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타세포를 보존하는 상호보완적 기전으로 더욱 강력한 혈당강하 확인
초기 신규 환자부터 가능한 보험 급여 적용으로 당뇨병 약제 선택 시 SGLT-2 억제제의 초기 사용 견인차 역할 기대
한국아스트라제네카(대표이사: 리즈 채트윈)가 SGLT-2 억제제 계열의 제2형 당뇨병 치료제 포시가(다파글리플로진)와 비구아니드(Biguanide) 계열의 서방형 메트포르민염산염 복합제인 직듀오 XR(XIGDUO™ XR)을 11월 1일 출시한다.
직듀오 XR은 신규 환자에게 초기 병용 시1부터 보험 급여 적용이 가능한 국내 최초의 SGLT-2 억제제와 메트포르민 XR 복합제다. 다파글리플로진과 메트포르민 병용투여가 적합한 제2형 당뇨병 성인환자의 혈당조절 개선을 위해 식이요법, 운동요법의 보조요법제로 일반적으로 저녁 식사와 함께 1일 1회 복용 한다. 시판 용량은 다파글리플로진/메트포르민HCI 각각 10 mg/500 mg, 10 mg/1000 mg이다. 보험 약가는 784원/정으로 포시가 10mg 약가와 동일하고, 한국아스트라제네카와 CJ헬스케어가 공동으로 판매한다.
신장에서 SGLT-2를 억제해 포도당의 재흡수를 막고 과다한 포도당을 소변으로 배출시키는 SGLT-2 억제제 포시가에 제2형 당뇨병의 1차 치료제이자 초기에 가장 빈도 높게 처방되는 메트포르민을 추가한 직듀오 XR은 상호보완적인 기전의 2개 혈당 강하제를 하나의 경구용 제제로 결합해, 더욱 더 강력한 혈당 강하 효과와 복용 편의성(1일 1회)을 높였다. 당뇨병 초기에 사용 시 혈당을 더 편리하고 강력하게 낮추고, 장기적으로 체중, 혈압 등 심혈관 질환 위험 요소까지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임상 결과를 통해 직듀오 XR 투여가 메트포르민 XR 단독 투여에 비해 유의미한 혈당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 경험이 없고 식사요법 및 운동요법만으로 조절이 어려운 제2형 당뇨병 성인환자에게 직듀오 XR을 24주간 투여한 결과, ▲당화혈색소(HbA1c)는 기저치 대비 2.0% 감소해(–2.13% to –1.83%), 1.4% 감소한 메트포르민 XR 단독투여군과 약 0.6%(–0.75% to –0.33%, p<0.0001)의 차이를 보였다.[2] 더불어 이 같은 당화혈색소 강하 효과는 4년 간의 장기 관찰 데이터에서도 지속적으로 유지됐다. ▲체중과 혈압 감소 등 부가적인 측면에서도 메트포르민 XR 단독투여군과 비교했을 때, 의미 있는 결과를 보였다.
더불어, 최근 발표한 포시가의 국내 Real World Data에 따르면, 포시가를 투여받은 제2형 당뇨병 환자들은 24주차에 혈당과 체중이 각각 0.87%, 1.71kg 감소해 한국인에게도 강력한 혈당 강하 효과를 보였다. 요로감염증과 생식기감염증 등 부작용 발생률은 각각 0.2%, 1.08%로 임상3상 연구결과(요로감염증 4.3%, 생식기감염증 4.8%)보다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고, 당뇨병성 케톤산증과 급성신손상 이상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이는 발매 초기 우려되었던 부작용 발생에 대한 부분을, 실제 임상에서 확인한 의미 있는 결과로 볼 수 있다.
한국아스트라제네카 당뇨사업부 신수희 상무는 “당뇨병 초기단계부터 더 강력한 혈당 강하가 필요한 제2형 당뇨병 환자들에게 직듀오 XR이 좋은 치료 옵션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하고, “직듀오 XR은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혈당을 낮춰주는 것은 물론, 체중, 혈압 등 당뇨병 합병증의 위험인자를 복합적으로 관리하면서 복용 편의성을 높여 환자들의 장기적인 질환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아스트라제네카와 CJ헬스케어는 직듀오 XR 출시와 함께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등 주요 도시에서 의료진을 대상으로 당뇨병의 효과적인 치료의 최신 지견을 공유하기 위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지난 10월 25일 서울 JW메리어트호텔에서 열린 그랜드 심포지엄에서는 강은석 교수(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와 정인경 교수(강동경희대병원 내분비내과)가 발표자로 나서, 직듀오 XR이 한국인 당뇨병 환자들에게 줄 수 있는 이점을 살펴보고, 한국과 유럽의 포시가 Real world data와 최신 임상시험 결과 등을 전달했다. 해당 심포지엄 발표 및 질의응답에서 강은석 교수는 “포시가는 메트포르민과 병용 투여 시 단독투여군보다 더 강력한 혈당 강하 효과를 보였고, 그 효과는 4년까지 지속적으로 유지됐다. 특히, 혈당 강하 효과가 DPP-4 억제제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또한, 정인경 교수는 “실제 Real world data의 임상경험에 바탕했을 때, 포시가는 연령, 성별, 체중과 관계없이 효과적으로 혈당을 강하시켰으며, 체중 및 혈압 감소의 부가적인 이점이 있어 전반적으로 환자들의 만족도가 높았다”고 말했다.
