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4 (일)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제브타나®, 2차 안드로겐 수용체 억제제 대비 생존 개선 효과 확인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환자 대상

ESMO 2019와 NEJM 통해 제브타나®의 도세탁셀 및 안드로겐 수용체 억제제 치료 후 진행된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환자 대상 CARD 임상연구 결과발표 
제브타나®,안드로겐 수용체 억제제 대비 방사선학적 무진행생존기간(rPFS) 두 배 연장 및 사망 위험 36% 유의미하게 감소




사노피-아벤티스 코리아(대표 배경은)는 CARD 임상연구를 통해 자사의 전립선암치료제 ‘제브타나®(성분명: 카바지탁셀)’가 도세탁셀과 안드로겐 수용체 억제제치료 경험이 있는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mCRPC, metastaticcastration-resistantprostatecancer) 환자들에게서 효과와안전성에 있어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고 밝혔다.

제브타나®의 CARD 임상연구 결과는 지난 9월 30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2019 유럽종양학회 연례학술대회(2019 European Society of Medical Oncology Congress)에서 발표됐으며,같은 날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슨(NEJM,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도 게재됐다.

CARD는 도세탁셀 치료 경험이 있으며 안드로겐 수용체 억제제 치료 중 12개월 이내에 질병이 진행된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환자 255명을 대상으로 했으며,이들 환자에게서 적절한 치료 순서를 알기 위해 진행한 무작위, 오픈라벨 임상연구다. 대조군은 이전 치료 경험에 따라 아비라테론 또는 엔잘루타마이드를 복용했다.

이에 따르면 제브타나® 투여군(N=129)은 1차 평가 변수인 방사선학적 무진행생존기간(rPFS, radiographicprogressionfree survival)이 대조군(N=126)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제브타나® 투여군 8개월 vs 대조군 3.7개월, 중앙값; HR=0.54; 95% CI,0.40–0.73; p<0.0001). 이 같은 결과는 사전 정의된 모든 하위 집단에서 이전 안드로겐 수용체 억제제 치료 기간과 관계없이 나타났다. 

제브타나®  투여군은 2차 평가 변수인 전체생존기간(OS, overallsurvival)도 13.6개월(중앙값)로 대조군(11.0개월)대비 2.6개월 연장시켰으며,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 위험도를 36% 감소시켰다(HR=0.64; 95% CI, 0.46–0.89; p=0.0078). 또한 무진행생존기간(PFS), 전립선 특이항원(PSA),종양 반응,통증 반응, 증상이 있는 골격계반응 등 다른 2차 평가 변수들에서도 유의미한 개선 효과가 확인됐다. 더불어 모든 등급의 중대한 이상 반응 발생은 제브타나® 투여군과 대조군에서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약제와 관련된 새로운 안전성 이슈도 관찰되지 않았다.

이번 연구를 총괄한 네덜란드 로테르담 에라스무스대학병원 로날드드뷔트(RonalddeWit) 교수는 “제브타나®는CARD 임상연구를 통해 방사선학적 무진행생존기간(rPFS)과 전체생존기간(OS)에서 아비라테론 또는 엔잘루타마이드와 비교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을 보였다”며, “이번 연구 결과가 향후 전이성 전립선암 치료 가이드라인에 반영될 것으로 기대되며, 실제 임상 현장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제브타나®는 우리나라에서 지난 2011년 3월 31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프레드니솔론과 병용하여 이전에 도세탁셀을 포함한 화학요법 치료 경험이 있는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환자의 치료제로 허가를 받았으며, 2018년 5월 1일부터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2차 치료제로 건강보험 급여가 가능하다. 



CARD 임상연구에 대하여

CARD는 도세탁셀 치료 경험이 있으며 안드로겐 수용체 억제제 치료 중 12개월 이내에 질병이 진행된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환자 255명을 대상으로 적절한 치료 순서를 알기 위해 진행한 무작위, 오픈라벨 임상연구다. 유럽 13개국, 62개 병원에서 도세탁셀과안드로겐 수용체 억제제의 치료 순서에 관계없이 대상 환자가 모집됐다. 제브타나 투여군은 제브타나(25mg/m2)를 3주에 한 번 정맥 투여하고 프레드니손 및 과립세포군 촉진인자(G-CSF,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를 매일 처방 받았다. 대조군은 앞선 치료 경험에 따라 아비라테론(1000mg) 및 프레드니손 또는 엔잘루타마이드(160mg)를 매일 복용했다.

