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7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학회및기관

김강립 차관, 코로나19 현장 대응체계 개선 논의

6월 29일(월) 오후 2시, 전국보건소장협의회 회장단 영상 간담회


보건복지부 김강립 차관은 전국보건소장협의회(회장 : 허목 부산 남구 보건소장) 회장단(33개 보건소장)과 함께 6월 29일(월) 오후 2시 영상 간담회를 개최하여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보건소의 선별진료소 운영과 지역 확진자·접촉자 관리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전국 256개 보건소는 모두 선별진료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6월 24일까지 총 565,536건의 검체를 채취하였다.

보건복지부는 간담회에서 보건소 관련 추가경정예산 설명과 지방자치단체의 사전 준비가 필요한 사항에 대해 안내하였다.

특히 코로나19가 지속되는 상황에서도 보건소가 노인, 만성질환 고위험군 등의 건강을 돌볼 수 있도록 모바일 앱,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건강관리 예산을 추가경정예산으로 편성하여 국회 심의 중인만큼 더 많은 보건소가 적극적으로 사업에 참여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이어서 보건소장협의회에서는 코로나19 대응 현황 및 개선 방안에 대해 발표하였다. 

박건희 안산시 상록수보건소장은 「지역사회 코로나19 진료체계 논의-선별진료소, 국민안심병원, 호흡기전문클리닉」라는 주제로 감염병 위기상황에서 공공의 적극적 역할을 강조하고, 보건소 내 ‘보건의료정책팀’ 설치 등 조직개편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권근용 세종시 보건소장은 「역학조사 및 격리자 관리 개선방안」을, 이영희 대구 북구 보건소장은 「대규모 확진환자 발생지역에서 보건소 대응 경험」을 공유하고 논의하였다. 

김강립 차관은 이날 간담회에서 “최일선 현장에서 코로나19 예방과 확산 방지에 힘써주시는 보건소장과 직원들의 노고에 깊이 감사드린다”라며 “정부도 보건소의 지역사회 감염병 대응에 필요한 사항을 수시로 파악하고 적기에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전국보건소장협의회 간담회 개요 

▷ 개요

·  목적 
   - 보건소 코로나19 대응 현장경험 및 의견 공유, 정부 추가경정예산 사전 안내 및 향후 감염병 대응 강화방안 등 논의 

·   일시 : 2020.6.29(월) 14:00~16:00

·   장 소 : 보건복지부 회의실(507호)   * 영상 회의

·   참석자

   - (보건복지부) 김강립 차관, 나성웅 건강정책국장, 배경택 건강정책과장 등

   - (전국보건소장협의회) 허목 회장 외 17개 시·도 회장단(회장, 부회장) 

   -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조인성 원장, 오유미 지역보건실장


▷ 세부일정

시 간

주요 내용

비 고

14:0014:10(`10)

인사말씀

김강립 차관

(보건복지부)

조인성 원장

(한국건강증진개발원)

14:00~14:20(‘20)

보건소 관련 정부 1, 3차 추경 안내

박소연 보건복지부 사무관

14:2015:20(`60)

지역사회 코로나19 대응과 시사점

 

- 지역사회 코로나19 진료체계 논의

박건희 소장

(경기 안산시 상록구)

- 역학조사 및 격리자 관리 개선방안

권근용 소장

(세종시 보건소)

- 대규모 확진환자 발생지역에서 보건소 대응경험

이영희 소장

(대구 북구 보건소)

15:2015:50(`30)

전체토론 및 질의응답

 

15:5016:00(‘10)

마무리 및 폐회

 


 * 일부 변동 가능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 사업 개요

▷ 추진배경

 ㅇ 스마트폰을 활용한 맞춤형 건강관리(모바일 헬스케어)로 국민의 건강관리 수요 충족과 보건소 기능 강화


▷  추진현황

 ㅇ (시범사업) 2016~2017년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 시범사업’ 실시(1차 2016년 10개소, 2차 2017년 35개소)

 ㅇ (본사업) 2018년부터 본 사업 실시, 참여보건소․서비스대상자 규모 단계적 확대
    * 2018년 70개소, 8천명 → 2019년 100개소, 12천명 → 2020년 130개소, 16천명


▷  주요내용

 ㅇ (대상) 환자는 아니나, 검진 결과 혈압·혈당이 높거나, 복부비만 등 만성질환 위험요인이 있어 보건소 건강관리를 희망하는 사람

    * 기준(1개 이상 해당 시) : ①혈압(수축기 130 mmHg/이완기 85 mmHg 이상), ②공복혈당(100 mg/dL 이상), ③허리둘레(남 90 cm 이상, 여 85 cm 이상), ④중성지방(150 mg/dL 이상) ⑤HDL-콜레스테롤(남 40 mg/dL 미만, 여 50 mg/dL 미만)

 ㅇ (서비스) 건강검진결과를 활용하여 보건소에서 모바일 기반으로 생활습관 개선 및 건강관리 지원

   - 상담 ⇒ 건강관리계획 설정 ⇒ 생활습관·건강정보 전송(모바일 앱) ⇒ 모니터링, 자가 건강관리 지원 및 교육·상담 등 피드백(모바일 앱)



 ICT활용 어르신 건강관리서비스 시범사업 개요

▷  배경

 ㅇ (추진배경) 기존 방문건강관리사업은 의료비 억제효과는 명확했으나, 인구구조 변화 등 기존체계로는 수요에 부응하는 효율적 운영 곤란

 ㅇ (목적)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 운영 노하우 및 ICT를 활용하여 의료접근성이 떨어지는 노인을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비대면 어르신 건강관리서비스 모형 개발·운영


▷  사업내용

 ㅇ (서비스 절차) 65세 이상 어르신 대상 스스로 건강관리가 가능토록 지원

   - (준비) 최초 방문 시 혈압, 혈당, 노쇠, 악력정도 등을 측정, 앱 설치 및 이용법 교육, ICT 장비(블루투스) 장비 배부

   - (개시) 만성질환 및 건강행태 스크리닝 결과, 노인의 실천역량 등을 감안하여 6개월간 실천할 수 있는 미션을 선정

   - (모니터링) ICT 기기*를 통해 생체정보(혈압, 혈당, 걸음수, 심박수 등)를 상시 수집·전송, 담당 간호사 등 전문인력의 목표 달성 여부를 확인

    * 활동량계(스마트밴드), 블루투스 혈압계․혈당계, AI생활스피커 등 4종

   - (환류) 최초 방문시 측정한 노쇠․악력정도 등을 측정, 건강개선 정도 확인

 ㅇ (규모 및 일정) 시범사업 보건소 22~30개 선정하여, 어르신 2만명에 대한 서비스 실시 목표(2020년 10월~)

    ** (6월) 지자체 공모 및 선정, (7월~) 시스템 개발 및 디바이스 장비구입(7월) 인력채용 (8월) 인력교육 (9월) 수혜자 모집 (10월) 기초자료수집 등 사업시작

[자료 도표 보건복지부 제공]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