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고령자∙만성질환자라면 폐렴구균 백신 접종 권고돼

11월 12일은 세계 폐렴의 날

- 2019년 국내 사망원인 3위 폐렴…
 대한감염학회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라인 통해 폐렴구균 백신 접종 권고
- 한국화이자제약 ‘세계 폐렴의 날’ 맞아 예방 수칙 
 ▲손을 자주 씻기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는 휴지나 팔꿈치로 항상 입과 코를 가리기 ▲담배 연기 멀리하거나 금연하기 ▲지속적인 기저질환 관리하기(천식, 당뇨병, 심장병이 있을 경우) 안내

 


한국화이자제약이 11월 12일 '세계 폐렴의 날(World Pneumonia Day)'를 맞아 폐렴에 대한 인식을 고취하고, 백신 접종을 통한 폐렴구균 폐렴 예방의 중요성을 알리기에 나섰다. 

매년 돌아오는 11월 12일은 ‘세계 폐렴의 날’로, 아동폐렴글로벌연합(The Global Coalition against Child Pneumonia)이 폐렴의 위험성에 대한 이해와 경각심을 높이고, 폐렴의 예방과 치료를 촉진하기 위해 제정한 날이다.

국내에서 2015년부터 사망원인 4위에 머무르던 폐렴은 꾸준히 증가하여, 2019년까지 4년 연속으로 사망 원인 3위를 기록했다. 폐렴은 바이러스, 세균, 진균(곰팡이) 등에 의해 발생하며, 감염 원인은 대개 흡입에 의해 몸으로 들어오는 질환이다. 그 중 폐렴구균은 국내 성인에서 발생하는 지역사회획득 폐렴 중 최대 69%를 차지하는 원인균으로 폐렴의 가장 흔한 원인균이다. 

65세 이상 고령자에서 폐렴구균 폐렴으로 인한 원내사망률(in-hospital mortality)이 23%였다.* 또한, 당뇨병, 만성폐질환, 만성심혈관 등 기저질환을 앓고 있거나 면역이 저하된 환자의 경우, 건강한 성인에 비해 폐렴구균 폐렴 발병률이 높다. 연구에 따르면, 건강한 성인에 비해 폐렴구균 폐렴 발생 위험이 만성폐질환 환자에서 7.7~9.8배, 당뇨병 환자는 2.8~3.1배, 만성심질환 환자는 3.8~5.1배로 나타났다.**

* 2009년 10월부터 2017년 4월까지 브라질 내 대학병원에서 폐렴구균 폐렴으로 인해 입원한 성인 환자 186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단면조사연구

**2006년부터 2010년까지 3개의 의료보험청구기관에서 만성질환을 보유하거나, 면역저하상태에 있는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건강한 성인대비 폐렴구균 질환 위험을 평가한 코호트 스터디

이 가운데 한국화이자제약은 ‘세계 폐렴의 날’을 맞아 폐렴구균 폐렴은 백신접종을 통해 예방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리고, 호흡기 질환 예방 수칙인 ▲손을 자주 씻기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는 휴지나 팔꿈치로 항상 입과 코를 가리기 ▲담배 연기 멀리하거나 금연하기 ▲지속적인 기저질환 관리하기(천식, 당뇨병, 심장병이 있을 경우)를 인포그래픽으로 제작하여 적극 알리기에 나섰다.

특히, 예방접종은 감염병을 예방하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으로, 대한감염학회를 비롯, 대한류마티스학회 등 다수의 학회에서 적절한 예방접종을 통한 폐렴구균 예방을 권고하고 있다. 실제로, 대한감염학회(KSID)는 이전에 폐렴구균 백신을 접종한 적 없는 건강한 65세 이상 노인의 경우 23가 다당질백신을 1회 접종하거나, 13가 단백접합백신과 23가 다당질백신을 순차적으로 1회 씩 접종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18세 이상 만성질환자, 뇌척수액 누수, 인공와우를 삽입한 환자, 면역저하자와 기능적 또는 해부학적 무비증 환자에 대해 13가 단백접합백신과 23가 다당질백신을 순차적으로 접종할 것을 안내하고 있다.

또한, 폐렴구균 백신을 접종한 적이 없는18세에서 64세 만성 질환자의 경우, 13가 단백접합백신을 접종하고 1년 간격을 두고 23가 다당질백신을 접종, 65세가 되면 이전 접종 후 5년이 지나서 23가 다당질백신을 1회 재접종하여 총 2회 접종할 것을 권고했다.1 폐렴구균 백신을 접종한 적이 없는 65세 이상 만성질환자의 경우 13가 단백접합백신을 접종한 후 1년 간격을 두고 23가 다당질백신을 접종할 것이 권고된다.

