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레아 카르피 감염병 부서 최고과학책임자가 ‘mRNA 백신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Past, present, and future of mRNA vaccines)’ 주제로 특별 강연 모더나의 mRNA 플랫폼의 경쟁력과 다양한 바이러스를 한 번에 대응할 수 있는 다가백신의 전략 소개 모더나는 지난 5월 28일(토)에 개최된 대한소아감염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mRNA 백신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Past, present, and future of mRNA vaccines)’를 주제로 특별강연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전북의대 소아청소년과 조대선 교수가 좌장을 맡은 본 세션에서는 모더나 본사 안드레아 카르피 감염병 부서 최고과학책임자 (Andrea Carfi, PhD, CSO, Infectious Disease)가 발표자로 나서, 코로나19대응에 가장 효과적인 수단 중 하나로 자리잡은 백신을 신속하게 개발할 수 있었던 비결로 혁신적인 mRNA플랫폼의 장점을 들었다. 발표에 따르면, 우리 나라에서 접종 중인 모더나 백신(스파이크박스, mRNA-1273)은 2020년 1월 mRNA 시퀀스를 파악한 후, 같은 해 3월 1상 임상 시험을 시작해 같은 해 12월 미국…
- 심박출률 감소 심부전(HFrEF)과 함께 심박출률 보존 심부전(HFpEF) 적응증 추가로 만성 심부전 스펙트럼 포괄하는 치료제 등극- 허가 사항에 제2형 당뇨병 환자 대상 완화된 추정 사구체 여과율(eGFR) 기준 반영으로 치료 가능 환자군 넓혀1 한국베링거인겔하임(대표이사 마틴 커콜)과 한국릴리(대표이사 알베르토 리바)는 SGLT-2 억제제 자디앙®정10밀리그램(성분명: 엠파글리플로진)이 5월 24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좌심실 수축기능(이하 심박출률)에 무관한 만성 심부전 치료제로 적응증을 확대 승인받았다고 밝혔다.1 2021년 11월 심박출률 감소 심부전 치료(HFrEF)에 승인된 자디앙®은 이번 확대된 적응증에 따라 심박출률에 관계없이 만성 심부전 환자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자디앙®은 국내 최초이자 유일하게 만성 심부전 스펙트럼을 커버하는 치료제가 됐다.1,2,3 이번 허가사항 변경에는 제2형 당뇨병 환자 대상 사구체 여과율(eGFR) 처방 기준도 기존 eGFR 60 ml/min/1.73m2에서 eGFR 45 ml/min/1.73m2로 완화됐다.1 ■ 좌심실 수축 기능에 무관한 만성 심부전 치료제로 적응증 확대 국내 심부전 환자 수는 약
비아트리스가 ‘2021 지속 가능성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는 의약품 접근성 및 세계인의 건강, 임직원, 환경 보호 및 지역사회 봉사에 이르는 주요 영역에 걸친 목표와 성과, 그리고 코로나19 장기화에도 의약품 공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임직원과 가족을 지원하기 위한 회사의 지속적인 노력을 상세히 담고 있다. 비아트리스는 해당 보고서를 통해 ▲의약품 접근성 ▲환경 ▲다양성·형평성·포용성(DE&I: diversity, equity and inclusion) 3개 주요 부문에서 전사적인 첫 다년도 목표를 제시했다. 의약품 접근성 부문에서 비아트리스는 올해부터 2025년까지 어린이 HIV/AIDS 환자 2백만 명 이상을 포함하여 총 환자 3천만 명 규모의 항레트로바이러스(ARV) 치료제를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심혈관계 질환, 당뇨, 암 및 다른 주요 만성질환의 치료 결과 향상을 위해 예방, 진단, 치료 옵션 관련 비감염성질환(NCD) 아카데미를 통해 전문가 교육을 아끼지 않을 예정이다. 이러한 지원을 이어가며 2025년까지 약 1억 명의 NCD 환자에게 도움을 주겠다는 목표다. 환경 부문에서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직접 배출량(Scope 1)과 간접…
니코레트 ‘금연습관 만들기, 금연챌린지’ 총 43명 챌린지 인증, 성공적 마무리성공자 대상 금연인증서 제공 등 지속적인 금연 실천 독려 한국존슨앤드존슨(대표 백준혁)은 자사의 금연보조제 브랜드 니코레트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금연의 중요성 및 금연보조제의 금연 효과 등을 알리는 활동의 일환으로 진행한 ‘금연습관 만들기, 금연 챌린지’ 이벤트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5월 30일 밝혔다. ‘금연 챌린지’는 지난 4월 18일부터 약 2주간 진행됐다. 한국존슨앤드존슨 임직원을 비롯해 총 102명이 챌린지에 참여했으며, 최종적으로 43명의 참여자가 금연 인증에 성공했다. 참여자들은 물 마시기, 명상하기, 산책하기, 금연 껌 씹기 등 언제 어디서든 쉽게 실천할 수 있는 자신만의 금연 노하우를 각자의 SNS에 공유하며 금연 실천을 인증했다. 금연 인증에 성공한 참여자들에게는 유명 일러스트레이터 온초람 작가와 협업하여 제작한 금연인증서 발급을 통해 향후 지속적으로 금연을 실천할 수 있도록 독려했다. 더불어 참여자 3명의 금연 성공담을 재해석한 웹툰도 제작한다. ▲ 첫 번째 참여자는 이미 실천 중이었던 금연에 더욱 박차를 가하기 위해 금연 챌린지에 참여, 금연으로 인해 숨이 덜