1차 평가변수는 방사선학적 무진행생존기간(rPFS)으로제브타나®투여군(N=129)은아비라테론 또는 엔잘루타마이드(N=126) 대비 2배 이상 증가 됐다(8개월 vs 3.7개월; HR=0.54; 95% CI,0.40–0.73; p<0.0001). 이러한 결과는 사전 정의된 모든 하위 집단에서 안드로겐 수용체 억제제의 치료 기간과 관계없이 일관성을 보였다. 또 제브타나®투여군은 2차 평가변수인 전체생존기간(OS)에서도 유의미한 연장 효과(13.6개월 vs 11.0 개월; HR=0.64; 95% CI, 0.46–0.89; p=0.0078)가 확인됐으며,대조군 대비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 또한 36% 감소시켰다. 또한 다른 2차 평가변수인 무진행생존기간(PFS; 중간값 4.4개월 vs 2.7 개월; p<0.0001), 확인된 전립선 특이항원(PSA; 35.7% vs 13.5%; p=0.0002), 종양 반응(36.5% vs 11.5%; p=0.004), 통증 반응(45.0% vs 19.3%; p<0.0001), 골격계증상 발생까지의 기간(NR vs 16.7 개월; p=0.0499)에서도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모든 등급의 중대한 이상 반응 발생은제브타나®투여군(38.9%)과 대조군(38.7%)에서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약제와 관련된 새로운 안전성 이슈는 관찰되지 않았다. 3등급 이상의 이상 반응이 나타난 환자의 비율은 제브타나® 투여군이 56.3%, 안드로겐 수용체 억제제 투여군은 52.4%였다. 확인된 주요 이상 반응은 신장 장애(3.2% vs 8.1%), 감염(7.9% vs 7.3%), 근골격계 통증/불편(1.6% vs 5.6%), 심장 질환(0.8% vs 4.8%), 무력감(4.0% vs 2.4%), 설사(3.2% vs 0), 말초신경증(3.2% vs 0), 호중구 감소증(3.2% vs 0)이었다. 이상 반응에 의한 사망은 제브타나®투여군에서 7명, 안드로겐 수용체 억제제 투여군에서 14명이었다(5.6% vs11.3%).


전립선암에 대하여


전립선암은 같은 전립선암 내에서도 여러 이질성을 보이는 질환으로 남성에서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는 암 중 하나다.  



전립선암은 미국 내 암 관련 사망원인 2위, 유럽 내 3위를 차지하고 있는 암종이다 .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mCRPC, Metastaticcastration-resistantprostatecancer)은 더 이상 안드로겐 차단 치료(ADT, AndrogenDeprivationTherapy)에 반응하지 않으며 전립선 이외의 기관으로 질병이 진행된 것을 의미한다.


제브타나®(카바지탁셀)에 대하여



제브타나®는 반합성탁산계 항암화학요법(taxanecheomotherapy)으로, 튜불린에 작용하는 미세소관 억제제다. 이는 미세소관을 세포 분열 주기의 분열기와 간기를 방해한다. 

제브타나®는 프레드니솔론과 병용 투여하여 이전에 도세탁셀을 포함한 화학요법 치료 경험이 있는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환자의 치료로 적응증을 받았다. 


References
1 의약품안전나라>통합검색>의약품등정보검색>제브타나 (Accessed on 2019-10-04)
2 건강보함심사평가원공고제2018-103호, 암환자에게처방투여하는약제에대한요양급여의적용기준및방법에관한세부사항, Released on 2018-04-30
4  Siegel RL, Miller KD, Jemal A. Cancer statistics, 2019. CA Cancer J Clin. 2019;69(1):7-34.
5  Malvezzi M, Carioli G, Bertuccio P, et al. European cancer mortality predictions for the year 2019 with focus on breast cancer. Ann Oncol. 2019;30(5):781-787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