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 12세 이상 청소년과 성인의 아토피피부염 치료 및 중증 천식 환자의 추가 유지 치료제로 적응증 확대,
2형 염증 치료 포트폴리오 확립
* 중증 천식 환자, 위약군 대비 연간 악화율 감소 및 폐 기능 개선
*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의존 천식 환자에서도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용량 및 사용률 감소와 동시에 천식 조절 효과 입증
* 중등도-중증 청소년 아토피피부염 환자, 듀피젠트® 투여 16주 시점에서 피부병변, 가려움증, 삶의 질 척도 빠르게 개선
사노피-아벤티스 코리아(대표 배경은, 이하 사노피)는 인터루킨-4(IL-4), 인터루킨-13(IL-13) 억제 생물의약품인 듀피젠트® 프리필드주300밀리그램(Dupixent®, 성분명: 두필루맙, 유전자재조합)가 청소년 및 성인의 천식과 청소년 아토피피부염 치료제로 적응증 확대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듀피젠트®는 4월 1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만 12세 이상의 청소년 및 성인 중 기존 치료에 적절하게 조절되지 않는 중증 호산구성 천식의 추가 유지 치료에 대한 적응증을 추가했다. 아울러 국소치료제로 적절히 조절되지 않거나 이들 치료제가 권장되지 않는 만12세 이상 중등도-중증 청소년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치료에 대한 적응증을 추가로 획득했다.
지난 2018년 성인 아토피피부염 환자 치료에 허가된 듀피젠트®는 이로써 아토피피부염과 천식을 아우르는 두 가지 질환에 대한 적응증을 획득하며 제 2형 염증 치료 포트폴리오를 본격 확립하게 되었다.
아울러 듀피젠트®는 천식과 아토피피부염을 유발하는 제2형 염증의 주요 사이토카인(cytokine)인 IL-4와 IL-13의 신호전달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유일한 표적 생물의약품이 되었다. 아토피피부염과 천식은 Th2 세포와 IL-4, IL-13이 주요하게 작용하는 ‘2형염증 신호전달 경로(Type 2 inflammatory pathway)’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천식 적응증 확대는 성인 및 청소년 환자 2,800여명이 참여한 LIBERTY ASTHMA 임상 프로그램이 근거가 되었다.
호산구 등 바이오마커에서 최소 수치 제한 없이 천식 환자 치료제로 승인된 부분은 특히 주목할 점이다.
임상 결과 투여 52주 시점에서 듀피젠트® 투여군은 베이스라인 호산구 수치가 제한되지 않은 모든 환자에서 위약군 대비 연간 악화율 46% 이상의 감소를 보였으며, 그 중 300 cell/uL 이상인 환자에서는 위약군 대비 67%까지 개선시키는 효과를 입증했다. 폐 기능에서도 2주차부터 일관된 개선이 관찰됐으며, 52주차에서 위약군 대비 130mL의 폐기능 개선을 보였다. 특히 VENTURE 연구에서는 경구 스테로이드 의존성 환자군에서 천식 조절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경구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사용이 약 80% 감소하거나 중단하는 등 유의미한 결과(P <0.0001)를 나타냈다.
아울러 아토피피부염에 대한 치료 효과는 중등도-중증 성인 및 청소년 아토피피부염 환자 2,600명 이상이 참여한 4개의 주요 3상 임상 연구(LIBERTY AD)를 통해 입증됐다.
청소년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경우, 듀피젠트® 투여 16주 시점에 피부병변 크기 및 중증도의 평균 66%의 개선을 보였으며 가려움증에서 평균 48%의 개선을 보였다. 삶의 질 척도 또한 위약군 대비 3배 많은 60%의 환자에서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성인을 대상으로 한 임상 시험과 일관된 안전성 프로파일 및 내약성을 입증했다.
