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멀택®정’ 국내 허가 10주년 온라인 심포지엄 개최

11월 9일∼13일 사노피 아벤티스, 심방세동 환자의 증상 및 삶의 질 개선 위한 진단과 치료· 관리 방안 논의

11월 23일부터 12월 23일까지, e-Link(sanofielink.kr)에서 다시보기 가능 




사노피-아벤티스 코리아(대표 배경은)는 심방세동 치료제 ‘멀택®정(성분명: 드로네다론염산염)’의 국내 허가 10주년을 기념해 11월 9일부터 13일까지 국내 심장질환 전문가를 초청하여 온라인 심포지엄 ‘Online AFib Forum’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심방세동 환자에서 심방세동으로 인한 입원 위험성 감소 효과가 확인된 유일한 부정맥 치료제인 멀택®정을 보유하고 있는 사노피가 전문가의 처방 경험과 지견을 토대로 심방세동 환자의 증상 및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진단과 치료, 관리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세션은 ▲심방세동의 검진 및  진단 평가(고대안암병원 심재민 교수) ▲심방세동 환자의 율동 조절을 위한 약물치료 적응증과 전략(세브란스병원 박희남 교수) ▲멀택®정의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RCT)과 실사용 증거(Real-world evidence) 및 10년 처방 경험(서울대병원 최의근 교수) ▲심방세동 환자에서 뇌졸중의 예방과 관리(중앙대병원 신승용 교수) ▲부정맥 분야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유망한 미래(원광대병원 고점석 교수)에 대한 강연으로 구성됐다. 

이번 온라인 심포지엄 ‘Online AFib Forum’의 모든 세션 강연은 오는 11월 23일부터 12월 23일까지 한달 간 사노피 웹심포지엄 서비스 ‘e-Link 사이트(sanofielink.kr)’에서 다시보기를 통해 공개된다. 

e-Link 사이트에 접속해 회원가입 및 로그인 후, 심포지엄 일정이 기록된 캘린더에서 방송 일자를 선택해 시청할 수 있다.  




사노피-아벤티스 코리아의 전문의약품 사업부를 총괄하는 배경은 대표는 “임상시험부터 실사용 관찰연구까지 방대한 근거 수준을 축적해온 멀택®정은 지난 10여년 간 심방세동 환자의 증상을 개선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국내외에서 활발히 사용돼왔다”며 “사노피는 향후에도 멀택®정을 비롯하여 심혈관계 질환 분야에서 다양한 의약품을 꾸준히 공급함으로써 환자들의 건강한 삶에 기여할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사노피의 멀택®정은 2010년 2월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 이후 2012년 3월부터 발작성 또는 지속성 심방세동 병력을 가진 현재 정상 동율동(sinus rhythm)인 심방세동 환자에서 심방세동으로 인한 입원 위험성 감소를 위한 치료제로 약 10년간 사용돼 오면서 실제 임상 현장에서도 우수한 효과와 안전성 프로파일을 지속적으로 확인해 왔다. 



현재 멀택®정은 유럽심장학회(ESC)와 미국 심장학회(AHA/ACC/HRS) 및 대한부정맥학회 치료 가이드라인을 통해 심부전이 동반되지 않은 심방세동 환자에서 기저 심혈관질환 유무와 관계없이 사용 가능한 1차 선택제로 권고되고 있다. 


References
1 사노피멀택®정 온라인심포지엄 포스터 (리뷰코드: MAT-KR-2001375-1.0-10/2020)
2 식품의약품안전처_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의약품상세정보. 멀택정(드로네다론염산염) Available at: https://nedrug.mfds.go.kr/pbp/CCBBB01/getItemDetail?itemSeq=201001728 (as of Oct. 20, 2020)
3  Boriani G, et al. Safety and efficacy of dronedarone from clinical trials to real-world evidence: implications for its use in atrial fibrillation. Europace. 2019 Jul 19
4  So-Ryung Lee, et al. Comparative clinical outcomes of dronedarone and sotalol in Asia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a nationwide cohort study. Scientific Reports volume 10. Article number: 16102 (2020). Available at: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8-020-73115-y (as of Oct. 20, 2020)
5  Kirchhof P, et al. 2016 ESC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trial fibrillation developed in collaboration with EACTS, Eur Heart J. 2016;37(38):2893-2962
6  January CT, et al. 2014 AHA/ACC/HRS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J Am Coll Cardiol. 2014;64(21):e1-e76
7  Joung B, et al. 2018 Korean Guideline of Atrial Fibrillation Management. Korean Circ J. 2018;48(12):1033-1080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