당뇨병에 대하여
전 세계적으로 당뇨병 환자 수는 3억8천2백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되며, 전 세계 당뇨병 유병률은 2035년까지 5억9천2백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제 2형 당뇨병은 성인에서 진단된 모든 당뇨병 증례의 약 90-95%를 차지한다. 제 2형 당뇨병은 혈당 상승을 유발하는 병태생리학적 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질환이다. 시간 경과에 따라 이러한 지속적인 고혈당증으로 인해 질병이 진행된다. 많은 환자들의 경우 현재의 혈당강하요법으로 조절이 불충분하므로 이를 충족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여전히 필요한 상태다.
한국인의 당뇨병에 대하여
만 30세 이상 한국 성인 당뇨병 유병율은 2011년 기준 12.4%로, 8명 중 1명은 당뇨병 환자이지만,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 중 목표 당화혈색소 수치 7% 미만에 도달하는 환자수는 43.4%에 불과하다. 한국 당뇨병 환자의 74.7%가 비만이나 과체중이며, 54.6%는 고혈압을 동반하여 비만형 당뇨병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게다가 한국인은 비슷한 체중의 서양인에 비해 복부비만이 심하고, 선천적으로 비교적 적은 인슐린 분비 기능을 가지고 있어 인슐린 저항성이 유발되면 쉽게 당뇨병에 걸릴 수 있다. 따라서 한국 당뇨병 환자들은 혈당 조절 이외에도 혈압, 체중 관리 등 당뇨병과 관련한 다양한 위험인자를 동시에 치료해야 하는 부담을 안고 있다.
아스트라제네카에 대하여
아스트라제네카는 세 개의 주요 질환 분야 - 호흡기, 감염 및 자가면역 질환(RIA), 심혈관 및 신진대사 질환(CVMD), 암 – 뿐만 아니라 전염병 및 신경과학질환 등의 치료제를 주로 발굴, 개발 및 상용화하는 글로벌 혁신 주도의 바이오 제약 회사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세계 100여 국에서 사업을 추진하고 있고 전세계 수천만 명의 환자들이 아스트라제네카의 혁신적인 의약품으로 치료 받고 있다. 더 상세한 정보는 www.astrazeneca.com 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ferences
1 당화혈색소(HbA1C) 7.5% 이상
2 SGLT-2: Sodium-glucose cotransporter 2 inhibitor
3 metformin hydrochloride extended-release
4 식품의약품안전처_직듀오서방정10_1000밀리그램_용법용량
5 식품의약품안전처_직듀오서방정10_1000밀리그램_효능효과
6 Chen J et al. Diabetes Ther 2010:1:57-92
7 Bernard Zinman. Initial Combination Therapy for Type 2 Diabetes Mellitus:Is It Ready for Prime Time?.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2011) 124, S19–S34
8 S. Goring et al., Dapagliflozin compared with other oral anti-diabetes treatments when added to metformin monotherapy: a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Diabetes, Obesity and Metabolism, doi: 10.1111/dom.12239 2013
9 R.R. Henry, et al. Dapagliflozin, metformin XR, or both:initial pharmacotherapy for type 2 diabet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t J Clin Pract,2012;66(5):446-456
10 Del Prato S, et al. Diabetes Obes Metab 2015;17:581–90; 2
11 In a prespecified pooled analysis of 12 placebo-controlled studies; †Genital infection includes the preferred terms, listed in order of frequency reported: Vulvovaginal mycotic infection, vaginal infection, balanitis, genital infection fungal, vulvovaginal candidiasis, vulvovaginitis, balanitis candida, genital candidiasis, genital infection, genital infection male, penile infection, vulvitis, vaginitis bacterial, and vulval abscess.
12 한국인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다파글리플로진의 유효성 및 안전성 : 시판 후 조사연구의 중간 결과(2016 ICDM 포스터 세션)
ⅲ Kahn SE.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insulin resistance and beta-cell dysfunction to the pathophysiology of type 2 diabetes. Diabetologia. 2003;46:3-19.
ⅴ Kahn SE. Clinical review 135: The importance of β-cell failure i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type 2 diabetes. J Clin Endocrinol Metab. 2001;86(9):4047-4058.
ⅵ Cheung B, Lond, Edin et al. Diabetes Prevalence and Therapeutic Target Achievement in the United States, 1999-2006.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2009;122:443-453.
ⅶ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13 (Korean Diabetes Association/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ⅷ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 <2012 국민건강통계>, p. 56-57
ⅸ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12 (Korean Diabetes Association/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ⅹⅰ Gaede P, et al. N Engl J Med 2003;348:383–93; Gaede P, et al. N Engl J Med 2008;358:580–91; Stratton IM, et al. BMJ 2000;321:405–12 4. 5; Pi-Sunyer FX. Postgrad Med 2009;121:94–107; Williamson DF, et al. Diabetes Care 2000;23:1499–504; Patel A, ADVANCE Collaborative Group. Lancet 2007;370:829–40; Pyǒrälä K, et al. Diabetes Care 1997;20:6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