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R+/HER2- 유방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입랜스[3], 의료진 대상 신규 광고 선보여 - 전 세계 CDK4/6 억제제 중 가장 오랜 기간 처방 경험 보유, 무작위 임상시험 및 리얼월드 데이터(RWD)를 통해 치료 효과(PFS, OS) 및 장기 안전성 프로파일 확인7,14 - 비교적 생존 기간이 긴 HR+/HER2- 전이성 유방암 환자 대상 입랜스-레트로졸 병용요법으로 삶의 질 유지 및 악화 지연[4],[5],[6] 한국화이자제약(대표이사 사장 오동욱)은 자사의 호르몬수용체 양성 및 사람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2 음성(HR+/HER2-) 진행성 또는 전이성 유방암 치료제 입랜스(성분명: 팔보시클립)의 국내 허가 7주년을 맞아 최초의 CDK 4/6 억제제인 입랜스의 가치를 한눈에 전달하는 의료진 대상 광고를 공개했다고 3월 23일 밝혔다.1,2 이번에 새롭게 공개된 입랜스의 광고는 치료 효과에 기반한 입랜스의 자신감을 상징하는 ‘Confidence Built on Strength’ 문구와 더불어, 국내 허가 후 7년간 견고하게 다져진 입랜스의 자신감을 드러냈다.[7],[8],[9],[10],[11],1 한국화이자제약은 이번 광고를 통해 입랜스의 효과 및 안전
-사이언스(Science)&이노베이션(Innovation) 주제로 노보 노디스크의 100년 역사와 여정, 만성 질환의 미충족 수요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R&D 노력, 미래 파이프라인 소개 -사샤 세미엔추크 사장, “노보 노디스크는 지난 100년 동안 과학적 혁신을 기반으로 만성질환 환자의 건강한 삶을 위한 변화를 주도하는데 헌신해 와…지난 5년 동안 한국에서의 임상시험은 5배나 증가하였으며 현재도 알츠하이머, 심혈관 질환 및 비알콜성지방간염 등에 대한 연구 등건강한 인류를 위해 R&D 혁신을 지속해 나아가고 있어.” 노보 노디스크제약(사장: 사샤 세미엔추크)은 3월 20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노보 노디스크의 100주년을 기념하는 ‘사이언스(Science) & 이노베이션(Innovation)’이라는 주제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노보 노디스크제약 사샤 세미엔추크(Sasha Semienchuk) 사장은 주제 발표 강연을 통해 노보 노디스크의 100년의 헤리티지와 여정 그리고 당뇨병, 비만, 혈우병, 알츠하이머, 심혈관 대사질환, 비알콜성 지방간염 등을 포함한 만성질환의 미충족 수요를 해결하기 위한 100년의 R&a
한국다이이찌산쿄주식회사는 김대중 사장이 3월 31일자로 퇴임하고, 신임 대표이사 사장 직에 현 김정태 부사장을 선임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오는 4월 1일부터 김대중 사장은 고문으로서 회사를 지원하고, 김정태 신임 사장은 대표이사 사장으로서 취임할 예정이다. 김정태 사장은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을 졸업하고 고려대학교에서 MBA를 취득하였으며, 한국다이이찌산쿄와 다이이찌산쿄 본사에서 다양한 보직을 역임하며 폭넓은 경험과 전문성을 축적해 왔다. 김정태 사장은 2008년 한국다이이찌산쿄의 약사팀(Regulatory Affairs, Pricing and Reimbursement)에서 경력을 시작하여, 경영기획 및 사업개발 업무를 통해 한국다이이찌산쿄의 비즈니스 구조 재편 및 비전 수립 과정을 주도해왔다. 2017년부터 다이이찌산쿄 ASCA(Asia, South & Central America) 지역의 마케팅을 거쳐, 다이이찌산쿄 본사 경영추진부에서 전략기획을 담당해 왔다. 2020년 한국다이이찌산쿄로 복귀한 후 마케팅 및 영업업무를 총괄하는 마케팅MR 총괄부를 이끌었으며, 지난해부터 한국다이이찌산쿄 부사장과 디지털 엑설런스 (Digital Excellence
- 29개사 신약 후보물질·개발 플랫폼 등 선보여, 36건 1:1 파트너링 신청 - 제약바이오 오픈 이노베이션 플랫폼 구축 선포식·우수기업 사례 발표도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원희목)는 오는 12월 5일 서울 중구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개최하는 ‘2022 KPBMA 오픈 이노베이션 플라자’ 행사와 제약바이오 기술 플랫폼 구축 선포에 제약바이오 산업계의 관심이 높다고 11월 29일 밝혔다. 전통 제약사는 물론 바이오벤처 등 다양한 규모의 제약바이오기업들이 대거 참석할 것으로 알려진 이번 행사는 협회가 산업계의 국내외 오픈 이노베이션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마련했다. 협회가 KPBMA 오픈 이노베이션 플라자 참가 신청을 받은 이날 현재 행사의 하이라이트격인 ‘비즈니스 파트너링’에는 29개사가 기술 공급사로 참여, 자신들의 핵심 신기술을 공개한다. 이와 함께 이들 기업들이 공개할 예정인 신약 파이프라인들에 대한 사업화 기대를 담은 36건의 비즈니스 파트너링 신청이 사전 접수된 상태다. 시 간 내 용 발표자 13:20~13:30 개회 13:30~13:50 (기조발표) 제약바이오산업의 성공 지름길 오픈이노베이션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원희목 회장 13:50~14:05 KIMC