사노피-아벤티스 코리아의 스페셜티 케어 사업부인 사노피 젠자임을 총괄하는 박희경 사장은 “이번 적응증 확대를 통해 청소년 아토피피부염과 천식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다”고 전했다. 이어 “이번 적응증의 추가가 제 2형 염증 질환에 대한 인지를 제고하고, 보다 근본적인 치료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중증 천식은 적절한 치료로도 조절 상태가 유지되지 않아 생물의약품 등의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한 질환 중 하나다. 환자들은 기침, 호흡곤란 등의 증상으로 일상에 어려움을 겪음은 물론, 응급실 치료가 필요한 천식 발작의 위험에도 노출되어 있다.
아울러 아토피피부염은 단순한 피부병이 아닌 만성적인 전신 면역 질환으로서 무릎 뒤, 팔꿈치 안쪽, 얼굴, 목, 손 등 온 몸에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정도의 극심한 가려움증, 발진, 건조증, 부스럼, 진물 등의 증상을 동반해 환자의 삶의 질을 심각하게 저해하는 질환 중 하나다.
한편 듀피젠트®는 사노피와 리제네론이 글로벌 협업 계약에 따라 공동 개발한 의약품이다.
듀피젠트®프리필드주(성분명 : 두필루맙, 이하‘듀피젠트®’)에 대하여
2018년 3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듀피젠트® 국소치료제로 적절히 조절되지 않거나 이들 치료제가 권장되지 않는 중등도에서 중증 아토피피부염 성인환자 치료를 위해 듀피젠트® 국내시판 을허가했다. 이후 2020년 4월, 중등도-중증 청소년 아토피피부염 환자를 대상으로 적응증을 추가 승인했으며, 기존치료에 적절하게 조절되지 않는 청소년 및 성인 중증호산구성 천식의 추가유지 치료요법으로도 승인했다1.
듀피젠트®는 사노피와 리제네론이 글로벌 협업계약에 따라 공동개발한 의약품이다.
제2형염증(Type 2 Inflammation)에 대하여
2형염증이란 아토피피부염, 천식 등 면역매개 염증성 질환들을 포함하는 넒은 병리생리학적 개념을 뜻한다.4 2형 염증질환과 관련해서는 IL-4(인터루킨-4)와 IL-13(인터루킨-13)이 주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규명된바 있으며, 이에 두 인터루킨은 제2형 사이토카인으로도 구분된다.4 2형 염증메커니즘은 아토피피부염, 천식, 호산구성식도염(EoE) 등 다양한 질환범위에 영향을 미친다.4
제2형염증 천식에 대하여
제2형 염증은 천식악화의 빈도를 증가시키고 폐기능을 감소시켜 조절되지 않는 천식(uncontrolled asthma)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성인 천식의 50~70%에 해당하는 제2형 염증 천식은 비 2형 염증 천식과 다른 특징으로 구분되어 지난 2019년 세계천식기구(GINA)는 새 치료 가이드라인을 통해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 제2형 염증 천식여부를 확인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아울러 고용량 ICS/LABA 치료를 했음에도 질환이 악화되는 환자에게는 생물의약품 치료가 권고되고 있다.
GINA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제2형염증 천식은고 용량의 흡입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또는 최소농도의 경구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치료중에 측정하였을 때 ▲혈중호산구≥ 150 cells/μL객담내호산구≥2% ▲임상적으로 알레르기 항원에 의해 유발되는 천식 ▲호기산화질소(FeNO) ≥ 20 ppb ▲유지요법으로 경구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사용하는 경우중 한가지를 만족할 경우로 정의된다.20
중등도-중증 아토피피부염(Moderate-to-SevereAtopicDermatitis)에 대하여
중등도-중증 아토피피부염은 만성적인 전신면역 질환으로 발진, 심각한 가려움증, 피부 건조, 피부 갈라짐, 붉어짐(발적), 부스럼딱지 및 진물 등이 동반될 수 있다. 아토피피부염은 복합적인 유전적 환경적 면역체계의 이상으로 발생한다.
