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헬싱, 암 환자 건강 향상에 효과 있어-윤영호 교수팀, 암 환자 대상 건강관리 프로그램 ‘헬싱유’ 실험-1년간 신체 활동·체중 관리·정신적 건강 개선 효과 확인 스마트헬싱이 암 환자 건강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임상시험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암 환자는 치료를 마친 후에도 지속적인 건강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규칙적인 운동, 체중 유지, 정신적 안정은 환자의 장기 생존에 필수적이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윤영호 교수팀은 암 환자의 건강관리를 돕는 스마트헬싱(Smart Healthing) 프로그램인 ‘헬싱유(Healthing U)’와 ‘스마트건강코칭’을 개발했다고 7월 9일 밝혔다. 스마트헬싱(Smart Healthing)이란 스마트건강경영전략(Smart Health Management Strategy for Health, SMASH)에 의해 환자의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돕도록 설계된 IT 프로그램과 건강코칭을 말한다. 암 생존자를 대상으로 ‘헬싱유’와 ‘스마트건강코칭’의 효과를 측정한 결과, 헬싱유를 사용했을 때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① 규칙적인 신체 운동, ②정상 체질량 지수 유지, ③외상 후 성장 세 가지 영역
HDL 수치 60mg/dL 이상 높이면 전립선비대증 발생 감소에 도움돼생활습관 개선 위해 노력해야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원장 김병관) 비뇨의학과 유상준 교수 연구팀이 성인 남성의 경우 적정수준의 혈중 HDL 콜레스테롤 수치를 꾸준히 유지하는 것이 전립선비대증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내용의 연구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흔히 착한 콜레스테롤이라고도 불리는 고밀도 지단백(HDL) 콜레스테롤은 혈관 벽에 쌓인 노폐물을 간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해 각종 혈관질환을 예방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때문에 다른 콜레스테롤과는 달리 수치가 높을수록 몸에 이로우며, HDL 수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금연과 함께 식습관 개선, 규칙적인 운동 등이 요구된다. 보라매병원 비뇨의학과 유상준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를 활용, 2009년에 건강검진을 받은 40대 이상 성인 남성 48,539명의 임상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실시해 전립선비대증 예방을 위한 최적의 HDL 수치를 평가했다. 연구팀은 연구기간 동안 전립선비대증이 진단되어 치료받은 이력이 있는 대상자를 분류해 전립선비대증의 유병률을 도출했으며, 대상자들의 HDL 수치는 4단계(<40, 40‐4
아주대 홍창형 교수·노현웅 임상강사 연구팀검사시간 1/4로 줄었지만, 선별 정확도 우수해 노인에서 흔한 정신건강질환 4개를 약 10분 만에 한 번에 선별할 수 있는 ‘초간단 선별척도’가 개발됐다. 최근 아주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홍창형·손상준 교수, 노현웅 임상강사 연구팀은 노인에서 흔한 치매, 우울증, 불면증, 화병 총 4개 질환을 한 번에 선별할 수 있는 ‘초간단 선별척도(BS4MI-Elderly)’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이 이번에 개발한 초간단 선별척도는 치매, 우울증, 불면증, 화병 증상에 대해 각 3문항씩, 그리고 질환의 경과와 기간에 대한 질문 2개를 추가하여 총 14개 문항으로 구성됐다. 비교적 적은 문항수로 인해 검사시간이 기존 검사들에 비해 약 1/4로 줄었지만, 선별 정확도는 우수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노인 정신건강질환의 특징 중 하나는 치매와 우울증, 화병과 불면증 등 2개 이상의 정신건강질환이 함께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이에 검사 시 처음부터 어떤 척도를 사용해야 가장 적절한지 선택의 어려움이 있었다. 또 2개 이상 질환이 의심되어 여러 척도를 시행할 경우, 연령이 높은 노인 환자들이 긴 검사시간을 힘들어하고, 집중도도
- 저학력자가 건강문제로 일 못할 확률은 고학력자 대비 2.54배 - 서울성모 직업환경의학과 강모열 교수팀, 교육수준과 건강상 미취업 관계 분석 -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활용해 2만9930명 조사, 분석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강모열 교수(교신저자), 정지윤 전공의(제1저자) 연구팀이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10~2016년)를 활용해 건강문제로 일상생활에 제한이 없는 30~79세 성인 2만9,930명을 대상으로, 교육수준과 건강상의 이유로 미취업 상태(이하 건강 관련 퇴직)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연령대에 걸쳐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건강 관련 퇴직 인구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교육 수준을 중졸 이하, 고졸, 대졸 이상 등 세 가지로 구분해 각 그룹별 건강 관련 퇴직비율을 분석했다. 고학력자 그룹과 비교해 저학력자가 건강이 좋지 않아 일을 하지 못할 확률은 2.54배였으며, 남성의 경우 약 1.86배, 여성의 경우 1.48배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대졸 이상 그룹을 기준으로 고졸자, 중졸 이하 그룹간 차이가 더 작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남성에 비해 여성의 건강 관련 퇴직 비율이 높은 것과 관련있는 것으로