만성질환자는 ▲만성 심혈관 질환 ▲만성폐질환 ▲당뇨병 ▲알코올 중독 ▲만성간질환을 포함하며, 면역저하자는 ▲선천성 또는 후천성 면역저하 ▲HIV 감염 ▲만성 신부전 또는  신증후군 ▲백혈병 ▲림프종 ▲호지킨병 ▲종양질환 ▲다발성골수종 ▲고형장기이식 ▲장기간스테로이드를 포함하는 면역억제제를 투여하거나 방서선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 한국화이자제약 백신사업부 임소명 부사장은 “최근 COVID-19가 장기화되며 감염병의 예방과 관리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성인 예방접종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하며,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한국화이자제약은 앞으로도 대중들을 대상으로 국내 사망원인 3위이자 호흡기 질환 사망원인 1위인 폐렴의 위험성을 알리고,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폐렴구균 백신 접종의 중요성을 전달함으로써 폐렴구균 질환 예방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프리베나®13 



프리베나®13은 현재 세계 120여개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폐렴구균백신이다.10

2009년 12월 유럽에서 영유아대상으로 처음 도입됐으며, 2013년 1월 미국식품의약품안전청(FDA)으로부터 만 6세에서 17세 어린이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침습성폐렴구균 질환을 예방하는데 사용하도록 확대승인받았다.



우리나라에서는 2010년 3월, 생후 6주부터 5세(72개월 미만)까지의 영아 및 어린이에서 뇌수막염, 패혈증, 균혈증 등 침습성폐렴구균 질환 및 급성중이염 예방에 사용하도록 처음 허가받았으며, 2012년 5월에는 50세 이상 성인의 폐렴구균폐렴 및 침습성폐렴구균 질환 예방을 위해 1회 접종토록 허가받았다. 이어 2013년 7월, 5세까지였던 침습성폐렴구균 질환 및 급성중이염 예방대상이  17세까지 확대됐고, 같은 해 10월에 성인의 침습성폐렴구균 질환예방 대상이 18세 이상까지 확대됐다. 2014년 5월, 6주부터 17세까지의 소아대상 적응증에 폐렴구균 폐렴예방이 추가됐으며, 2015년 10월에는 폐렴구균폐렴 예방에 대해 18세 이상으로 허가연령이 더욱 확대됐다.

소아에서 프리베나®13의 접종은 생후 6주부터 가능하며, 2, 4, 6개월의 3회 기초접종과 12~15개월 사이 추가 접종의 총 4회 접종이 권장된다.12

프리베나®13에는 혈청형의 다당류성분과 단백질운반체를 결합시키는 자사의 단백접합 기술이 적용되었으며, 소아용 백신에서 20여년간 사용된 단백질운반체 CRM197을 사용하고 있다.

프리베나®13의 제품설명서는 한국화이자제약 홈페이지(https://www.pfizer.co.kr/products/p)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ferences
1 대한감염학회, 2019 성인 예방접종 가이드라인, 2019
2  The Global Coalition against Child Pneumonia, World Pneumonia day. Available at https://stoppneumonia.org/latest/world-pneumonia-day/ accessed on Oct 21, 2020
3 통계청, 2019년 사망원인, 2020
4 카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건강정보- 폐렴(Last accessed on Oct 19, 2020 at https://www.cmcseoul.or.kr/healthcare/bbs/view.do?idx=57&curPage=9&keyword=&searchFields=&type=A)
5 질병관리본부. 2017 성인 지역사회획득폐렴 항생제 사용지침
6  J.J.C. Drijkoningen et al. Pneumococcal infection in adults: burden of disease, Clinical Microbiology and Infection Volume 20, Supplement 5, May 2014, Pages 45-51
7 Shea KM, et al. Rates of pneumococcal disease in adults with chronic medical conditions, Open Forum Infect Dis. 2014;1-9. doi:10.1093/ofid/ofu02
8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Pneumonia Can Be Prevented—Vaccines Can Help. (Last Accessed in October 2020  at https://www.cdc.gov/pneumonia/prevention.html)
9 질병관리청, 국가예방접종사업소개 - 초/중학교 입학생 예방접종 확인 사업(Last Accessed in October 2020 at https://nip.cdc.go.kr/irgd/introduce.do?MnLv1=3&MnLv2=3)
10 대한류마티스학회, 한국인 자가면역 류마티스질환 환자에서의 백신접종 진료지침, Infect Chemother. 2020 Jun;52(2):252-280, https://doi.org/10.3947/ic.2020.52.2.252, pISSN 2093-2340•eISSN 2092-6448
11  European Medicines Agency (EPAR), Prevenar13, INN-Pneumococcal conjugate vaccine, 13-valent
12  FDA, January 25, 2013 Approval Letter – Prevenar 13
13 식품의약품안전처, 온라인의약도서관, 프리베나13주, 기본정보, 변경이력
14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수입품목변경허가, 2012.5.25
15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 수입품목변경허가, 2013.7.2
16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 수입품목변경허가, 2013.10.28
17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 수입품목변경허가, 2014.5.12
18 식품의약품안전처,의약품수입품목변경허가 2015.10.30
19  FDA, Approval Letter – Prevenar 13, December 30, 2011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