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WELFARE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 (2월 20일)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는 2020년 2월 20일 오전 9시 현재, 전일 오전 9시 대비 36명(전일 16시 대비 31명)이 추가되어 현재까지 82명이 확진 되었으며, 이 중 66명이 격리 입원 중이다. 또한, 10,446명은 검사 음성, 1,633명은 검사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국내 신고 및 관리 현황 (2월 20일 09시 기준, 1월 3일 이후 누계) 

구분

총계

확진환자

검사현황

격리중

격리해제

소계

검사 중

결과 음성

220()

09시 기준

12,161

82

12,079

1,633

10,446

66

16

219()

09시 기준

10,411

46

10,365

1,030

9,335

34

12

전일대비

증감

+1,750

+36

+1,714

+603

+1,111

+32

+4


새로 확인된 환자 36명 중 35명은 대구·경북 지역에서 1명은 서울에서 확인되었다. 


대구·경북 지역 35명 중 28명은 31번째 환자가 다니던 교회 (신천지대구교회) 발생 사례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2명은 청도 소재 의료기관(청도 대남병원), 기타 5명은 연관성을 확인 중이다.


서울 지역 1명은 폐렴 환자로 종로구 보건소 선별진료소를 거쳐 확진되었다.


현재까지 확인된 대구·경북 지역에서 발생한 49명*과 관련하여  신천지대구교회 사례와 청도 대남병원 사례의 연관성을 밝히는 데 조사를 집중하고 있다. 


* 2월 18일 정례브리핑 발표 1명 (31번째 환자), 2월 19일 정례브리핑 발표 13명, 2월 20일 정례브리핑 발표 35명 기준   





31번째 환자가 2월 초 청도 지역에 방문한 것으로 확인되어 당시 청도 대남병원 등에 두 발생 사례와 공통적으로 연계된 감염원이 있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청도 대남병원 환자 및 직원 등을 대상으로 전수 검체검사를 포함한 역학 조사와 방역조치를 진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2월 중 신천지대구교회 예배에 참석하거나 청도 대남병원을 방문했던 분들은 가급적 대외 활동을 삼가고 집 안에 머물고, 발열 또는 호흡기 증상이 있을 경우 의료기관을 방문하기 전에 관할 보건소나 질병관리본부 안내센터(1339) 등에 문의한 뒤 가까운 선별진료소를 통해 진료를 받을 것을 권고하였다.


2월 20일 서울에서 새로 확진된 1명(56번째 환자, 45년생, 남성)은 폐렴으로 종로구 보건소 선별진료소를 거쳐 2월 19일 확진되어 현재 서울의료원에 격리 입원 중이다. 


해당 환자는 1월말 경에 종로노인종합복지관을 방문한 것으로 현재까지 확인되어, 29번째 환자와의 연관성을 조사중에 있다.  


또한, 40번째 확진 환자에 대한 역학조사 경과를 발표하였다.


40번째 환자(43년생, 남자, 한국 국적)의 접촉자는 현재까지 8명이 확인되었고, 접촉자에 대해서는 자가격리 등 조치 중이다. 


환자는 2월 11일경 기침 증상이 발생하였으며, 증상 발현 1일 전부터 격리 시점까지 의료기관, 대형마트 등을 방문하였으며, 방문한 장소 및 접촉자에 대해 추가 조사 중이다. 


또한 16번째 확진자(77년생, 여성, 한국 국적)와 관련하여 격리 조치 되었던 접촉자 450명에 대한 격리조치가 2월 20일 0시 기준으로 해제되었다.

 

접촉자 중 의료기관(21세기병원)과 시설(소방학교)에 격리되었던 접촉자 60*명과 자가격리 중이던 의료기관 종사자 41명에 대한 코로나19 검사를 시행한 결과 모두 음성으로 확인되었다.    


 * 소방학교 36명, 21세기병원 24명 


또한 의료기관과 시설에 격리 중이던 환자들을 돌본 의료진과 지원 인력 60명 모두 음성으로 확인되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현재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사회 전파가 확인되는 상황이라고 밝히고, 해당 지역 등을 중심으로 환자를 신속히 발견하고, 발견된 환자는 신속히 격리하며, 적극적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진단검사 가능 기관 확대를 위한 정도관리 교육 및 정확도 평가를 완료하고, 2월 20일부터 기존 46개 기관에서 77개 기관*까지 추가 확대한다고 밝혔다. 


* 검사가능기관 목록은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에 별도 공고 예정이며 기관별로  실제 검사 시작 시기는 일부 상이할 수 있음

 

아울러, 현재까지 알려진 집단 노출과 관련된 것으로 생각되는 경우에는 관할 보건소를 거쳐, 신속히 검사를 받아 달라고 당부했다. 


