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8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칼럼

콜레스테롤의 관리는?

건강검진을 받으면 가장 많이 듣는 얘기가 높은 콜레스테롤을 주의하라는 당부이다.

특히40-60대 이후 나이가 들어 갈수록 콜레스테롤 위험성에 대한 경고를 다른 질병과 연관하여 자주 듣게 된다.

콜레스테롤은 체내에 존재하는 지질의 일종이지만 동맥경화증과 묶여 강조되다 보니 심장과 뇌 혈관질환을 일으키는 주범으로만 알려졌다. 하지만 콜레스테롤은 생명유지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물질 중에 하나이다.

콜레스테롤은 세포막을 만드는 데 필요하다. 

생물체의 체온 범위 내에서 세포막의 유동성을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세포막 내에서 콜레스테롤은 세포 신호전달과 신경 전도와 관련한 세포 내 수송에 관여한다. 세포 내에 존재하는 콜레스테롤은 많은 생화학 합성 기전의 전구 분자로 그 역할을 한다. 간에서 콜레스테롤은 쓸개즙으로 전환되어 쓸개에 저장된다. 

쓸개즙은 소화관에서 지방성의 분자들을 용해하여 흡수를 용이하게 한다. 콜레스테롤은 또한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합성에도 중요한 전구체 분자이다.

콜레스테롤은 건강을 해치는 위험물질로 무조건 낮아야 한다고 잘못 알려져 잊지만 적정 수준의 콜레스테롤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콜레스테롤에는 HDL과 LDL 콜레스테롤이 있다. HDL은 혈액과 조직에 있는 콜레스테롤을 제거해 동맥경화를 예방해주는 기능을 하고 LDL은 동맥경화증을 촉진해 심장병과 뇌졸중을 일으키는 콜레스테롤이다. 

따라서 LDL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수치는 낮추고 HDL 콜레스테롤로 수치를 높여 균형 있게 관리하는 게 중요하다.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다고 당장 건강에 위험이 생기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콜레스테롤 관리 하지 못해 발생하는 대표적인 질환은 뇌경색과 심근경색이다.

이러한 질환은 콜레스테롤로 인해 혈관이 서서히 막히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몸에 나타나는 별다른 증상은 없다. 그러나 일단 혈관이 막히게 되면 수 시간 내 사망에 이르거나 치명적인 후유증을 남긴다.

비만 등으로 인해 혈관에 지질단백질들이 많이 쌓이면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지므로 건강이상을 판단하는 데도 많이 측정된다. 크게 HDL(high density lipoprotein)과 LDL(low density lipoprotein)에 함유된 콜레스테롤을 측정한다. 

LDL이 혈관에 쌓이는 지질단백질로서, 지방뿐만 아니라 콜레스테롤 역시 많이 함유하고 있다. 콜레스테롤 자체는 인간건강에 크게 위협적이지 않지만 LDL에 같이 포함되어 있어서 건강지표로 이용된다.

콜레스테롤은 HDL이 낮은 것보다 LDL이 높을 때 주의하여야 한다.

식이요법과 적당한 운동을 병행하는 생활습관은 LDL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감소시키고 HDL 콜레스테롤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식이요법으로는 고기류, 버터 마이요네즈 등 포화지방산 섭취를 줄이고 콜레스테롤 함량이 많은 계란 노른자 등을 적게 먹도록 한다. 해산물은 콜레스테롤 함량이 많아서 기피해야 하는 음식이지만 타우린이 함유돼 있어 적당히 섭취하면 오히려 HDL 콜레스테롤이 높아진다.

중성지방 수치는 식습관 개선하는 것만으로 가능하고 운동은 30분 이상 유산소 운동을 매일 실시한다.

이러한 생활습관 개선에도 콜레스테롤 수치가 조절되지 않으면 의사의 권고를 받아 약물요법을 병행해야 한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