3상 POLARIX 연구에서 R-CHOP 대비 질병 악화 혹은 사망 가능성 27% 감소한국로슈 닉 호리지 대표이사, “20년간 DLBCL 1차 치료 표준치료법으로 쓰이던 자사 치료제에 안주하지 않고 혁신을 거듭해 한국 환자들에게 개선된 치료제를 제공하게 돼 의미 커, 환자 접근성 향상 위해서도 최선을 다할 것” ㈜한국로슈(대표이사 닉 호리지)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지난 28일 폴라이비(성분명: 폴라투주맙 베도틴)와 리툭시맙+시클로포스파미드, 독소루비신, 프레드니손(R-CHP) 병용요법이 이전에 치료 경험이 없는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Diffuse Large B-Cell Lymphoma, DLBCL) 성인 환자의 1차 치료제로 적응증 확대 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은 공격적인 성향을 지닌 혈액암으로 비호지킨 림프종 중에서 가장 흔한 형태이다. 국내에서는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을 진단받은 신규 환자 수는 매년 5천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대다수의 환자들이 초기 진료에 반응을 보이지만, 10명 중 4명은 현재의 표준치료법으로 치료되지 않으며, 치료 차수가 늘어나는 경우 예후가 좋지 않아 보다 효과적인 1차 치료제에 대한…
암비솜, 지난 1997년 국내 허가 이후 25년간 광범위 항진균제로 생명을 위협받는 진균감염 질환에 사용돼 길리어드 사이언스 코리아(대표이사 이승우)는 자사의 진균감염치료제 암비솜(주사용 리포좀화한 암포테리신B)의 국내 출시 25주년을 맞아 사내 임직원들이 모여 기념행사를 11월 10일(목) 진행했다고 밝혔다. 진균감염치료제 암비솜은 1997년 국내 첫 출시된 이후 지난 25주년 동안 국내 항진균제가 필요한 환자들을 위해 꾸준하게 처방돼 왔다. 이번 국내 출시 25주년 사내 행사를 통해 25년의 명예와 함께 앞으로도 국내 진균감염 환자들의 건강에 기여하겠다는 의미를 담았다. 암비솜은 지난 1997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감수성 있는 전신성 진균감염, 호중구 감소 환자의 불명열, 면역기능이 있는 성인 및 소아의 내장 리슈마니아증의 1차 치료, 면역결핍환자(HIV 양성 환자 등)에서 내장 리슈마니아증의 1차 치료제로 허가를 받았다.1 진균감염은 곰팡이, 효모, 버섯 등의 미생물이 신체의 조직을 침범하여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특히 암 환자나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 호중구 감소증 환자, 항암제 및 면역억제제 장기 투여 환자 등 체내 면역력이 저하될수록 진균감염
당뇨병학회와 함께 당뇨병 인식 개선 위한 행사 개최 노보 노디스크제약㈜(사샤 세미엔추크 대표이사)은 11월 14일 ‘세계당뇨병의 날(World Diabetes Day, WDD)’을 기념하여 대한당뇨병학회와 공동으로 당뇨병 극복을 위한 ‘건강당당 카페’ 행사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종로 인사동에서 진행된 이번 행사는 국내 당뇨병 환자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당뇨병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제고하고 당뇨병 관리 및 예방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 사샤 세미엔추크(Sasha Semienchuk) 노보 노디스크제약 대표이사는 “당뇨병은 건강한 식습관, 조기 치료 및 꾸준한 관리로 예방이 가능하다. ‘세계당뇨병의 날’을 기념하여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당뇨병에 대한 올바른 정보와 본인의 건강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이번 행사를 마련했다”며, “노보 노디스크는 앞으로도 당뇨병과 중증 만성질환군을 위한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기업으로 노력해 가겠다”고 밝혔다. 국내외 방문객의 주요 관광명소인 인사동의 보행자 골목에 위치한 실제 카페에서 하루 힐링이벤트로 개최한 ‘건강당당 카페’에선 당뇨병에 대한 올바른 정
저박사, ‘다제내성 녹농균 치료의 새로운 희망’ 될 것− 국내 항생제 내성 증가 심각, 다제내성 그람음성균 치료옵션 선택 제한적− 저박사®, 국내 중환자 대상 높은 카바페넴 내성 녹농균 감수성 입증− MSD, 항생제 내성문제 해결 기여 위해 신규 항생제 도입 노력 지속 한국MSD(대표 케빈 피터스)는 10월 27일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자사의 다제내성녹농균 항생제 ‘저박사®(성분명: 세프톨로잔/타조박탐)’의 급여등재 기념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국내 항생제 내성 현황과, 중증 감염 치료에 있어 저박사의 역할 및 감염질환 치료 접근성 향상을 위한 끊임없는 한국MSD의 노력이 전해졌다.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감염내과 추은주 교수가 ‘다제내성 녹농균 치료의 현황과 새로운 희망’을 주제로, 한국MSD 의학부 김요한 상무가 ‘항생제 내성 및 감염질환 문제 해결을 위한 한국MSD의 노력’을 주제로 발표했다. 신규 항생제 도입의 포문 연 저박사, 국내 다제내성 녹농균 감염 효과적 치료 기대 첫 발표를 맡은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감염내과 추은주 교수는 “현재 항생제 내성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심각한 보건문제이며, 국내 상황도 심각하다”며 “기존 항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