또한, 의심되는 증상에 대해 의료진이 검사를 권고할 경우 이에 적극 협조하고 의료진이 검사를 권하지 않을 때는 과도한 불안을 갖기 보다는 자택에서 휴식을 충분히 취하는 등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줄 것을 당부하였다.


일반 국민들께서는 코로나19 국민행동수칙을 숙지하고, 일상 생활에서 이를 꼭 준수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민행동수칙


 ☑ 일반국민 행동수칙


 ① 물과 비누로 꼼꼼히 자주 손씻기

 ② 씻지 않은 손으로 눈·코·입 만지지 않기

 ③ 기침할 때는 옷소매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하기

 ④ 발열, 기침 등 호흡기 증상이 있는 사람과 접촉 피하기

 ⑤ 사람 많은 곳 방문 자제하기

 ⑥ 특히, 노인·임산부·만성질환자 등은 외출 시 마스크 착용하기





☑ 발열, 기침 등 호흡기 증상이 있을 시 행동수칙 


① 발열, 기침 등 호흡기 증상이 있을 시 마스크 착용하기

② 외출을 자제하고 집에서 하루 이틀 경과를 관찰하며 휴식을 취하기

③ 의료기관 방문 시 반드시 마스크 착용 및 자차 이용 권고

④ 진료 전 의료진에게 해외 여행력 및 호흡기 질환자 접촉 여부 알리기

⑤ 의료인과 방역당국의 권고 잘 따르기

⑥ 경미한 발열, 기침 등 호흡기 증상 있을 시 대형병원, 응급실 방문 자제하고, 관할 보건소·120콜센터 또는 1339 콜센터에 상담하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


□ 확진 환자 현황 (2월 20일 09시 현재)


성별

출생연도

국적

우한

방문

입국

일자

확진

일자

입원

기관

접촉자수

(3,091)

격리조치 중

(1,395)

