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형 당뇨병 동반 여부와 관계없이
만성콩팥병 환자의 유의미한 생존 기간 연장을 확인한
상세 연구결과 NEJM 게재
아스트라제네카의 다파글리플로진(상품명: 포시가)을 표준 요법과 병용 투여해 유효성을 평가한 주요 3상 임상연구인 DAPA-CKD의 상세 결과가 발표됐다. 이 결과는 지난 9월 24일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슨(NEJM)에 게재됐다.[i]
이번 임상은 요알부민배설량(UAE) 수치가 증가한 만성콩팥병(CKD) 2-4기 환자를 대상으로 했으며, 임상 결과 다파글리플로진 투여군은 신장 기능 악화, 심혈관(CV) 또는 신장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으로 정의된 복합 평가 변수에서 위약군 대비 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01). 또한 이러한 결과는 제2형 당뇨병의 동반 여부와 관계없이 일관되게 나타났다. 만성콩팥병은 신장 기능 저하로 정의되는 심각한 진행성 질환으로, 전 세계 약 7억명에 영향을 미치지만[ii],[iii] 이들 중 다수는 여전히 미진단 환자다.[iv],[v] 만성콩팥병의 가장 흔한 원인은 당뇨병, 고혈압, 사구체신염이다.[vi]
1차 복합 평가 변수는 사구체여과율(eGFR)의 50% 이상 지속적 감소, 말기신질환(ESKD) 발생, 심혈관 또는 신장 질환으로 인한 사망으로 정의됐다. 연구 기간 중앙값인 2.4년에 걸쳐 절대적 위험 감소율(ARR)은 5.3%였다. 또한 이번 연구에서 위약군 대비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을 31%(ARR=2.1%, p=0.0035)로 유의미하게 줄이는 등 2차 평가변수도 모두 충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DAPA-CKD 임상 및 연구집행위원회 공동 의장인 영국 런던 대학병원 데이비드 휠러(David Wheeler) 교수와 네덜란드 흐로닝언 대학병원 히도 L. 히어스핑크(Hiddo L. Heerspink) 교수는 “이번 DAPA-CKD 임상 결과는 만성콩팥병 환자들을 위해 주목할만한 인상적인 결과다. 이번 데이터는 새롭고 개선된 치료 옵션이 필요한 만성콩팥병 환자들에게 표준 치료를 바꿀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다”고 전했다.
아스트라제네카 바이오의약품 R&D 부문을 총괄하고 있는 메네 판갈로스(Mene Pangalos) 부사장은 “오늘 발표된 결과를 계기로 포시가는 제2형 당뇨병의 동반 여부와 관계없이 만성콩팥병 환자의 유의미한 생존 기간 연장을 확인한 최초의 SGLT-2 억제제가 됐다”라며, “이번 데이터를 각국의 인허가 당국과 공유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또한 다파글리플로진은 제2형 당뇨병의 동반 여부와 관계없이 심부전과 만성콩팥병 환자 모두에서 치료 시 이점을 확인하고,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 위험과 신장병에 이점을 보인 계열 내 최초의 약제[vii]”라고 전했다.
다파글리플로진의 안전성과 내약성은 기존에 확인한 안전성 프로파일과 일치했다. 이번 임상에서 다파글리플로진 투여군의 중증 이상반응은 위약군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각각 29.5% vs. 33.9%) 당뇨병성 케톤산증은 다파글리플로진 투여군에서는 보고되지 않았고, 위약군에서는 2명의 환자에서 나타났다.
만성콩팥병(CKD)
만성콩팥병은 신장 기능 감소(최소 3개월 이상 eGFR감소 및 신장 손상 지표, 또는 모두)로 정의되는 심각한 진행성질환으로, 전세계 약 7억명에 영향을 미치지만 이들 중 다수는 여전히 미진단 환자다.2-5 만성콩팥병의 가장 흔한 원인은 당뇨병, 고혈압, 사구체신염이다.6 가장 심각한 상태인 말기신질환에서는 투석이나 신장 이식이 요구될 정도로 신장이 손상되고 신장기능이 악화된다. 만성콩팥병 환자의 대다수는 말기신부전 단계 이전에 심혈관질환으로 인해 사망한다.
