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최종일 교수팀, 1천만명 대상 연구,5년 이상 고혈압 앓으면, 심방세동 2배비만 동반 시, 3배 이상 위험도 급증해 고혈압과 비만이 심방세동의 주요 유발인자라는 것은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그런데 최근 고혈압을 가진 기간이 오래될수록 심방세동의 위험이 증가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특히 약으로 조절되고 있는 고혈압의 경우 심방세동과의 상관관계를 해외에서도 밝히지 못했으나, 이번 연구에서는 약으로 조절되고 있다고 해도 고혈압의 유병기간이 길수록 심방세동의 위험도가 크다는 것을 최초로 규명한 것이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최종일 교수팀 (김윤기 교수, 숭실대학교 한경도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정상혈압을 가진 사람보다 5년이상 고혈압을 앓고 있는 환자가 심방세동이 발생할 위험도가 2배이상 높다. 특히 비만까지 동반하면 위험도는 3배 이상 높아졌다. 연구팀은 2009년부터 2017년까지의 국민건강보험공단 국가검진 수검자 중 약 1천만명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혈압과 체중을 단계별로 나누어 심방세동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했다. 혈압은 고혈압이 없는 사람(120/80mmHg, 기준), 고혈압 전단계인 사람(120~140/80~90mmHg), 고혈압이지만 약을 먹
아주대병원 신경과 홍지만·응급의학과 이성은 교수팀1.2.3단계로 분류, 3단계 빨리 큰 병원 가야 돼- 뇌졸중이 의심된 경우라도, 젊고, 뇌졸중 위험인자와 편마비가 없고, 초기 혈압이 낮은 경우는 실제 뇌졸중이 아닌 경우가 많았음.- 뇌졸중이 의심된 경우라도, 의식저하, 상대적으로 젊은 나이(60세 미만), 높은 초기 혈압, 뇌졸중 위험인자가 없는 경우는 출혈성(뇌출혈)일 가능성이 높았음. - 뇌졸중이 의심된 경우라도, 안구편위, 걸을 수 없는 편마비, 언어장애가 동반된 경우에는 급히 혈관재개통술을 해야 할 가능성이 높았음. 만일 가족 중 누군가 혹은 바로 옆에 있던 사람이 뇌졸중이 의심되는 증상을 보인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에 대한 답을 주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아주대병원 신경과 홍지만·응급의학과 이성은 교수팀은 눈이 한쪽으로 쏠리는 안구편위, 걸을 수 없는 편마비, 언어장애 중 한가지라도 해당된다면 바로 119로 신고하고, 바로 막힌 뇌혈관을 뚫는 응급 혈관재개통술이 가능한 큰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는 연구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연구팀은 4년간 뇌졸중 의심 증상으로 아주대병원 응급실을 방문한 총 1,599명의 환자의 △ 임상정보(Clinical
‘하늘 위 중환자실’ 환자 생명 지킨다삼성서울병원, 4년간 1만 Km를 하늘과 땅으로 이송조양현 교수 “전문 이송팀 역량 뒷받침 결과” 삼성서울병원이 운영중인 이동형 중환자실이 실제 병원 중환자실과 동일한 수준의 치료 환경을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서울병원 심장외과 조양현 교수 연구팀은 지난 2014년 1월부터 2016년 8월 사이 체외생명보조장치(Extra CorporealLife Support, ECLS)를 단 채 삼성서울병원 응급의료헬기 또는 구급차로 이송된 환자들을 분석해 이 같이 밝혔다. 삼성서울병원은 이 기간 체외생명보조장치 유지중인 환자 46명을 다른 의료기관에서 이송해 왔다.하늘과 땅으로 약 1만 km를 이동하였으며, 총 60시간이 이송 작전에 소요되었다. 체외생명보조장치란 환자의 심폐기능을 대신하는 장치로, 환자들은 말 그대로 여기에 의지해 간신히 생명을 붙들고 있다. 이 경우 좀 더 전문적인 경험을 가진 의료진과 시설을 확보한 상급 병원으로 전원해야 한다. 하지만 이런 환자를 옮기는 것 자체가 위험해 환자를 보내야 하는 병원이나 받아야 하는 병원 모두 부담이 큰 탓에 성사되기 쉽지 않다. 연구팀은 이들 중 삼성서울병원 중환자실에서 체외생
기존 표적 항암제의 한계를 극복할 새로운 약물 표적, API5-FGF2 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총장 이은숙)의 이병일, 장현철 교수팀은 여러 발암 유전자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약물 표적을 발굴했다. 암의 가장 큰 발생 원인은 여러 발암 유전자(oncogene)들의 과발현이다. 발암 유전자는 암의 발생뿐만 아니라 증식 및 전이에도 관여하기 때문에, 발암 유전자를 억제하여 암을 치료하고자 하는 연구가 곳곳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발암 유전자를 억제하는 표적 항암제들이 임상에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으나, 많은 경우 내성이 생겨 지속적인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즉, 현재 임상에서 사용 중인 표적 항암제들은 대부분 한두 가지의 발암 유전자를 표적하므로, 해당 표적이 아닌 다른 발암 유전자에 의존하여 증식하는 암을 치료할 수 없는 것이다. 국립암센터 연구팀은 다수의 발암 유전자들을 동시에 제어하는 방법을 찾아 현행 표적 항암제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다. 