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0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칼럼

견주관절 연구의 새로운 흐름

New Trend & New Wave


최창혁
(대한견·주관절학회 학술위원장/ 대구가톨릭의대 정형외과학) 


서론

견주관절 분야는 정형외과 영역에서도 가장 활발하게 임상 및 기초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다. 최근 비침습적 술기가 선호됨에 따라 관절경을 이용한 수술 분야가 많은 발전을 이루고 있으며 점차 개방적 수술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수술로 대체되고 있다. 또한 인공 관절에 사용되는 기구에서도 많은 발전이 있어 2000년 초반 68%까지 보고되던 높은 합병증 발생률이 감소하는 추세이며 인공 관절 수명도 증가하고 있다. 최근 건 재생을 위한 줄기세포 치료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머지않아 이를 이용한 치료법이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음에서 임상 및 기초연구의 최신 동향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도록 한다.


줄기세포(Stem cell)를 이용한 건 재생 연구

최근 건 재생을 위한 치료로 중간엽 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를 이용한 치료가 새롭게 연구되고 있다. 건 손상에 대한 중간엽 줄기세포 치료 연구는 현재 수의학 분야에서는 많은 진척이 있는 상태로 말, 쥐 및 토끼 동물 모델에서 건 손상에 대한 치료에서 기계적, 조직학적, 그리고 분자 수준에서의 좋은 결과에 대해 많은 논문들이 발표되고 있다. 최근에는 줄기세포 주입 시 전신적 주입보다 병변에 국소적으로 주입을 하는 것이 더 안전하고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 중간엽 줄기세포 치료는 줄기세포가 타겟이 되는 세포 형태로 분화하여 창상 회복에 기여를 하며 다양한 사이토카인과 성장인자를 분비하여 손상된 조직의 세포증식을 촉진시키고, 면역기능을 조절하여 손상된 조직의 염증반응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되고 있으며, 최근 이에 대해 회전근개 질환 및 주관절 외상과염으로 인한 건병증에 대한 임상시험도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유착성 관절낭염(Adhesive capsulitis) 원인 치료에 대한 연구

유착성 관절낭염은 동결견(frozen shoulder)이라는 용어로도 불리며, 어깨 통증을 유발하는 흔한 원인 중 하나로 능동적 및 수동적 운동 범위가 점진적으로 제한되는 질환이다. 유착성 관절낭염을 일으키는 원인은 매우 다양한데, 견관절 내 국소 병변에 의한 이차적 염증 반응으로 발생할 수도 있지만 국소 병변의 동반 없이 당뇨 및 고지혈증 등 대사성 질환 환자에게서 그 빈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보아 내과적 질환과의 연관성도 있을 것으로 보고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최근 유착성 관절낭염의 원인과 발생 기전을 분석하기 위해 단백질 대사의 결과물인 대사체 중 186개를 타겟으로 분석(metabolomic profiling)한 결과, lipid 관련 metabolite 중의 하나이며 세포 내 콜레스테롤 분포 조절에 중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sphingomyelin 과 glycerophospholipid 가 유착성 관절낭염 환자의 조직에서 유의하게 높게 검출되었으며, 이 대사체들이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와 양의 상관 관계를 보이는 것을 확인, 유착성 관절낭염과 지질 대사가 연관이 있음을 밝혔다. 또한 유착성 관절낭염 치료의 근거를 찾고자 하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약물, 주사 치료 등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유착성 관절낭염은 수술적 치료의 적응증이 되는데 관절경 하 관절낭 절개/절제술에 대표적인 치료법이다. 하지만, 관절낭은 견관절 내부 360도 전체를 싸고 있는 구조물로서 수술 시 그 절개/절제 범위에 대한 근거가 부족한 상태로 유착성 관절낭염 환자에게서 관절낭 절개/절제 시 나오는 조직을 전방/후방 구획 별로 나누어, 각 구획별 관절낭 섬유화 및 강직을 유발할 수 있는 염증, 섬유화 인자들의 발현 정도를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수술적 치료 범위에 대한 기초 근거를 확립하는 연구도 진행 중이다.


견갑골 운동이상증(Scapular dyskinesis) 최신 연구 동향

최근 어깨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의 한 분류로 견갑골 운동이상증(scapular dyskinesis)이 있다. 견갑골 운동이상증이란 견갑골의 위치나 움직임에 이상이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견관절 질환에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나 견관절 질환을 가진 환자의 약 68%-100%에서 동반된다고 알려져 있고 오버헤드 스포츠 선수에서의 스포츠 관련 견주관절 질환과 연관이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 최근 이에 대한 검증이 kinematic analysis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는데 초기에는 사체 조직(cadaeveric model)을 이용한 연구가 주를 이루다가 최근 in vivo 연구가 진행 중이다. 견갑골 운동이상증을 객관적으로 진단하는 방법은 어렵기 때문에 견갑골주위 운동 역학 분석을 위해 근전도 연구, skin marker 및 vicon 등 운동 분석 장비를 이용한 연구들이 행해져 오고 있으며 CT scan 및 fluroscopy 등을 이용한 견갑골 운동 분석 방법(shapematching technique)이 도입되어 견갑골 운동이상증에 대한 기초 연구 등이 행해지고 있다. 현재 정상 견관절의 운동 kinematic 분석, 회전근개 근육 파열의 진단 및 치료의 효과 입증을 위한 kinematics 분석, 회전근개 수술 이후의 경과분석을 위한 kinematics 분석 등도 이루어 지고 있다.


역행성 견관절 전치환술(Reverse total shoulder arthroplasty)의 최신 지견 

역행성 견관절 전치환술은 견관절 회전근개 병증, 광범위 회전근개 파열이 동반된 위마비 및 근위 상완골 골절에 유용하게 쓰이는 치료로 해부학적 구조를 바꾸어 회전 중심(center of rotation)의 내측 이동과 상완골의 하방 이동을 통해 삼각근의 작용력을 높이고 상지 거상 시 상완 컵(humeral cup)이 압박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 회전근개 파열로 기능이 없는 상태에서도 삼각근이 상지의 일차 거상 근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인공관절이다. 점차 그 사용빈도가 증가하여 기존의 인공관절 전치환술(Total shoulder arthroplasty)을 대체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근위 상완골 부정유합 및 불유합, 관절과 골 결손이 동반된 일차성 골관절염, 그리고 인공관절 수술이 실패한 재수술의 경우에도 쓰이고 있다. 주요 합병증 중 하나인 견갑골 함요(scapular notching)에 대해서도 glenosphere 삽입물의 하방 이동과 하방 각형성, baseplate 디자인 변경을 통한 회전 중심의 외측 이동으로 해결하고 있으며, 골결손을 줄이기 위하여 기둥이 없는 상완 삽입물이 고안 되었으며 중간 추적관찰 결과에서 좋은 임상 결과 및 방사선 영상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출처 : E Newsletter No. 77 (2016. 11 월호)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