1

’84

중국

O

1.19

1.20

격리 해제

45

0

2

’64

한국

O

1.22

1.24

격리 해제

75

0

3

’66

한국

O

1.20

1.26

격리 해제

16

0

4

’64

한국

O

1.20

1.27

격리 해제

95

0

5

’87

한국

O

1.24

1.30

서울의료원

31

0

6

’64

한국

X

-

1.30

서울대병원

17

1

7

’91

한국

O

1.23

1.30

격리 해제

9

0

8

’57

한국

O

1.23

1.31

격리 해제

113

0

9

’92

한국

X

-

1.31

서울의료원

2

0

10

’66

한국

X

-

1.31

서울대병원

43

0

11

’95

한국

X

-

1.31

격리 해제

0

0

12

’71

중국

X

1.19

2.1

분당서울대병원

422

0

13

’92

한국

O

1.31

2.2

국립중앙의료원

0

0

14

’80

중국

X

-

2.2

분당서울대병원

3

0

15

’77

한국

O

1.20

2.2

국군수도병원

15

4

16

’77

한국

X

1.19

2.4

격리 해제

450

64

17

’82

한국

X

1.24

2.5

격리 해제

290

0

18

’99

한국

X

1.19

2.5

격리 해제

8

0

19

’83

한국

X

1.23

2.5

서울의료원

68

1

20

’78

한국

X

-

2.5

국군수도병원

2

0

21

’60

한국

X

-

2.5

서울대병원

6

1

22

’73

한국

X

-

2.6

격리 해제

1

1

23

’62

중국

O

1.23

2.6

국립중앙의료원

23

7

24

’92

한국

O

1.31

2.6

국립중앙의료원

0

0

25

’46

한국

X

-

2.9

분당서울대병원

12

11

26

’68

한국

X

1.31

2.9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

0

0

27

’82

중국

X

1.31

2.9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

40

0

28

’89

중국

O

1.20

2.10

격리 해제

1

1

29

’38

한국

X

-

2.16

서울대병원

117

117

30

’52

한국

X

-

2.16

서울대병원

27

27

31

’59

한국

X

-

2.18

대구의료원

1,160

1,160

32

’09

한국

X

-

2.18

분당서울대병원

확인 중

확인 중

33

’80

한국

X

-

2.19

대구의료원

확인 중

확인 중

34

’96

한국

X

-

2.19

대구의료원

확인 중

확인 중

35

’94

한국

X

-

2.19

대구의료원

확인 중

확인 중

36

’72

한국

X

-

2.19

대구의료원

확인 중

확인 중

37

’73

한국

X

-

2.19

경북대학교병원

확인 중

확인 중

38

’63

한국

X

-

2.19

경북대학교병원

확인 중

확인 중

39

’59

한국

X

-

2.19

동국대학교경주병원

확인 중

확인 중

40

’43

한국

X

-

2.19

국립중앙의료원

8

8

41

’51

한국

X

-

2.19

동국대학교경주병원

확인 중

확인 중

42

’91

한국

X

-

2.19

대구의료원

확인 중

확인 중

43

’62

한국

X

-

2.19

계명대학교병원

확인 중

확인 중

44

’74

한국

X

-

2.19

경북대학교병원

확인 중

확인 중

45

’66

한국

X

-

2.19

대구의료원

확인 중

확인 중

46

’92

한국

X

-

2.19

대구의료원

확인 중

확인 중

47

57

한국

X

-

2.19

대구의료원

확인 중

확인 중

48

48

한국

X

-

2.19

칠곡경북대병원

확인 중

확인 중



□ 확진 환자 일별 발생 현황 (2월 20일 09시 기준, 82명)




□ 확진 환자 관련 기본 통계 (2월 20일 09시 기준)






확진 환자의 이동 경로 



▷ 40번째 환자 


 (2월 10일) 12시 30분경 자차 이용하여 서울시 성동구 소재 대형마트 (이마트 성수점) 방문(12:29~13:30)


 (2월 11~13일) 종일 자택에 머무름 


 (2월 14일) 도보로 성동구 소재 식당(포보스 엔터식스한양대점, 왕십리로 241) 방문하여 포장 음식 수령(17:14~17:20)


 (2월 15일) 11시 30분경 자차 이용하여 동대문구 소재 장례식장 (삼육서울병원 장례식장, 망우로 82) 방문(약 20분간 체류)


 (2월 16~17일) 종일 자택에 머무름 


 (2월 18일) 성동구 소재 의료기관(한양대학교병원) 방문, 국가지정입원 치료병상(국립중앙의료원)으로 이송


본 정보는「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제34조의2(감염병위기 시 정보공개)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27조의3(감염병위기 시 정보공개 범위 및 절차 등)제1항에 의거,「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38조제2항에 따른 주의 이상의 예보 또는 경보가 발령된 후에 감염병 환자의 이동경로, 이동수단, 진료의료기관 및 접촉자 현황 등 국민들이 감염병 예방을 위하여 알아야 하는 정보를 정보통신망에 게재하거나 보도자료를 배포하는 등의 방법으로 국민에게 공개하도록 정한 규정에 따라 공개됩니다.


본 정보의 당사자는 공개된 사항 중 사실과 다르거나 의견이 있는 경우 보건복지부장관에게 구두, 서면 등의 방법으로 이의신청을 할 수 있으며, 보건복지부장관은 이에 따라 공개된 정보의 정정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합니다.






WHO 통계 참고자료 ※ (출처) WHO Situation Report(2월 19일)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환자 및 사망자 발생 현황


국가/지역

확진 환자 수

추정 노출 장소

조사 중

환자 수

사망자 수

중국

중국 외 국가

보고 국가

서태평양

싱가포르

81

23

0

51

7

0

일본

73

26

3

39

5

1

한국

51

13

4

29

5

0

호주

15

12

0

3

0

0

말레이시아

22

17

1

2

2

0

베트남

16

8

0

8

0

0

필리핀

3

3

0

0

0

1

캄보디아

1

1

0

0

0

0

동남아시아

태국

35

23

0

5

7

0

인도

3

3

0

0

0

0

네팔

1

1

0

0

0

0

스리랑카

1

1

0

0

0

0

아메리카

미국

15

13

0

2

0

0

캐나다

8

7

0

0

1

0

유럽

독일

16

2

0

14

0

0

프랑스

12

5

0

7

0

1

이탈리아

3

3

0

0

0

0

러시아

2

2

0

0

0

0

영국

9

2

6

1

0

0

벨기에

1

1

0

0

0

0

핀란드

1

1

0

0

0

0

스페인

2

0

2

0

0

0

스웨덴

1

1

0

0

0

0

중동

아랍에미리트

9

6

0

2

1

0

이집트

1

0

0

1

0

0

기타

일본 크루즈

542

0

0

0

542

0



□ 중국 성·시별 발생현황


구분

후베이성

광둥성

저장성

허난성

후난성

안후이성

장시성

확진환자()

61,682

1,331

1,173

1,262

1,008

986

934

장쑤성

충칭시

산둥성

쓰촨성

헤이룽장성

베이징

상하이

푸젠성

631

555

544

514

470

393

333

293

허베이성

산시성

(Shaanxi)

광시좡족

자치구

윈난성

하이난성

산시성

(Shanxi)

구이저우성

랴오닝성

306

242

244

173

163

131

146

121

톈진시

간쑤성

지린성

네이멍구

신장위구르자치구

닝샤후이족자치구

칭하이성

티벳

128

91

90

75

76

71

18

1





[자료 도표 질병관리본부 제공]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