삼성서울병원 연구팀, 전향적 무작위 이중맹검 연구로 ‘세계 최초’ 확인예후 차이 없고 합병증 부담 적어, 미숙아 치료 새 전기 마련 미숙아에게 흔한 동맥관개존증 치료 패러다임이 국내 의료진의 노력으로 바뀔지 관심이 모아진다. 수술과 약물에 의존해왔던 기존 치료와 달리 미숙아에 공급하는 수액을 제한하는 보존적 치료만으로도 충분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박원순, 장윤실, 성세인, 안소윤 교수팀은 동맥관 개존증의 보존치료가 기존 치료에 비교해 열등하지 않다는 점을 ‘세계 최초’로 규명해 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세계적 소아과학 학술지인 『JAMA Pediatrics』 최근호에 게재됐다. 동맥관개존증이란 자궁 내 태아의 혈액순환을 유지하기 위한 동맥관이란 혈관이 출생 후에도 닫히지 않고 열려 있는 상태를 말한다. 심내막염이나 폐부종과 같은 합병증 발병 위험이 크고,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르게 하는 만큼 진단시 수술 또는 중재적 시술을 거쳐 동맥관을 막거나 약물 치료를 시행하는 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미숙아의 경우 이런 치료를 견디기 어려운 경우가 많고,치료에 따른 부작용도 배제할 수 없어 최근에는 자연폐쇄를 기다리는 보존치료에 대한 관심
조산연구회, 국내 최초 모체태아의학 분야 다기관 공동 연구 대한모체태아의학회의 조산연구회에서 국내 최초로 모체태아의학 분야에서 진행된 다기관, 무작위배정 임상시험 결과가 국제학술지에 발표됐다. ‘조산을 예방하기 위한 프로게스테론 사용에 있어 근주와 질투여의 효과 비교, 평가를 위한 다기관, 무작위배정, 공개 연구자주도 임상시험’ 제하의 논문으로 이 논문은 *VICTORIA 연구의 결과가 SCI(E)급 영국 국제산부인과 학술지 ‘BJOG: an International Journal of Obstetrics & Gynaec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 전국 22개 대학병원이 참여한 연구는 2013년에 연구 설계를 시작, 2015년 2월에 첫 임상시험 대상자가 등록해 2019년 1월까지 총 266명의 임산부를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종료했다. 연구에는 삼성서울병원 산부인과 최석주 교수가 제1저자로, 이대목동병원 김영주 산부인과 교수가 주저자(연구 책임자)로 참여했다. 이번 연구는 현재 조산 예방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치료법인 '프로게스테론 보충요법'의 근육 주사와 질 투여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것으로 연구팀은 조산 위험이 있는 임신부(이전 자발적인
고려대·서울대·한국뇌연구원뇌전증, 지적장애 유발 매커니즘 밝혀치료법 개발에 활용 기대‘CYFIP2 유전자 결손이 리튬 반응성 전전두엽 기능 장애를 유도(Haploinsufficiency of Cyfip2 Causes Lithium-Responsive Prefrontal Dysfunction)’ 지능 발달의 장애로 학습과 일상생활의 어려움을 겪는 지적장애와 의식 소실, 발작 등이 동반되는 뇌전증(간질)은 뇌기능 이상으로 초래되는 대표적 질환이다. 현재까지 지적장애 및 뇌전증 발병과 관련된 다수의 유전자 변이가 보고되었으나, 이들이 뇌기능 이상을 초래하는 구체적 기전이 규명된 경우는 많지 않다.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뇌신경과학교실 한기훈 교수,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최세영 교수, 한국뇌연구원 이계주 연구그룹장은 마우스 모델을 활용한 공동연구를 통해 지적장애와 뇌전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CYFIP2 유전자의 뇌기능을 구체적으로 규명했다. 한기훈 교수를 비롯한 연구팀은 환자 유전체 분석에서 CYFIP2 유전자의 변이가 지적장애 및 뇌전증과 반복적으로 연관된다는 해외 연구사례에 주목했다. 이에, CYFIP2의 발현이 감소된 마우스 모델을 제작하고 기억, 의사결정
젊은 연령층에서 당뇨병이 없는 사람에 비해 당뇨병 환자의 사망률 2.25배 높아 [ 다양한 연령층에서 정상인 대비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의 총 사망률 비교 위험도 ] 20~39세 40~64세 65세 이상 정상 1 1 1 당뇨병 전단계 1.03 1.09 1.04 당뇨병이 새롭게 진단된 군 1.74 1.59 1.36 당뇨병 진단 후 5년 미만 군 2.06 1.93 1.5 당뇨병 진단 후 5년 이상 군 2.25 2.1 1.72 정상인 대비 당뇨병으로 인한 사망률이 고령 환자에서 더 높을 것이라는 편견을 깨고, 젊은 연령층의 사망률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되었다.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원장 신호철) 당뇨전문센터 이원영, 이은정, 가톨릭대학교 병원 박용규, 숭실대 한경도 박사 공동 연구팀은 2009년에 국가 건강검진을 받은 사람 6,330,369명을 2016년까지 약 7.3년을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고령 환자보다 젊은 환자에서 정상인 대비 당뇨병으로 인해 사망하는 위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고 최근 밝혔다. 당뇨병은 인슐린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아 고혈당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잘못 관리한다면 합병증으로 인해 사망에 이를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