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골형성 촉진 및 골흡수 억제 이중 효과의 골다공증 치료제 로 식약처 허가 획득1
- 우수한 골절 위험 감소 및 신속한 뼈 생성 효과 입증2하며 5월 31일 국내 승인1
암젠코리아(대표: 노상경)는 골형성 촉진과 골흡수 억제 두 가지 효과를 가진 골다공증 치료제 ‘이베니티™주 프리필드시린지(EVENITY™, 성분명: 로모소주맙)2가 5월 31일 식품의약품안전처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1
식약처 허가에 따라 이베니티는 ▲골절 위험이 높은 폐경 후 여성 골다공증 환자의 치료 ▲골절 위험이 높은 남성 골다공증 환자의 골밀도 증가를 위하여 사용 가능하다.1
이베니티는 골형성을 저해하는 단백질인 스클레로스틴(Sclerostin) 표적 치료제로, 해당 단백질을 억제해 골형성을 증가시키고, 골흡수는 억제하는 이중 효과를 보인다.2 이베니티는 한 달에 한 번, 총 210mg 용량을 두 번에 나누어 각각 다른 투여 부위에 105mg 씩 연속 2번 피하 주사한다. 총 12회 투여하며, 그 이후에는 골흡수 억제제를 통한 유지요법이 필요하다.1
대한골대사학회 정호연 이사장은 “골다공증 치료는 골절 예방을 최우선 목표로 삼는다. 이를 위해 기존 뼈 손실을 막고 동시에 새로운 뼈를 생성하는 것은 신속한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옵션 중 하나이다. 이베니티는 골형성 촉진과 골흡수 억제 두 가지 효과를 동시에 내는 골다공증 치료제로 폐경 후 여성과 남성 환자 모두에서 우수한 치료 효과를 입증했다. 골절 위험이 높아 보다 강력한 골다공증 치료가 필요한 국내 환자들에게 이베니티가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암젠코리아 노상경 대표는 “이베니티는 프롤리아에 이어, 암젠코리아가 국내에 두 번째로 선보이는 골다공증 신약으로 국내 의료진과 환자들에게 임상적 유용성을 갖춘 다양한 골다공증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 며, “급속한 고령화로 국내 골다공증 환자가 계속 증가하고 있고, 골다공증성 골절로 인한 삶의 질 하락과 사회적 부담은 점점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암젠코리아는 골다공증 치료 분야의 리더십을 바탕으로 환자와 의료진이 더욱 효과적으로 골다공증 질환을 관리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베니티의 식약처 허가는 폐경 후 여성 골다공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3상 임상연구 FRAME2, ARCH , 와 남성 골다공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3상 임상연구 BRIDGE 를 기반으로 이뤄졌다.
먼저 위약-대조 3상 임상시험인 FRAME 을 통해 이베니티는 전고관절 또는 대퇴골 경부 골밀도 T-score가 -2.5에서 -3.5로 골절 위험이 높은 폐경 후 여성 환자에서 척추 골절 위험을 낮추는 효과를 보였다. 이베니티로 치료 받은 1년 차에는 위약군 대비 이베니티 치료군에서 새로운 척추 골절 위험이 73% 감소했다(p<0.001). 이베니티 1년 치료 후 프롤리아로 전환한 치료 2년 차에는 위약에서 프롤리아로 전환한 환자군 대비 새로운 척추 골절 위험이 75%까지 감소했다(p<0.001).2
또한, 알렌드로네이트-대조 3상 임상시험인 ARCH 에서 이베니티는 골다공증과 취약성 골절이 있는 폐경 후 여성 환자에서 알렌드로네이트 (Alendronate) 대비 척추 골절과 임상적 골절 모두 우수한 예방 효과를 입증했다. 이베니티 1년 치료 후 알렌드로네이트로 전환한 군에서는 알렌드로네이트 지속 치료군 대비 24개월 시점에 새로운 척추 골절 위험을 50% 낮췄고(p<0.001), 1차 분석시점(중앙값 33개월 시점)에서의 임상적 골절 위험을 27% 낮췄다(p<0.001).3,4
마지막으로 남성 골다공증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BRIDGE 임상에서 이베니티는 위약 대비 요추 골밀도를 12개월에 12.1% 증가시켜, 유의미한 골밀도 개선 효과를 보였다(p<0.05).5
한편, 이베니티를 투여하는 동안 심근경색 및 뇌졸중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어 지난 1년 이내에 해당 질환을 경험한 환자에게는 투여가 제한된다. 이베니티는 올해 2019년 1월 일본 후생노동성 에서, 2019년 4월 미국 식품의약국6에서 승인을 받은 바 있다.
◆ 이베니티(Evenity)에 대하여2,3,5,6
이베니티는 골형성을 저해하는 단백질인 스클레로스틴(Sclerostin)을 표적해 골형성 증가와 골흡수 억제 이중 효과를 나타내는 인간 단클론항체다. 이베니티는 14,000명 이상의 환자 대상 19개 임상연구를 통해 개발되었다. 대표적으로 폐경 후 골다공증 여성 환자 대상 광범위한 글로벌 3상 임상연구 FRAME과 ARCH를 통해 우수한 골절 예방 및 골밀도 개선 효과를 입증했으며, BRIDGE 임상을 통해서 남성 골다공증 환자에서도 효과적인 골밀도 개선 효과를 나타냈다.