2040 여성들의 건강한 월경올바른 피임을 위한 소통과 공감여성건강사업부, 소통과 공감의 요소 강화한 '당연하지 않아’ 캠페인 시즌3 전개 ... ‘월경 관련 질환에 대한 올바른 인식 높여 초경부터 완경까지 여성들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캠페인 공식 소통 창구로 ‘바이엘 코리아 당연하지 않아’ 카카오톡 채널 개설, 다양한 월경 관련 질환 정보와 캠페인 소식 전달유명 일러스트레이터 ‘키크니’ 작가와의 콜라보레이션 인스타툰, 월경 관련 에피소드를 담은 웹드라마 등 MZ세대 타겟의 공감 콘텐츠 순차 공개 계획 바이엘 코리아(대표이사 프레다 린, 이하 바이엘) 여성건강사업부는 올해로 3년차를 맞이한 자사의 월경 관련 질환 및 올바른 피임법에 대한 인식 개선 캠페인 ‘당연하지 않아’의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소식과 함께 소통과 공감을 강화한 신규 캠페인 활동 계획을 공개했다. ‘당연하지 않아’ 캠페인은 월경과다증, 월경곤란증(월경통), 자궁내막증과 같은 주요 월경 관련 질환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올바른 피임법 정보를 제공해, 여성들의 건강한 월경과 삶에 기여하기 위해 바이엘 여성건강사업부가 2020년부터 3년째 이어오고 있는 활동이다. 특히, 여성들이…
- 영남대 원규장 교수(現 대한당뇨병학회 이사장), “당뇨병 환자에서 목표 혈당에 도달하는 비율은 여전히 높지 않고, 최근 글로벌 가이드라인 변화에 따라 혈당 조절과 함께 합병증을 고려한 환자 맞춤별 약제 선택이 중요, 최신 대한당뇨병학회 가이드라인에서 GLP-1 유사체는 죽상경화심혈관질환 및 만성신장잘환을 동반한 환자에 우선 권고되는 약제에 포함”- 고려대 김신곤 교수, “이번 리벨서스®와 오젬픽®의 국내 허가는 향후 국내 당뇨병 치료제 시장에서 기존 미충족 수요를 충족시키며 새로운 혁신적 패러다임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 리벨서스®는 세마글루티드에 흡수 증진 물질인 SNAC를 결합하여 경구 복용이 가능하도록 개발한 세계 최초의 경구용 GLP-1 유사체”- 라나 아즈파 자파 사장, “리벨서스®, 오젬픽® 모두 대규모 임상연구들을 통해 유의한 치료 효과와 우수한 안전성 프로파일까지 입증해 2형당뇨병 환자들에게 효과적인 치료 옵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노보 노디스크제약(사장: 라나 아즈파 자파)은 5웧 25일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자사의 GLP-1 유사체(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 agonist, GLP-1 RA)…
한국얀센은 5월 23일 온오프라인을 통해 동시에 진행된 기자간담회를 통해 국내 첫 EGFR 엑손 20 삽입 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리브리반트™주(성분명: 아미반타맙, Amivantamab; 이하 리브리반트)’의 국내 출시를 알렸다. 이날 행사에서는 연세암병원 폐암센터장 조병철 교수(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종양내과)와 한국얀센 의학부 고민정 상무가 연자로 나서 각각 △EGFR 엑손 20 삽입 변이 비소세포폐암의 최신 지견과 리브리반트 개발을 위한 국내 연구진의 노력, △EGFR 엑손 20 삽입 변이 비소세포폐암의 새로운 치료옵션으로서 리브리반트의 허가사항 및 임상연구 결과를 주제로 발표했다. 리브리반트 적응증 및 작용 기전 리브리반트는 EGFR 엑손 20 삽입 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에 최초로 승인된 완전 인간유래 이중특이적 항체다., 지난 2022년 2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백금 기반 화학요법 치료 중 또는 치료 이후 질병이 진행된 표피성장인자수용체(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이하 EGFR) 엑손 20 삽입 변이가 있는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치료에 사용하도록 허가 받았다.1 리브리반트는 EGFR 과
•임상 3상 REACH2, REACH3 연구 통해 자카비 투여군에서 대조군(최적 치료제 투여군) 대비 전체 반응 약 2배 개선, 무실패생존기간 중앙값 최대 3배 이상 연장 확인1•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후 환자 삶의 질 및 생존 위협하는 만성 및 급성 이식편대숙주질환, 자카비 승인으로 치료 환경 개선 기대 한국노바티스㈜(대표 유병재)는 자사의 이식편대숙주질환(GvHD, Graft-versus-Host Disease) 치료제 ‘자카비(성분명: 룩소리티닙)’가 5월 10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이전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치료에 충분한 반응을 보이지 않는 만 12세 이상의 급성 또는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 환자의 치료에 대한 적응증을 추가 승인 받았다고 밝혔다1. 이식편대숙주질환은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allo-SCT,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 후에 흔히 나타날 수 있는 위중한 합병증이다. 이식된 공여자의 T 세포가 환자의 정상적인 세포를 이물질로 인식, 공격하여 피부, 위장관, 간, 폐 등 여러 장기에 영향을 미친다5. 이식편대숙주질환은 증상이 나타나는 장기와 특성, 그리고 시기에 따라 분류되는데 보통 이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