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에볼라 퇴치 가능할까? 새 백신 개발!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2015-04-13

 
 텍사스 메디컬 브랜치 대학교 갤버스턴 캠퍼스(University of Texas Medical Branch at Galveston, UTMB)와 프로펙쳐스 바이오사이언스즈(Profectus BioSciences)사의 학제간 연구팀은 지난해 서아프리카에서 수천 명을 사망에 이르게 한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백신을 개발하였는데, 본 백신은 단 한번의 처방으로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이면서 빠르게 반응하는 특성을 가진다. 


 그림설명: 에볼라 자이르형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을 만들기 위해 많은 제약회사들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으며, 아직은 인간이 아닌 영장류에 대한 연구에 국한되어 있다. 하지만, 끔직한 수의 사상자를 냈던 에볼라 자이르형 바이러스가 출몰함에 따라, 일부 개발 중인 약물들을 인간에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빠르게 시험하고 있는 실정이다. (제공: 쉐리 영/포톨리아)© Sherry Young / Fotolia

2014년 서아프리카에서 발생한 마코나종 에볼라 자이르형 바이러스(Makona strain of Ebola Zaire virus)는 만 명 이상의 사상자를 내고, 세계 보건을 위협하였다. 서아프리카의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박쥐 등 자연적인 에볼라 바이러스의 숙주와 인간이 접촉하는 빈도가 늘어가고 지난해와 같은 비극적인 사태가 발생할 잠재적 위험이 높아졌다. 

에볼라 자이르형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백신을 만들기 위해 많은 제약회사들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으며, 아직은 인간이 아닌 영장류에 대한 연구에 국한되어 있다. 하지만, 끔직한 수의 사상자를 냈던 에볼라 자이르형 바이러스가 출몰함에 따라, 일부 개발 중인 약물들을 인간에게 적용하기 위해 빠르게 임상 시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백신들 중 UTMB와 프로첵쳐스가 개발한 백신은 미국 수많은 대학교 및 연구소에서 개발한 약물들 중 생물학적 안전성 4단계를 통과한 유일한 백신으로 현재 갈베스톤 국립연구소(Galveston National Laboratory)에서 임상 시험 중에 있다. 

“우리가 개발한 백신은 단일 사용으로 현재 및 미래의 에볼라 바이러스의 공격을 아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안전한 보호막이 될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량학살을 초래한 에볼라 바이러스와 같이 끔찍한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백신을 개발하는데 일조한다는 것은 아주 보람된 일이다. 아직 해결해야 할 일이 많이 남았지만, 우리가 최종 목표에 근접하고 있다는 것을 세상에 알리는 일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미생물 및 면역학 교수인 토마스 기스버트(Thomas Geisbert)는 말했다. 

연구팀은 인간이 아닌 영장류 모델에 단일 처치만으로 에볼라 자이르형 바이러스에 아주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백신을 개발하였다. 새로운 백신은 인간에게는 무해한 수포성 구내염바이러스(vesicular stomatitis virus)를 에볼라 바이러스에 삽입한 바이러스를 이용한 것이다. 이러한 “트로이목마(Trojan horse)”형 백신은 에볼라 자이르형 바이러스에 대항하여 안전하게 면역 반응을 통과하였다. 개발한 백신과 관련된 모든 안전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연구팀은 약효의 강도가 보다 약한 두 가지 차세대 백신들을 개발하였다. 이들 백신들은 원본에 비해 10배 희석된 것으로, 연구진은 상기 차세대 백신들을 초기 버전의 백신과 비교 분석하였다. 

“새로 개발된 백신이 서아프리카 기니(Guinea)에서 현재 만연 중인 마코나종 에볼라 자이르형 바이러스의 새로운 발병을 막을 수 있을지는 아무도 모른다. 그러나 임상 시험 결과 본 백신이 치명적인 마코나종 에볼라 바이러스를 단일 접종으로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고 프로첵쳐스 바이오사이언스사의 최고과학책임자인 존 엘드리지(John Eldridge)는 말했다. 1976년 메잉가종 에볼라 바이러스와 서아프리카에서 최근 발병한 마코나 에볼라 바이러스는 상당히 유사한 특성을 가진다. 약효를 완화시킨 두 가지 백신들은 메잉가종 에볼라 바이러스(Mayinga strain of Ebola virus)에 대해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현재 에볼라 자이르형 바이러스에 대해 평가 중이다. 연구진은 마코나 에볼라 바이러스에 상기 약물들을 시험하는 것은 에볼라 바이러스의 종에 따른 백신의 효용성을 검증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 참고문헌: Journal Reference: Chad E. Mire, Demetrius Matassov, Joan B. Geisbert, Theresa E. Latham, Krystle N. Agans, Rong Xu, Ayuko Ota-Setlik, Michael A. Egan, Karla A. Fenton, David K. Clarke, John H. Eldridge, Thomas W. Geisbert. Single-dose attenuated Vesiculovax vaccines protect primates against Ebola Makona virus. Nature, 2015; DOI: 10.1038/nature14428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