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6 (화)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4월 마지막 주는 ‘세계 예방접종주간’”

감염병 발병 위험 높은 만 50세 이상 성인∙만성질환자,
꼭 필요한 예방접종 관심 가져야

감염병에 대한 경각심 고조, 영∙유아뿐만 아니라 
성인에서도 예방접종 중요성 조명돼
만 50세 이상 성인∙만성질환자의 경우 감염병에 더욱 취약
가이드라인 따른 예방접종 필요


Adapted from 대한감염학회, 성인예방접종제3, 2019



매년 4월 마지막 주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제정한 ‘예방접종주간’이다. 

매년 새로운 주제를 지정하고 예방접종의 가치를 알리는 ‘예방접종주간’은 2020년 주제를 ‘모두를 위한 백신(#Vaccines Work for All)’으로 발표하며 모든 연령대에서 예방접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신종바이러스 등 다양한 감염병 관련 이슈가 국내에 꾸준히 대두되는 가운데, 감염병이 만 50세 이상 장년층이나 당뇨병 등 기저질환을 가진 만성질환자에게 더욱 치명적인 것으로 나타나며 경각을 일깨우고 있다.

앞서 2015년 국내에서 유행했던 중동호흡기증후군(MERS)의 경우에도 전체 발병자의 약 63%가 만 50세 이상의 성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면역저하자나 당뇨병, 심장질환, 폐질환, 신장질환 등 기저질환을 가진 사람에서 특히 중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같이, 고령자와 만성질환자가 특히 주의해야 할 대표적인 질환 중 하나로 ‘폐렴’이 있다. 폐렴구균은 폐렴을 일으키는 원인균으로, 발병 시 발열, 오한, 객담을 동반한 기침, 흉통 등을 대표적인 증상으로 한다. 이러한 폐렴을 포함한 폐렴구균 침습성 감염으로 인한 사망 위험은 연령에 비례해 증가하는데, 만 65세 이상 노인의 25-30%, 75세 이상 노인의 경우 40%가 사망에 이르는 만큼 고령자의 경우 폐렴구균성 폐렴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폐렴구균성 폐렴은 만성질환자에서 발병할 위험이 특히 높게 나타나는데, 실제로 18세 이상 만성질환자와 건강한 성인의 폐렴구균 폐렴에 걸릴 확률을 비교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만성폐질환 환자에서 폐렴 발병률은 7.7~9.8배, 당뇨병 환자는 2.8~3.1배, 만성심질환 환자는 3.8~5.1배로 발병률이 높게 나타나기도 했다.

*미국 내 3개의 의료청구 자료 저장소 (2006-2010)의 자료를 분석한 후향적 코호트 연구




이러한 폐렴구균성 폐렴은 유일하게 백신 접종으로 예방 가능한 종류의 폐렴으로, 현재 국내에서 성인이 접종 가능한 폐렴구균 백신은 13가 단백접합백신과 23가 다당질백신이 있다. 

현재 국가예방접종 사업으로 만 65세 이상 노인에게 23가 다당질 백신 접종을 지원하고 있으나, 13가 단백접합백신은 생후 6주 이상부터 성인까지 13가지 혈청형(1,3,4,5,6A,6B,7F,9V,14,18C,19A,19F,23F)에 대한 예방효과가 검증됐다는 장점이 있어 환자의 상태나 필요에 따라 적절한 접종이 가능하다.

실제로, 국내 각 학회에서는 예방접종 가이드라인을 업데이트하여 만성질환자*에서 폐렴구균 백신 접종을 권고하고 있다. 대한감염학회(KSID)는 2019년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라인’을 업데이트하여 폐렴구균성 질환 고위험군에서 접종을 권고하고 있다.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18세 이상 만성질환자, 뇌척수액 누수, 인공와우를 삽입한 환자, 면역저하자와 기능적 또는 해부학적 무비증 환자에 대해 13가 단백접합백신과 23가 다당질백신을 순차적으로 접종해야 한다. 

폐렴구균 백신을 접종한 적이 없는 18세에서 64세 만성 질환자의 경우, 13가 단백접합백신을 접종하고 1년 간격을 두고 23가 다당질백신을 접종, 65세가 되면 이전 접종 후 5년이 지나서 1회 재접종하여 총 2회 접종할 것을 권고했다. 폐렴구균 백신을 접종한 적이 없는 65세 이상 만성질환자의 경우 13가 단백접합백신을 접종한 후 1년 간격을 두고 23가 다당질백신을 접종할 것을 안내하고 있다. 

이 외에도 대한골다공증학회, 대한당뇨병학회, 대한장연구학회에서도 가이드라인에 맞춰 폐렴구균 백신을 접종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 만성 심혈관질환, 만성폐질환, 당뇨병, 알코올 중독, 만성 간질환

2018년 통계청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폐렴은 지난 3년간 꾸준히 사망률 및 입원률의 증가를 보이며 2018년 한국인 사망원인 3위, 호흡기질환 사망원인 1위를 기록하고 있는 질환이다. 이와 더불어, 폐렴으로 인한 진료비 또한 연평균 11.2%씩 5년간 증가하는 등  국내 폐렴의 위험과 질병 부담에 대한 경각심이 고조되고 있는 만큼, 고위험군의 경우 가이드라인의 권고에 따른 시의적절한 폐렴구균 백신 접종이 권고된다. 

