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시판 후 조사 결과, 338명
환자 대상 연구에서 소아 포함 전 연령층의 안전성 프로파일 확인... 새로운 안전성 신호나 항체 발생
사례 없어
● 예방요법 환자의 76.1% 무출혈
유지, 87.7%는 1~2회 주사로 돌발 출혈 관리 가능
한국다케다제약(대표이사 박광규)은 국내 혈우병 A 환자를 대상으로 한 유전자재조합 혈액응고 8인자 애디노베이트(성분명: 루리옥토코그
알파 페골)의 시판 후 조사(Post-Marketing
Surveillance, PMS) 결과가 국제학술지 Thrombosis Research 9월호에
게재됐다고 밝혔다.[i] 이번 조사는 국내에서 진행된 혈우병 A 치료제 관련 시판 후 조사 중 대규모 연구로, 실제 임상 환경에서도
애디노베이트의 양호한 안전성 프로파일과 우수한 출혈 예방 효과를 보였음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애디노베이트의 안전성과 지혈 효과를 실제 임상 환경에서 확인하기 위해 2018년 1월부터 2024년 1월까지 국내 12개 의료기관에서 진행됐다. 총 338명의 혈우병 A 환자(평균 연령 25세, 범위 1~61세)가 참여했으며, 이
중 314명(92.9%)은 예방요법으로 치료를 받았다. 연구 기간 동안 예방요법 및 필요 시 투여 데이터를 수집해 실제 사용 환경에서의 약물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했다.1
연구 결과, 전체 환자 중 20명(5.9%)에서 이상사례(AE)가
보고됐으나 대부분 경미했으며, 새로운 안전성 신호나 항체 발생 사례는 단 한 건도 없었다. 특히 전체 환자의 16%를 차지한 소아 환자군에서도 약물 관련 이상사례는
거의 없었고, 발견된 사례 역시 대부분 경미하거나 투여량 조정만으로 관리 가능한 수준이었다.1
또한, 예방요법을 시행한
314명 중 76.1%가 예방요법 시행 기간 동안 무출혈 상태를 유지했으며, 평균 연간 출혈률(ABR)은 치료 전 5.4회에서 1.7회로 감소했다. 돌발
출혈 시의 지혈 효과는 의사 평가 기준으로 ‘탁월(Excellent)’
70.9%, ‘좋음(Good)’ 29.1%로 나타났고, 전체
환자의 60.7%는 1회 주사만으로 출혈이 조절됐다(2회 27.0%, 3회 이상
12.3%). 환자 또는 보호자 평가에서도 40.0%가
‘탁월’, 60.0%가 ‘좋음’으로 응답해 실제
진료 현장에서도 일관된 지혈 효과가 확인됐다.1
이번 논문의 제1저자인 경북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지윤
교수는 “이번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최대 규모의 반감기 연장 혈액응고 8인자 시판 후 조사로, 애디노베이트가 실제 진료환경에서도 기존 임상시험에서
확인된 안전성 프로파일과 출혈 예방 효과를 일관되게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특히 소아 환자에서도 항체 발생이 없었고, 전 연령층에서 안정적인
지혈 효과가 확인된 점이 주목된다1”고 말했다.
한국다케다제약 희귀질환사업부 김나경 총괄은 “지난 20년간 한국다케다제약은 국내 혈우병 A 환자들의 출혈 위험을 줄이고
일상생활을 안정적으로 이어갈 수 있도록, 유전자재조합 혈액응고 8인자
예방요법 치료 환경을 개선하는 데 지속적으로 힘써왔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국내 환자들을 대상으로 애디노베이트의 양호한 안전성 프로파일과 출혈 예방 효과를 보여줄 수 있어 매우 뜻깊다. 앞으로도 글로벌 수준의 임상 근거와 혁신적 치료 접근을 통해 국내 혈우병 A
치료의 표준을 선도하고, 환자들이 치료와 일상을 균형 있게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와
혁신을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혈우병 A는 X 염색체
장완에 위치한 8번 응고인자 유전자의 이상으로 인한 혈장 내 혈액응고 8인자의 활성도가 감소하는 질환으로, 가장 흔한 선천적 출혈성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ii] 응고인자 대체 유지요법은 혈우병 환자의 출혈 예방과 관절
보존에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세계혈우연맹(World Federation
of Hemophilia) 가이드라인에서 표준치료로 권고하고 있다.[iii]
최근 혈액응고 8인자가 혈액 응고 뿐 아니라 골대사 및 혈관 생성 등 추가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iv],[v]
혈우병 A 질환의 장기적, 다학제적 영향 및
체내 혈액응고 8인자 활성도의 임상적 의의가 재조명되고 있다. 애디노베이트는
국내 최초로 급여 출시된 반감기 연장 혈액응고 8인자 대체 약제이다.[vi]
[i] Kim, J.Y. et
al., Real-world safety and effectiveness of rurioctocog alfa pegol in 338
patients with hemophilia A in
South Korea: A postmarketing
surveillance study. Thrombosis research, 2025; 253: 109402.
https://doi.org/10.1016/j.thromres.2025.109402
[iii] Srivastava A, et al. WFH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Hemophilia,
3rd edition. Haemophilia. 2020;26(Suppl 6):1-158.
[iv] Berni M. et
al., Bone and Hemophilia: The Role of Factor VIII —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025; 26(5):2172.
https://doi.org/10.3390/ijms26052172
[v] Olgasi C. et
al.,
Factor VIII promotes angiogenesis and vessel stability regulating extracellular
matrix proteins. Haematologica, 2024; 109(10):3391-3397. https://doi.org/10.3324/haematol.2024.285089
[vi] 애디노베이트주[루리옥토코그알파페골(혈액응고인자VIII, 유전자재조합)], 의약품상세정보. 식품의약품안전처. Available at: https://nedrug.mfds.go.kr/pbp/CCBBB01/getItemDetailCache?cacheSeq=201800628aupdateTs2023-01-03%2018:24:18.156751b (Accessed in Nov, 2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