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0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칼럼

국가 감염병 대유행 대비와 백신 신속개발


적어도 내 기억의 범위 내라면 전 세계를 공포의 도가니로 몰아넣은 감염병대유행에 관한 한 정부의 대응은 합격점이었다.

가깝게는 2009년 신종인플루엔자가 그랬고 좀 멀게는 2003년 사스가 그랬다.

약 8,300명의 환자가 발생하여 800명 가까운 사망자가 발생했던 사스가 한국에서는 별다른 문제없이 지나갈 수 있었으며 인플루엔자백신공장을 국내에 4-5개나 두고도 1억도스 가깝게 외국에서 신종인플루엔자백신을 수입하느라 법까지 바꿔가며 법석을 떨었던 일본과는 달리 우리나라 정부는 그해 처음 생산하는 플루백신공장시설 하나로 백신을 한개도 수입하지 않고 전 세계를 뒤덮은 신종인플루엔자를 나름 선방하며 넘어간 셈이다.

성공의 경험은 대단한 것이었다.

정부는 내친 김에 자신감을 보이며 백신주권을 확보하겠다는 결기를 보였고 백신회사들을 독려하고 있다.

어떤 의미에서 'Again 2009!'와 한일월드컵의 신화가 오버랩 되기도 한다.

최근 감염병 대유행대비 국가백신 연구개발 현황 및 대응방향에 대한 회의가 있었다.

가상시나리오로 어떤 특정감염성질환이 발생했을 때 회사별 생산능력에 대한 점검, 허가 시나리오, 접종대상에 대한 수급 및 접종계획이 있었다.

지난 신종인플루엔자에 대한 관리경험은 향후의 가상 감염병질환에 대한 대응에 많은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였다.

WHO와 같은 국제기구가 모든 것을 총지휘하고 일사분란하게 세계가 그들의 계획을 따르는 것이라면 별로 커다란 문제가 생기지는 않을 듯 하다는 걸 확인하는 자리가 될 수도 있었다.

누군가가 질문을 했다.

그런데 만일 우리나라에서 먼저 감염병이 생기는 상황이 오면 어떻게 해야 되죠?


가령 예를 들면 H7N9 조류인플루엔자는 중국 다음으로 확률이 높은 나라가 우리나라다.

물론 중국뿐 아니라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국가 그리고 WHO에서도 오래전부터 관심을 가지고 모니터링을 해오던 균주다.

따라서 중국도 일본도 대만도 H7N9에 대한 개발은 이미 많이 진행이 되었고 아마도 이 균주가 판데믹이 된다면 아마도 WHO가 중심이 되어 이들의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균주를 얻어 생산하면 문제는 없을 것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세계 최초로 처음 생기는 감염병이 나올 경우 어떻게 대처해야하느냐는 것은 한 참석자의 질문처럼 매우 심각한 문제가 된다.

일어날 확률이 높은 것은 아니라지만 전문가들이 오래전부터 찜찜하게 우려해오던 건이 하나 있었다.

H5N8 조류인플루엔자가 그것이다.

 

며칠 전 전북 김제에서 AI로 의심되던 한 농가의 오리들이 전북 농림축산검역본부의 검사결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H5N8으로 확진되었다.

약 1만2천 마리의 오리는 확진 하루전날 살처분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백신개발수준은 first mover 역할은 해 본 적도 없고 일반의 상식처럼 fast follower도 아니었다. 단지 follower였을 뿐이다.

worst scenario로 만일 H5N8이 한국에서 국지적으로 발생한다면 WHO는 글로벌 대책은 커녕 아예 관심조차 안가질 수도 있다.

성홍열의 발생도 소리 없이 올라간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들린다.

 

백신주권이라고 해외에서 얼마든지 구할 수 있는 싸고 안전한 품질 좋은 백신을 모두 국내에서 생산하자는 의도는 아닐 것이다.

이 땅에서 문제가 생겼을 때 외부에서 해결이 안 되는 경우 어떤 시나리오로 접근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할 듯하다.

 

현자들의 지혜와 힘 있는 자들의 결단이 필요한 시기이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