폐렴구균 백신 이외에도, 대한감염학회(KSID)에서는 만 18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연령과 기저질환에 따라 접종이 권고되는 백신을 안내하고 있다. 인플루엔자, 폐렴구균, 파상풍-디프테리아-백일해, 대상포진, A형간염, B형간염, 수두, 홍역-볼거리-풍진, 인유두종바이러스, 수막알균, 일본뇌염,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백신이 이에 포함된다. 자세한 내용은 대한감염학회의 예방접종 가이드라인에서 확인할 수 있다.


프리베나®13



프리베나®13은 현재 세계 120여개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폐렴구균백신이다. 

2009년 12월 유럽에서 영유아 대상으로 처음 도입됐으며, 2013년 1월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청(FDA)으로부터 만 6세에서 17세 어린이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침습성 폐렴구균 질환을 예방하는데 사용하도록 확대승인받았다.

우리나라에서는 2010년 3월, 생후 6주부터 5세(72개월 미만)까지의 영아 및 어린이에서 뇌수막염, 패혈증, 균혈증 등 침습성 폐렴구균질환 및 급성 중이염 예방에 사용하도록 처음 허가받았으며, 2012년 5월에는 50세 이상 성인의 폐렴구균폐렴 및 침습성 폐렴구균 질환 예방을 위해 1회 접종토록 허가받았다. 



이어 2013년 7월, 5세까지였던 침습성 폐렴구균 질환 및 급성 중이염 예방대상이 17세까지 확대됐고, 같은 해 10월에 성인의 침습성 폐렴구균 질환 예방대상이 18세 이상까지 확대됐다. 2014년 5월, 6주부터 17세까지의 소아대상 적응증에 폐렴구균 폐렴 예방이 추가됐으며, 2015년 10월에는 폐렴구균 폐렴 예방에 대해 18세 이상으로 허가연령이 더욱 확대됐다.

소아에서 프리베나®13의 접종은 생후 6주부터 가능하며, 2, 4, 6개월의 3회 기초접종과  12~15개월 사이 추가접종의 총 4회 접종이 권장된다. 이미 프리베나®접종을 마친 소아의 경우, 생후 15개월에서 만 5세에 프리베나®13을 1회 보강접종해 추가된  6종의 혈청형에 대한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프리베나®13에 포함된 폐렴구균혈청형(1, 3, 4, 5, 6A, 6B, 7F, 9V, 14, 18C, 19A, 19F, 23F)은 항생제내성이 있는 혈청형을 포함하고 있으며 영유아뿐 아니라 성인에서도 폐렴구균폐렴 및 침습성 폐렴구균 질환을 빈번히 일으키는 혈청형이다. 프리베나®13에는 혈청형의 다당류성분과 단백질운반체를 결합시키는 자사의 단백접합 기술이 적용되었으며, 소아용 백신에서 20여년간 사용된 단백질운반체 CRM197을 사용하고있 다.

제품설명서 및 주요 안전성정보는 한국화이자제약 홈페이지(https://www.pfizer.co.kr/products/p)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ferences
1  Shea KM, et al. Rates of Pneumococcal Disease in Adults With Chronic Medical Conditions, Open Forum Infect Dis. 2014;1-9. doi:10.1093/ofid/ofu02
2 질병관리본부,질병관리본부 포탈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Accessed on Mar 2020 at http://www.cdc.go.kr/npt/biz/npp/portal/nppSumryMain.do?icdCd=NA0014&icdgrpCd=01&icdSubgrpCd=)
4 장 준,지역사회 폐렴, 대한내과학회지 : 제58 권 제2 호 2000
5 부산광역시감염병관리지원단, 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 2020
6 Song, YH et al. Pneumococcal vaccine, J Korean Med Assoc 2014 September; 57(9): 780-788
7 질병관리본부, 2017 성인지역사회획득폐렴항생제사용지침
8 대한감염학회, 2019성인예방접종가이드라인, 2019
9 대한당뇨병학회, 2019 당뇨병진료지침, 2019
10 대한장연구학회, IBD(염증성장질환)환자예방접종표, 2019
11 통계청, 사망원인(103 항목)/성/연령(5세)별 사망자수, 사망률(Last accessed on Sept. 3, 2019 at http://www.cdc.go.kr/npt/biz/npp/nppMain.do)
12 통계청,국민건강보험 보도자료, 2019.09.26
13 Data on File, Pfizer(2019년 1월 22일기준)
14  European Medicines Agency (EPAR), Prevenar13, INN-Pneumococcal conjugate vaccine(13-valent)
15  FDA, January 25, 2013 Approval Letter – Prevenar 13
16 식품의약품안전처, 온라인의약도서관, 프리베나13주, 기본정보, 변경이력
17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수입품목변경허가 [한국와이어스㈜, 프리베나13주 (폐렴구균씨알엠(CRM197) 단백접합백신)], 2012.5.25
18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등의안전성, 유효성심사결과통지서, 2013.6.5
19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수입품목변경허가 [한국화이자제약㈜- 프리베나13주 (폐렴구균씨알엠(CRM197) 단백접합백신)], 2013.10.28
20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등의 안전성, 유효성심사결과통지서, 2015.10.30
21 질병관리본부 보도자료, 소아폐렴구균 5월무료접종시행, 보호자접종비부담경감, 2014-04-11
22 프리베나®13 제품설명서(2019년11월28일)
23 배송미 외, 지역사회폐렴환자로부터 분리된 폐렴구균의 혈청형분포 및 항생제내성 현황 (2014.07.03)
24  FDA, Approval Letter – Prevenar 13, December 30, 2011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