

 

 

34

Adenosine 5'Triphosphate Disodium

산화질소제

(근육펌핑)

심부전, 안정피로, 근력강화

안전성에 대한 임상시험이 충분하지 않음:

 

 

35

Pyroglutamate Arginine

산화질소제

(근육펌핑)

간부전의 고암모니아혈증, 성장호르몬 분비

비교적 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보임: 구역, 구토, 설사

 

 

36

Ketoisocaproate

산화질소제

(근육펌핑)

유효성에 대한 임상시험이 충분하지 않음:

안전성에 대한 임상시험이 충분하지 않음:

 

 

37

Agmatine Sulfate

산화질소제

(근육펌핑)

유효성에 대한 임상시험이 충분하지 않음:

안전성에 대한 임상시험이 충분하지 않음:

 

 

38

Punica granatum

산화질소제

(근육펌핑)

유효성에 대한 임상시험이 충분하지 않음:

안전성에 대한 임상시험이 충분하지 않음:

 

 

비교적 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보이는 성분이라 할지라도 유효성과 안전성에 대한 임상시험이 부족한 상태이기 때문에 일반인이 직접 구입해서 무분별하게 장기간 사용할 경우 안전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특히 일부 성분은 장기 임상연구자료가 부족하고, 오심, 구토, 우울증, 조증, 혼돈, 공격성향 등의 부작용 우려가 있는 성분으로, 전문의약품으로 분류되어 의사의 처방 없이는 사용 할 수 없는 성분임을 적발, 이에 대한 식약처의 안일한 감시 실태를 지적한 바 있다. 

당시 문정림 의원은, 해외 판매 사이트에서 구매 가능한 운동보조제 구매 다빈도 식품을 목록화 한 후, 해당 제품의 라벨링을 일일이 검토하여 성분과 제조 방식 등을 조사, 이들 성분의 식품위생법상 허용 여부를 하나하나 대조하는 방식으로 국내에서 구매 가능한 운동보조제의 종류와 성분, 구입경로 등을 수개월에 걸쳐 검토하였다. 

이같은 국정감사를 통한 문정림 의원의 지적에 대해 정승 식약처장은, “향후 모니터 요원 확충, 수거검사 및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 협조를 통한 사이트 차단 등을 강화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식약처는 국정감사 직후인 작년 10월 8일부터 12월 23일까지, 해외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금지성분 포함 식품을 모니터링, 금지성분이 포함된 제품을 수거·검사하였고, 금지성분이 포함된 식품 판매 사이트의 접속차단을 방통위에 요청하였다. 

이 과정에서 발기부전치료제 유사성분으로서 안전성이 미확보된 디메틸치오실데나필, 최음제 및 동물용 의약품에 사용되는 요힘빈 등 식약처 고시(대한민국약전)에서 사용이 금지된 유해물질을 첨가한 14개의 식품을 포함, 식품위생법상 사용이 허가되지 않은 39개의 금지원료 사용식품을 적발하고, 해당 식품을 판매하고 있는 사이트 총 11,113개의 차단을 방통위에 요청하였다[표2][표3] [별첨 파일 참조]
 
문정림 의원은, “국정감사에서 지적된 문제 개선을 위해 식약처가 노력하는 점은 긍정적이나, 지난 국정감사에서 본 의원이 제안한 안정적이고 충분한 모니터링 요원의 확보, 금지성분 포함 식품 및 해당 식품 판매 사이트에 대해 국민이 인지할 수 있도록 국민에 대한 안내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시행하여 사용이 금지된 성분을 포함한 식품의 해외 인터넷사이트 직접 구매로부터 국민을 보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