세포핵(nucleus)의 염색체에 있는 유전정보는 전령RNA(mRNA)로 옮겨지고, 전령RNA는 핵막을 통과하여 세포질(cytosol)에 있는 단백질 합성 공장으로 이동한다. 단백질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이하 코로나19)와 질환의 원인이 되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 또는 2019-nCoV)에 대한 과학 지식과 최신 연구동향을 담은 「코로나19 과학 리포트」를 발행합니다. IBS 과학자들이 국내외 연구동향과 과학적 이슈, 신종 바이러스 예방·진단·치료에 도움이 될 만한 연구진행 상황과 아이디어 등을 시민들과 공유하고자 합니다. 사회경제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확산의 원인 중국에서 시작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확산으로 전 세계가 타격을 받고 있다. 현 사태의 직접적인 원인은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빠르고 광범위한 확산에 있다. 하지만 사회경제적 관점에서는 바이러스 발병 초기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한 중국의 정치경제시스템이 간접적인 원인으로 본다. 2020년 현재 중국 정부는 미중무역전쟁으로 인한 경제성장률 하락, 지방정부 부채의 급격한 확대 등 사회경제적 상황에 직면했다. 게다가 과거 사스(SARS) 사태 때의 ‘과오’를 반복하기도 했다. 2003년 중국 정부는 사스가 이미 광범위하게 발생한 2개월 뒤에 발병을 통보하고 대처를 시작했다. 중국의 가장 큰 명절인 춘절 특수를 이용
개인의 코로나19 경험을 연구로 발전시켜 고려대학교 의과대학(학장 윤영욱) 의학과 4학년 박주얼 학생이 독자적으로 연구한 코로나19 관련 논문 2편이 국제학술지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박주얼 군의 개인적이고 단순한 호기심에서 기인했다. 스리랑카에서 유년시절을 보낸 박주얼 군은 스리랑카가 지하철을 만들 만큼 경제가 발달한 곳이 아니었기에 한국의 지하철은 도시 발전의 상징과 같다고 생각했으며, 지하철역마다 나름의 특징과 이야기가 있는 것에 흥미를 느꼈다. 마침 코로나19로 학사일정이 미뤄져 3주 간 방학이 생겨 실제 한국에서 사회적 거리두기가 얼마나 실천되고 있는지 지하철 통계 데이터를 활용해 연구로 연결했다. 이번 연구는 서울의 지하철 사용량을 추적해 1월에서 3월 사이 사회적 거리두기가 얼마나 실천되고 있는지 간접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특히 노인과 같은 고위험군이나 직장인 같이 자발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하기 어려운 집단이 어떻게 행동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지하철역을 사용 연령에 따라 노년 대 청중장년(Old vs Young), 사용 목적에 따라 직장 대 여가(Work vs Leisure)로 구분했다. 연구 결과, 2월 20일 대구 집단감
암 경험자, 초미세먼지 각별히 유의해야 하는 이유?서울대병원 연구진, 대도시 거주 암 경험자 40,899명 조사 초미세먼지가 암 경험자의 심혈관질환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과 한국환경공단 빅데이터를 활용한 대규모 연구결과다. 서울대병원 박상민 교수팀(김계형 교수, 최슬기 연구원)은 2006년 암 진단을 받은 서울·부산·인천의 암 경험자 40,899명을 추적, 관찰했다. 암 경험자는 암 생존자의 다른 표현으로, 암 진단 후 5년 이상 생존한 사람을 지칭한다. 연구팀은 초미세먼지(입자 지름 2.5㎛ 이하) 노출 정도에 따라 표본을 총 5개 분위로 나눴다. 초미세먼지에 가장 많이 노출된 5분위(평균농도 28.2g/m3 이상)는 가장 적은 1분위에 비해 심혈관질환과 관상동맥질환 위험이 각각 31% , 47% 높았다. 다만,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미세먼지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암 종류를 세분화해 초미세먼지와 심혈관질환위험을 분석했다. 그 결과, 방광암과 유방암 환자가 초미세먼지에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미세먼지에 많이 노출된 5분위 유방암, 방광암 경험자는 1분위에 비해 심혈관질환위험이 각각 125%, 144%
차 의과학대 송지환, 분당차병원 김현숙교수팀전임상 동물모델에서 임상등급 신경줄기세포의 헌팅턴병 치료효과 확인신경줄기세포를 활용한 헌팅턴병 임상 적용의 토대 마련‘임상등급 인간신경줄기세포(CTX0E03)의 이식을 통한 헌팅턴병 전임상 동물 모델에서의 행동학적, 병리학적 기능개선(Implantation of the clinical-grade human neural stem cell line, CTX0E03, rescues the behavioral and pathological deficits in the quinolinic acid-lesioned rodent model of Huntington’s disease)’ 차 의과학대학교 의생명과학과 송지환 교수와 분당차병원 신경과 김현숙 교수팀은 임상등급의 인간 신경줄기세포가 헌팅턴병(Huntington’s disease) 전임상 동물모델에서 치료 효과가 있음을 밝혀냈다. 이번 연구는 헌팅턴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인간 신경줄기세포를 활용한 임상적용의 토대를 마련했다는데 큰 의미를 갖는다. 송지환•김현숙 교수팀은 실험용 쥐로 헌팅턴병 동물모델을 만들고, 인간 신경줄기세포를 손상된 신경조직 부위에 이식했다. 8주후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