아토피피부염을 앓고 있는 성인 환자들이 겪는 신체적 고통은 정신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성인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경우 3명중 1명은 불안 및 우울증같은 정신건강 문제를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경우 4명 중 1명 꼴로 불안장애를 앓고 있으며, 그 중 사회적 불안장애가 14%로 가장 흔하다.
특히 청소년 아토피환자들의 경우에는 환자 본인의 삶과 학업은 물론, 부모 등 가족의 직업생활에 까지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연구에 따르면 중증 아토피피부염 청소년 환자들은 증상으로 인해 결석하는 일수가 연간 평균 10.9일에 이르며,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가족들은 간병을 위해 매주 12.5시간을 소비하고 특히 중증 환자의 가족은 10명 중 8.7명이 지난 한달간 환자 간병을 위해 하루 이상 휴가를 낸 것으로 조사됐다.
References
3 Dupixent Download (May) Role of IL-4, IL-13 ; 아토피피부염에서 Type2의 역할
4 FDA Label_Adult, Adolescent, Asthma
6 Castro M, Corren J, Pavord ID, et al. Dupilumab efficacy and safety in moderate-to-severe uncontrolled asthma. N Engl J Med 2018;378(26):2486-2496.
7 SUMMARY OF PRODUCT CHARACTERISTICS
8 Rabe KF, Nair P, Brusselle G,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Dupilumab in Glucocorticoid-Dependent Severe Asthma. N Engl J Med. 2018;378(26):2475–2485.
9 Simpson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Dupilumab in Adolescents With Uncontrolled Moderate to Severe Atopic Dermatitis 2019; JAMADermatol.doi:10.1001/jamadermatol.2019.3336
11 Clark C. Atopic eczema- clinical features and diagnosis. Clinical Pharmacist. 2010;54(3):285-289;
12 Simpson, E. L., Bieber, T., Eckert, L., Wu, R., Ardeleanu, M., Graham, N. M., ... & Mastey, V. (2016). Patient burden of moderate to severe atopic dermatitis (AD): Insights from a phase 2b clinical trial of Product X in adults.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74(3), 491-498
13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 Handout on Health: Atopic Dermatitis (A type of eczema) May 2013. Available online:
http://www.niams.nih.gov/Health_Info/Atopic_Dermatitis/default.asp. Accessed: April 08,2020
14 Seys SF, Scheers H, Van den Brande P, et al. Cluster analysis of sputum cytokine-high profiles reveals diversity in T(h)2-high asthma patients. Respir Res. 2017;18:39. doi:10.1186/s12931-017-0524-y
15 Peters MC, Mekonnen BA, Yuan S, et al. Measures of gene expression in sputum cells can identify TH2-high and TH2-low subtypes of asthma. J Allergy Clin Immunol. 2014;133(2):388–394.
17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 Handout on Health: Atopic Dermatitis (A type of eczema) May 2013. Available online:
http://www.niams.nih.gov/Health_Info/Atopic_Dermatitis/default.asp. Accessed: August 31, 2016.
18 Clark C. Atopic eczema- clinical features and diagnosis. Clinical Pharmacist. 2010;54(3):285-289;
19 Zuberbier T, Orlow SJ, Paller AS, et al. Patient perspectives on the management of atopic dermatitis. J Allergy Clin Immunol. 2006;118(1):226-232
20 Eckert L et al, Impact of Atopic Dermatitis on Patient Self-Reported Quality of Life, Productivity Loss, and Activity Impairment: An Analysis Using the US National Health and Wellness Survey. 2016. Presented at the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74th Annual Meeting, March 4–8, 2016, Washington DC."
21 Marcia J. Slattery et al, Depression, Anxiety, and Dermatologic Quality of Life in Adolescents with Atopic Dermatitis. J Allergy Clin Immunol. 2011 Sep; 128(3): 668–671.e3.
22 Barbarot S, et al. 2019. The family impact of atopic dermatitis in adolescents: a cross-sectional study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Presented at: European Academy of Dermatology and Venereology Congress; October 9 – 13, 2019; Madrid, Spain. E-Poster. Abstract ID: 2594; Poster: P1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