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THE CULTURE

[이명동 사진전] 먼 역사 또렷한 기억

7월 5일 - 7월 31일, 한미사진미술관

[이명동 사진전] 먼 역사 또렷한 기억


장소: 한미사진미술관
기획: 한미사진미술관
참여작가: 이명동 


올해 95세의 원로 사진가 이명동 선생(1920~ )의 첫 개인전이 7월 5일부터 31일까지 한미사진미술관 초대전으로 열린다.



『동아일보』사진기자, 사진평론가, 보도사진 강의, 월간 『사진예술』창간 등 평생을 사진으로 살아오면서도 정작 본인의 개인전을 연 적이 없는 이명동 선생은 이번 전시에서 1949년 백범 김구 선생의 인물사진, 6·25 종군 기록사진, 자유당 말기 조병옥, 신익희 선생의 인물사진 그리고 4·19혁명 현장사진, 1960년대 초에 촬영한 섬 사진 등을 선보인다.



이명동

출생
1920년 12월 2일




학력
1949 성균관대학교 전문부 정치과 졸업
1942 일본법정대학교 부속상업학교 졸업
1936 일본 도쿄 중앙 영수학원 수학(6개월)
1935 성주공립보통학교 졸업



활동경력
2014 현재 사진예술사 고문
2012 4∙19혁명 유공자《건국포장》수상
2010《제24회 인촌상》언론출판 부문 수상, 동아일보사
2001《제15회 예총예술문화상》대상 수상
1999 이명동 사진논집『사진은 사진이어야 한다』, 사진예술사
1998 98’사진영상의 해 조직위원
1992《청와대사진전》심사위원장
1989 월간『사진예술』창간 발행인
1988《청구문화제 사진공모전》심사위원장
《현대사진문화상》본상 수상
《대한사진문화상》보도사진부문 수상
『보도사진의 이론과 실제』, 해뜸출판사
1985 국가 홍보 화보지『한국화보』발행인
1978~1993《현대사진문화상》운영위원
1971~1974《제1회 건축 및 사진 전람회》 심사위원 및 초대작가
1969~1983 월간『신동아』에 14년간 사진평론 연재
1967 일본 도쿄 고단샤(講談社)에서 40일간 연수
1966《동아국제사진살롱》창설 주도
1963《동아사진콘테스트》창설 주도
1962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한국사진협회 창설 주도, 협회 감사에 선출됨
1961『승리의 기록-야당투쟁 기록』, 국회사진보도사
《제10회 서울시문화상》제1회 언론부문 수상
1958 인도네시아에서 열린 제3회 아시아 경기대회 취재
1957~1963『동아일보』에 사진평론을 게재, 국전(대한민국 미술 전람회)에 사진부문 설치 역설
1955~1961 서울신문학원(원장: 곽복산) 보도사진과 강사, 이후 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과(1963), 서라벌예술대학(1965),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사진과(1973), 신구전문대학(1974),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1974),
외국어대학교 홍보학과(1975), 상명여자대학교 사진학과(1985) 등에서 보도사진 강의
1955 동아일보사 입사. 사진부 차장(1962), 사진부 부장, 출판사진부 부장(1967), 출판국 부국장(1974)
1953~1955 중앙일보사 사진부장
1953 한국전쟁 종전과 함께 군에서 제대
《전투사진콘테스트》에서 <호국의 꽃>으로 최우수상 수상, 육군본부
1950 한국전쟁 중 육군 보병 제7사단에 종군(기록사진 담당)
1948 미 군정청 농림부 산림국 근무(문화영화 및 기록사진 담당)
1946 조선사진예술연구회 입회, 총무간사로 선임되어 연구회 회보 제작
1945《해방기념사진전》입선, 경북문화단체총연합회
《해방기념 사진공모전》에서 <해방과 풍년>으로 특선 1석, 서울 자유신문사
해방 후 본격적인 사진 활동 시작. 성주 읍내에서 가두 사진전 개최
1943~1945 경상북도 산림국 성주출장소(사방사업소) 근무
1943 일본 사진잡지 『아사히카메라』에 두 번째 입선
1942 서울에서 독일제 롤라이코드 구입
1929~1935 성주공립보통학교 4년 재학 시 일제 카메라를 구입, 사진 촬영을 시작
일본 사진잡지 『아사히카메라』 《독자사진콘테스트》 입선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