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8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칼럼

암과 항암제 - 둘

항암제 종류 및 작용기전

1. 알킬화제

유기물질 수소원자를 알킬기로 치환시키는 능력을 가진 물질이며 DNA 알킬화는 DNA 파괴 또는 DNA chain의 교차 결합을 유도하여 DNA 합성을 저해.

시스플라틴-백금착합물. 종양치료에 가장 널리 쓰이는 약물
옥살리플라틴-전이성 대장암, 위암 등에서 5-플루오로우라실과 폴리닌 Folic acid와 병용 투여하며 말초 신경병증 adverse events 80%-90% 나타난다.


2. 항생제

토양에 존재하는 진균인 스트렙토미세스의 여러 균주에서 추출한 물질.
intercalation 과정을 통해 DNA와 결합하여 helix structure를 풀어서 DNA 또는 RNA 합성 저해한다.

독소루비신-직접적인 세포 살해 효과로 여러 암종에서 광범위 항 종양효과를 가지고 있어 가장 널리 사용. DNA 기능에 중요한 효소인 DNA 국소 이성화효소II의 작용을 방해.
부작용으로 탈모, 골수기능 억제, 구내염, 구토, 심각한 조직괴사 등이 나타난다.


3. 식물 유도체

항암효과를 갖는 식물에서 추출. 
빈카알카로이드와 에피포도필록토신이라는 두 가지 계열 약물 사용. 
빈크리스틴과 빈블라스틴은 유럽산의 협죽도과 식물로부터 추출된 알카라이드
포도필른은 Podophylum peltatur 식물 뿌리에서 추출한다.

빈블라스틴-세포내 미세 단백질과 결합하여 세포분열시 이들의 기능을 방해하고 세포분열 중단을 유발하여 항종양 효과. 부작용으로는 골수 기능 억제.
파클리탁셀-Taxus brivifolia라는 태평양 주목에서 추출한 항암제.
부작용으로는 골수기능 억제. 말초신경 독성 62%정도 나타난다.


4. 항대사제

세포기능과 복제에 필요한 정상적인 대사 물질들의 구조적 유사체들.
세포내 효소들과 상호작용하여 항암효과를 나타낸다.
5-플루오로우라실


5. 호르몬과 호르몬 길항제

타목시펜-1966년 영국에서 피임약으로 개발.
항 에스트로겐 효과가 있어 1970년 이후 유방암 치료제로 널리 사용.
TGF-알파의 분비를 감소시키고 유방암 세포의 성장 억제자인 TGF-베타를 분비시킨다.
별다른 독성은 없고 흔한 부작용은 홍조인데 이로 인해 투약을 중지한 사례는 거의 없다.


6. 항체제제

종양세포에 대한 면역체제를 활성화 시키거나 종양진행에 필요한 신호전달 체계를 저해하거나 방사성 동위원소나 항암제등을 종양 부위에만 선택적으로 전달하여 세포독성을 유발한다.

세투시맙-HER-1은 세포표면에 존재하는 170kDa의 성장인자 수용체이며 비소세포폐암, 두경부암, 췌장암, 대장암 등에서 EGFR 과발현이 관찰된다.
Cetuximab은 EGFR에 결합하여 리간드의 결합을 방해함으로써 수용체 활성화를 저해, 세포주기를 G0-G1에서 정지시키며 세포증식을 저해시켜 세포 자멸사를 유도하고 VEGF와 같은 혈관 생성인자의 생성을 억제한다.
베바시주맙-혈관신생을 억제하여 종양주위 혈관이나 종양세포 자체에서 발현된 VEGF가 혈관신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혈관 내피 세포뿐 아니라 종양세포 자체에도 VEGF 수용체의 발현이 관찰되기도 한다.
Bevacizumab은 VEGF에 대한 인간화 단일 클론항체이며 VEGF가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방해한다.


7. 분자 표적 항암제

신호전달 체계에서 tyrosin kinase는 세포 증식, 성장, 이동, 생합성, 세포자멸사 등 다양한 효과를 보이며 암세포에서는 돌연변이, 과발현, 유전자 증폭 등의 다양한 기전에 의해 다양한 tyrosin kinase들이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돼 있다.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저분자량 tyrosin kinase 억제제들이 개발되어 임상에 적용된다.

이마티닙-혈소판 유래 성장인자-베타(PDFGR-베타)등의 ATP 결합부위에 가역적으로 결합하여 활성을 저해하는 저분자량 tyrosin kinase 억제제이다.
제피티닙과 얼로티닙-표피성장인자 수용체는 HER-2, HER-3, HER-4 등과 함께 인간표피 성장인자 수용체군에 속하는 세포막의 단백질이며 다양한 암종에서 발견된다.
Gefitinib과 erlotinib은 EGFR의 ATP결합부위와 경쟁적으로 결합하여 Ras-Raf-MAPK, Pl3K-Akt-mTOR 경로를 통한 신호전달 체계의 활성도를 저하시킨다.
라파티닙-EGFR과 HER-2 두 가지 성장인자 수용체를 억제하는 Tyrosin kinase 억제제이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