◆ FRAME 임상 연구에 대하여 2
이베니티는 전고관절 또는 대퇴골 경부 골밀도 T-score가 -2.5에서 -3.5인 폐경 후 여성 골다공증 환자 7,18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3상 임상연구(FRAME)에서 위약 대비 유의한 골절 예방 효과를 입증했다. 해당 연구에 참여한 환자들은 이베니티 투여군과 위약 투여군으로 나뉘어 먼저 12개월 간 치료 받았고, 그 후에는 두 그룹 모두 프롤리아로 전환해 추가로 12개월 간 치료 받았다. 공동 1차 유효성 평가변수는 12개월 및 24개월까지의 새로운 척추 골절의 누적 발생률(Cumulative Incidences)이었다.
치료 12개월 시점에서 이베니티 투여군의 새로운 척추 골절 발생률은 0.5%(n=16/3,321)로 1.8%(n=59/3,322)를 기록한 위약군 대비 새로운 척추 골절 발생 위험을 73% 낮췄다(p<0.001). 임상적 골절(Clinical Fractures) 발생률은 이베니티 투여군이 1.6%(n=58/3,589)로 위약군 2.5%(n=90/3,591) 대비 36% 골절 발생 위험을 낮췄다(p=0.008).
이베니티 투여군과 위약군 모두 프롤리아로 전환해 12개월 간 추가 치료를 진행한 24개월 시점에서, 이베니티 투여군의 새로운 척추 골절 발생률은 0.6%(n=21/3,325)로 위약군 2.5%(n=84/3,327) 대비 새로운 척추 골절 위험을 75%로 유의하게 낮췄다(p<0.001).
◆ ARCH 임상 연구에 대하여3,4
골다공증과 취약성 골절이 있는 폐경 후 여성 환자 4,093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3상 임상연구 (ARCH)에서 이베니티는 비스포스포네이트 계열 치료제 알렌드로네이트(Alendronate) 대비 우수한 골절 예방 효과를 보였다. 임상연구에 참여한 환자들은 월 1회 이베니티 투여군과 주 1회 알렌드로네이트 투여군으로 나뉘어 먼저 12개월 간 치료 받았고, 그 후에는 두 그룹 모두 알렌드로네이트로 전환하여 치료 받았다. 1차 유효성 평가변수는 24개월까지의 새로운 척추 골절 발생률과 1차 분석시점(중앙값 33개월 시점)에서의 임상적 골절의 누적 발생률이었다.
치료 24개월 시점에서 이베니티 투여군의 새로운 척추 골절 발생률은 4.1%(n=74/1,825)로 8.0%(n=147/1,834)의 알렌드로네이트 투여군 대비 새로운 척추 골절 발생 위험을 50% 감소시켰다(p<0.001). 1차 분석시점(중앙값 33개월 시점)에서의 임상적 골절 누적 발생률도 이베니티 투여군이 9.7%(n=198/2,046)로 알렌드로네이트 투여군 13%(n=266/2,047) 대비 27% 골절 발생 위험을 낮췄다(p<0.001).
◆BRIDGE 임상 연구에 대하여5
요추나 전고관절, 또는 대퇴골 경부의 골밀도 T-score가 -1.5 이하지만 45세 이후에 골절경험이 있거나, T-score가 -2.5 이하인 남성 골다공증 환자 245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3상 임상연구(BRIDGE)에서도 이베니티는 위약 대비 효과적인 골밀도 개선 효과를 입증했다.
해당 연구의 1차 유효성 평가변수는 치료 12개월 시점에서 요추 골밀도의 변화율이었다. 이베니티는 12개월 시점에서 요추 골밀도 12.1%, 전고관절 골밀도 2.5%, 대퇴골 경부 골밀도를 2.2% 개선하며 위약 대비 수치상 유의미한 골밀도 개선 효과를 나타냈다(p<0.05).
암젠(Amgen)에 대하여
암젠은 혁신 치료제를 발견, 개발, 제작 및 공급함으로써 심각한 질환으로 고통 받고 있는 환자들을 위해 생물학적 가능성을 개발하는데 헌신하고 있다. 이러한 헌신은 질병의 복잡성을 타파하고 인간 생물학의 기초를 이해하기 위해 진보된 인간 유전학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암젠은 많은 의학적 미충족 니즈가 있는 분야에 집중하며 암젠의 전문성을 발휘하여 치료 결과를 개선하고 환자들의 삶을 극적으로 개선하고 있다. 1980년부터 바이오기술의 선구자로 자리잡은 암젠은 독립적인 바이오테크 회사들의 글로벌 리더로 성장하였으며 전 세계 수백 만 명의 환자들과 만나고 파격적인 가능성을 지닌 치료제 파이프라인을 개발하고 있다. 더 자세한 내용은 www.amgen.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암젠코리아(Amgen Korea)에 대하여
암젠은 골질환, 심혈관질환, 혈액종양/암, 신장질환, 염증질환, 뇌과학, 바이오시밀러 치료제 등을 포함하는 자사의 임상 파이프라인을 발전시키고 중증질환으로 고통 받고 있는 국내 환자들에게 혁신적인 치료제를 공급하기 위해 2015년 11월 암젠코리아를 설립하였다. 앞으로도 암젠코리아는 생명공학 분야의 일원으로, 다양하고 적극적인 활동을 전개하여 국내 제약 산업 발전에 기여할 예정이다.
References
1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 수입품목 허가증. 20190531.
2 Felicia Cosman, et al., “Romosozumab Treatment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Osteoporosi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75, 16 (2016):1532-1543.
3 Kenneth G Saag, et al., “Romosozumab or Alendronate for Fracture Prevention in Women with Osteoporosi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77, 15 (2017):1417-1427.
4 Amgen. EVENITY (romosozumab) Core Data Sheet; Date 09-Oct-2018
5 EM Lewiecki, et al., “Results of a Phase 3 Clinical Trial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omosozumab in Men with Osteoporosis”, abstract in 2016 ACR/ARHP Annual Meeting (September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