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세브란스 이지원 교수 연구팀,“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5:3:2로 섭취해야 사망률 가장 낮아” 가장 건강한 영양소 섭취 비율은 탄수화물 5, 지방 3, 단백질 2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탄수화물 섭취가 많고 지방, 단백질 섭취는 부족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연세대학교 강남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이지원 교수, 용인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권유진 교수 연구팀은 2007년부터 2015년까지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해 18일 이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성인 7만 3,353명 중 조사 당시 암과 심혈관질환이 없고 영양자료가 있는 4만 2,192명을 추적조사해 사망률이 가장 낮은 영양소 섭취 비율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성인의 평균 영양소 섭취 비율은 탄수화물 약 67%, 지방 약 17%, 단백질 약 14%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망률이 가장 낮은 비율은 탄수화물 50~60%, 지방 30~40%, 단백질 20~30%로 분석됐다. 건강한 식단을 위해서는 탄수화물을 더 적게, 지방과 단백질은 더 많이 섭취해야 한다. 이지원 교수는 “보건복지부의 2015년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도 탄수화물을 총 에너지의 5
고대보건과학대학 오하나-신민정 교수팀, 체지방 예측 역학 모델 개발국민건강영양조사 사망원인연계 빅데이터 자료 활용하여 사망위험 연관성 밝혀 비만은 체내에 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된 상태로, 당뇨병과 심혈관질환, 암 등 여러 만성질환의 주범으로 알려져 있다. 비만은 체중과 키에 기반하여 산출된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값으로 판정하는데, 현재 한국의 경우 체질량지수가 23kg/㎡ 이상인 경우를 과체중, 25kg/㎡ 이상인 경우를 비만으로 분류하고 있다. 그러나, 오랫동안 비만의 지표로 사용되어온 체질량지수는 체내 지방 무게와 근육 무게를 구분하지 못하므로, 만성질환의 발생이나 사망위험과의 연관성을 살필 때 한계점이 있어왔다. 고려대학교(총장 정진택) 보건과학대학 오하나 교수와 신민정 교수 연구팀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임상이나 역학연구에서 쉽게 조사되는 체중, 키, 허리둘레, 연령, 성별, 흡연여부 등의 정보를 사용하여 체내 지방량(body fat mass)과 지방을 제외한 근육량(fat-free mass, 이하 근육량)을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했다. 그리고 연구팀은 ‘2007-2014 한국인 국민건강영양조사-사망자 연계 44,060명
- 촌각 다투는 응급 상황에서 진단 속도, 정확도 모두 빛나- 기흉, 폐렴 등 10개 질환병변 발병확률과 위치 표시 서울대병원이 ㈜루닛과 함께 개발한 흉부X선 인공지능 진단시스템 「인사이트(Insight)」가 나날이 발전 중이다. 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 박창민, 남주강 교수는 인공지능 흉부X선 진단시스템 3세대를 개발했다고 12월 18일 발표했다. 그림 1 인공지능 개발시스템의 작동예. 환자 흉부X선에서 관찰되는 이상소견의 위치 및 각 소견의 확률을 표기한다. (Ptx: 기흉, Ndl: 폐결절, PEf: 흉수) 새로 개발한 3세대 진단시스템은 흉부X선영상에서 10가지(폐암, 폐결절, 폐결핵, 폐렴, 기흉, 기복증, 종격동비대, 흉수, 폐섬유화, 심장비대) 질환 소견을 찾아낸다. 사실상 대부분의 폐·흉곽질환을 진단할 수 있는 것이다. 남주강 교수는 “3세대 인공지능 시스템은 10개 병변 각각의 이상소견 위치와 확률을 개별적으로 표기한다”며 “이전 세대 인공지능에서는 구현하지 못한 기술로, 판독문 자동 생성의 길을 연 셈이다“고 밝혔다. 진단시스템의 개발에 환자 10만여 명의 흉부X선 146,717장이 학습됐으며, 레즈넷 기반 콘볼루션 신경망을 응용했다. 특히 인
서울대병원 연구팀, fMRI 이용해 활성화되는 뇌 영역 찾아 정신질환자와 신체질환자 대할 때 서로 다른 뇌 부위 사용 “정신질환자에게도 공감과 관심이 큰 힘을 전달할 수 있어” 정신질환자와 신체질환자 모두 아프고 고통을 겪는데도 이 둘을 바라보는 태도는 많이 다르다. 신체질환자의 고통에는 공감하고 동정심을 갖지만 정신질환자를 보는 눈은 그렇지 않다. 이는 두 대상에 대한 생각과 감정을 처리하는 뇌 부위가 서로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국내 연구진이 실험을 통해 확인했다.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권준수 교수와 신원교 박사(서울대 뇌인지과학과)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을 통해 신체질환자와 정신질환자의 마음을 추론할 때 활성화되는 뇌 영역을 관찰해 최근 발표했다. 연구 대상자는 19-35세 건강한 성인 40명이었다. 이들에게 신체질환자 혹은 정신질환자로 표시된 사진을 위로, 격려 메시지와 함께 모니터로 보게 했다. 그리고 이러한 메시지를 받았을 때 환자들이 어떻게 느낄지 예측하게 했고 이 때 뇌 활성화를 fMRI로 관찰했다. A. 신체질환자, B. 정신질환자에게 위로와 격려를 보냈을 때, 이를 바라보는 정상인의 뇌를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으로 촬영했
