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파력, 병원성 변화시키는 변이는 발견 안됨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국내 코로나19 바이러스 유전자 서열 분석을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변이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 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국내 환자로부터 얻은 총 73건*의 바이러스 유전자 서열을 분석한 결과, 바이러스의 전파력과 병원성에 영향을 미치는 의미 있는 유전자 변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 질병관리본부 66건, 국내 연구기관 공개한 7건을 포함하여 총 73건의 유전자 서열을 분석
또한, 코로나19 유전자 검출검사의 표적유전자*에서 변이도 발견되지 않았다.
* 표적유전자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특정유전자를 식별하기 위한 증폭 유전자부위를 말하며, 진단검사에 매우 중요
이는 코로나19 유전자 변이에 따른 검사 오류 발생 등을 우려하지 않아도 됨을 의미한다.
질병관리본부는 국내외 연구자들이 코로나19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추가로 생산한 유전자서열 정보를 세계보건기구(WHO) GISAID*에 공개 예정이다.
* GISAID: WHO의 세계 인플루엔자 감시망으로 각국의 코로나바이러스 유전자 염기서열이 등록되어 있음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새로운 변이 출현을 감시하기 위하여 유전자 정보분석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코로나바이러스 유전자 분석결과 Q & A
1. 바이러스의 특정 유전자 부위를 분석한 건인가요? 아니면 유전자 전체를 분석한 것인가요?
○ 코로나19 바이러스 유전자 전체를 분석한 것입니다. 코로나19 바이러는 베타 코로나바이러스에 속하며 SARS-CoV-2로 명명하고 있습니다. 유전자 크기는 약 30kb입니다.
2.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 발생은 일반적인 현상인가요?
○ 모든 바이러스는 증식하는 과정에서 염기서열에 변이가 생길 수 있으며, 변이는 전파력이나 병원성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전혀 영향이 없기도 합니다.
○ 변이의 발생 빈도와 정도는 바이러스의 특성에 따라 다르며,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변이 특성은 전 세계적으로 축적·공유되고 있는 염기서열 정보를 통하여 분석되고 있습니다.
○ 질병관리본부도 지속적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SARS-CoV-2)의 변이 감시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3. 다른 국가에서 사용하고 있는 유전자 진단시약의 결합부위에 변이는 없나요?
○ 코로나19 바이러스(SARS-CoV-2)의 N 유전자 검출법에서는 유전자 변이가 여러나라에서 다수 보고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