DAPA-CKD
DAPA-CKD는 글로벌 다기관 무작위 이중맹검 임상으로, 제2형 당뇨병 동반 여부와 관계없이 요알부민배설량(UAE) 수치가 증가한 만성콩팥병 2-4기 환자 4,304명을 대상으로 포시가 10mg의 유효성을 위약과 비교 평가했다. 포시가는 1일 1회 표준 요법과 병용 투여했다. 1차 복합 평가 변수는 신장기능 악화 또는 사망위험(eGFR 50% 이상 지속적 감소, 말기신질환 발생, 심혈관 또는 신장 질환으로 인한 사망으로 규정)이었다. 2차 평가 변수는 신장복합변수의 최초발생시간(eGFR 50% 이상 지속적 감소, 말기신부전, 신장 질환으로 인한 사망),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 또는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의 복합 변수,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이었다. 이번 임상은 21개국에서 진행됐으며, 주요 결과는 2020년 7월에발표됐다.
포시가
포시가(다파글리플로진)는 세계 최초로 개발된 SGLT-2 억제제로 단독요법 및 인슐린 등 다른 혈당 강하제와 추가 병용 투여할 수 있으며,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혈당 조절을 향상시키고, 혈압 감소, 체중 감소 등 추가적인 이점을 보이는 치료제다. 성인제 2형 당뇨병환자대상 DECLARE연구에서 포시가는 위약 대비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율 또는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의 복합 평가변수 위험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포시가는 35,000명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이미 완료되었거나 또는 현재 진행 중인 35건 이상의 2b/3상 임상시험으로 구성된 탄탄한 임상시험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250만 환자-년(patient-year) 이상의 경험을 통해 뒷받침되고 있다.
아스트라제네카와 심혈관 신장 및 신진대사 질환(CVRM)
심혈관, 신장 및 신진대사 질환 치료는 아스트라제네카의 주력 분야 중 하나이자, 미래 성장의 주축이다. 심장과 신장, 그리고 췌장 사이의 근본적인 연결고리를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한 과학적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치료제 개발에 투자하고 있다. 질병진행의 지연, 동반질환 위험 축소 및 극복을 통해 장기를 보호하고, 치료결과를 개선하고자 함이다. 심혈관, 신장 및 신진대사 질환의 자연스러운 진행과정이 변화 또는 중단되도록 하고, 더 나아가 장기를 재생하고 기능을 회복시키고자 하는 열망으로, 전세계 수백만 환자를 위해 치료요법을 발전시키고 심혈관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혁신적 연구를 지속할 것이다.
아스트라제네카
아스트라제네카는 과학 중심의 글로벌 바이오 제약기업으로 항암제, 심혈관, 신장 및 대사질환, 호흡기 질환 세 가지 분야의 치료 영역을 핵심으로, 전문 의약품의 발견과 개발, 그리고 상용화에 초점을 두고 있다. 또한 자가면역, 신경과학 및 감염 분야에서도 선별적으로 사업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100여개국 이상에 진출해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수백만 명의 환자들에게 혁신적인 의약품을 제공하고 있다. 자세한 사항www.astrazeneca.com 혹은 www.astrazeneca.c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References
1 Hiddo L. Heerspink, et al. Dapagliflozin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N Engl J Med. 2020. DOI: 10.1056 /NEJMoa2024816
2 Kidney Disease: Improving Global Outcomes (KDIGO) CKD Work Group. KDIGO 2012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chronic kidney disease. Kidney International Supplement 2013; (3):1–150.
3 Bikbov B, et al.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burden of chronic kidney disease, 1990–2017: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7. The Lancet. 2020; 395(10225):709–33.
4 Hirst JA, et al. Prevalence of chronic kidney disease in the community using data from OxRen: A UK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Br J Gen Pract. 2020; 70(693):e285-e293.
7 Wiviott SD et al. Dapagliflozin and cardiovascular outcomes in type 2 diabetes.N Engl J Med. 2019;380:347-57
9 Briasoulis A, Bakris GL. Chronic Kidney Disease as a Coronary Artery Disease Risk Equivalent. Cur Cardiol Rep. 2013; 15(3):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