- 가벼운 우울증이여도 수년간 지속 및 재발할 경우 향후 치매 발생 위험 크게 높아- 노년기 우울증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 및 인지기능 변화에 대한 지속적 관찰 중요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원장 김병관) 정신건강의학과 오대종 교수·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기웅 교수 공동 연구팀이 노년기에 흔하게 나타나는 아증후 우울증이 치매 발병 위험을 크게 높여 주의가 필요하다는 내용의 연구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아증후 우울증은 주요 우울장애의 엄격한 진단기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비교적 가벼운 우울증상을 말하며, 국내 60세 이상 노인 10명 중 1명이 가지고 있을 정도로 흔하게 발생한다. 그러나 증상이 지속될 경우에는 노인의 신체건강 및 일상생활 유지 기능, 인지기능, 기대수명 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연구팀은 아증후 우울증과 치매 발생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치매나 우울증 등의 과거력이 없는 60세 이상 노인 4,456명을 무작위로 선정했으며, 연구는 총 6년의 기간 동안 2년마다 대상자의 인지기능 변화를 추적 관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아증후 우울증으로 진단된 노인은 정상 노인에 비해 6년
삼성서울병원 암병원유방암센터 연구팀,병리학-유전학 등 다학제 접근법으로 면역반응 변화 분석선행항암 첫 치료 때 면역반응 활성화된 뒤 치료 후 줄어치료 초기에 면역항암제 병용투여 고려할 근거 마련 유방암의 선행항암화학요법(선행항암)에 따른 종양의 면역반응을 체계적으로 밝힌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 받고 있다. 특히 면역항암제의 효과를 가늠하는 단초를 함께 밝혀 기존 선행항암에 면역항암제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치료 방향이 바뀔지 관심이 쏠린다. 선행항암은 유방암을 수술로 제거하기 어려운 경우 암 크기를 줄여 수술이 가능하도록 돕고 HER2 양성이거나 삼중음성유방암 환자의 경우 장기적 예후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가 많아 최근 많이 쓰인다. 아드리아마이신과 시클로포스파미드를 섞은 이른바 ‘AC요법’을 4회차 진행하고,탁솔 단독 또는 HER2 양성인 경우 허셉틴을 추가해 4회차 더 투여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는 게 일반적이다. 삼성서울병원 유방암센터(센터장 박연희 혈액종양내과 교수, 이정언 유방외과 교수, 최윤라 병리과 교수)는 화이자 항암제연구개발부 칸 박사와 공동 연구를 통해 선행항암으로 유방암의 미세종양환경 면역체계가 바뀌는 과정을 포착하고,변화 과정에 맞춰 치료하면
이대목동병원 김휘영‧서울대 약대 이정원 교수 공동 연구팀 국내 연구팀이 ‘TM4SF5’ 단백질이 지방간 뿐 아니라 지방간염과 간섬유화 증가 등 다양한 간 질환 상태를 유발함을 증명했다. 세포막단백질 TM4SF5는 기존 연구를 통해 간 섬유화 및 간암과 관련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대목동병원 소화기내과 김휘영 교수와 서울대 약학대학 이정원 교수 공동 연구팀은 동물 실험과 세포 실험 등을 통해 TM4SF5가 과발현 된 경우 비알코올지방간염(지방간)이 발생하는 사실을 증명했다. TM4SF5에 의해 SIRT1가 간 내 억제되면 이를 통해 간세포 내 지방 과축적이 발생하고, TM4SF5에 의한 염증 매개 물질이 과발현함으로써 결국 지방간에서 지방간염과 간섬유화 증가로 연결됨을 규명한 것이다. 연구팀은 또 지방간 환자의 간 조직에서도 TM4SF5이 지방증 발생의 원인이 될 뿐 아니라 지방간염, 섬유화로의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이번 연구는 지방간염이 발생하는 세포 내 반응과 여러 가지 병리 현상을 규명한 중요한 시도로 평가받았다. 이번 연구를 통해 TM4SF5와 관련 염증 반응의 매개 물질들은 지방간염의 유망한 치료 표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고려대 인공지능학과 이성환 교수Network of evolvable neural units can learn synaptic learning rules and spiking dynamics 고려대학교(총장 정진택) 인공지능학과 이성환 교수와 Paul Bertens 박사과정 학생의 연구 논문이 인공지능 분야의 세계적인 과학저널 ‘네이처 머신 인텔리전스(Nature Machine Intelligence)’ 12월 10일자(영국 현지시간 기준)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연구팀은 ‘Network of evolvable neural units can learn synaptic learning rules and spiking dynamics’ 논문에서 실제 생물학적인 뉴런과 시냅스의 작동원리를 모방하고 진화 알고리즘을 통해 학습할 수 있는 진화 가능한 신경망 단위 (Evolvable Neural Unit)를 제안하여 뇌에서 영감을 받은 인공지능을 향한 새로운 길을 제시했다. 기존의 인공신경망 모델은 다양한 분야에서 성공을 거두고 있으나, 이는 인간 뇌의 아주 일부분인 뉴런과 시냅스의 원리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하는 것에 그쳐, 스스로 학습하고 자가 진화하는 능력은 부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