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추신경계(CNS) 전이가 있는 NTRK 유전자 융합 양성 고형암 환자 100%,
ROS1 양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36.4%의 두개 내 객관적 반응률보여
다양한 암종에서 환자 개개인에게 바이오마커 기반의 맞춤치료제공 기대
㈜한국로슈(대표이사 닉 호리지)는 자사의 암종불문 항암제 로즐리트렉(성분명엔트렉티닙)이 한국인을 포함한 아시아 환자에서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보였다고 밝혔다.1
11월 20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유럽종양학회 연례학술대회 아시아 회의 2020 (ESMO Asia 2020)에서 로즐리트렉의 아시아인 하위분석 결과가 발표됐다. ESMO Asia에서 공개된 데이터는 로즐리트렉 주요 임상연구(pivotalstudy)인 제1/2상 ALKA-372-001, STARTRK-1, STARTRK-2의 아시아 환자 대상 하위 분석 결과다.1 NTRK 또는 ROS1 TKI 치료경험이 없는 NTRK 유전자 융합 양성 고형암(N=74) 또는 ROS1 양성 비소세포폐암(N=161) 환자를 대상으로 한 주요 임상연구인 ALKA-372-001, STARTRK-1, STARTRK-2에서 한국인을 포함한 아시아 환자의 로즐리트렉 치료 결과를 분석했다.1
아시아인 환자하위분석 결과, 로즐리트렉 치료를 받은 NTRK 유전자 융합 양성 고형암 환자(N=13)에서 객관적 반응률(ObjectiveResponseRate, ORR)은 69.2%(95% CI, 38.6-90.9), 반응지속기간(Duration of Response, DoR) 중앙값은 10.4개월(95% CI 5.7-NE), 무진행생존기간(ProgressionFreeSurvival, PFS) 중앙값은 14.9개월(95% CI 6.4-NE)이었으며, 전체생존기간(OverallSurvival, OS)는 측정할 수 없었다.1
ROS1 양성 비소세포폐암 환자(N=73)에서는 객관적 반응률 69.9%(95% CI 58.0-80.1), 반응지속기간 중앙값 14.9개월(95% CI 9.5-NE)이 관찰됐으며, 전체 생존기간 중앙값은 28.3개월(95% CI 28.3-NE),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은 13.6개월(95% CI 9.6-NE)으로 확인됐다.1 또한 2차 평가변수인 두개내 객관적반응률(Intracranial ORR)의 경우 NTRK 유전자 융합 양성 고형암 환자(n=3)에서 100%, ROS1 양성 비소세포폐암 환자(n=22)에서 36.4%로 나타났으며, 스캔으로 확인된 중추신경계 전이 진행은 전반적으로 매우 낮은 수준으로 확인됐다.1 아시아 환자에서 로즐리트렉의 안전성 프로파일은 이전에 발표된 전체 임상 데이터와 유사하게 전반적으로 관리 가능한 수준이었다.1
이번 연구에 참여한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안명주 교수는 “한국인 환자가 포함된 아시아인 하위분석 연구를 통해 더 이상 치료옵션이 없는 NTRK 유전자 융합양성 희귀 고형암 및 ROS1 양성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에서 유의미한 치료반응과 관리 가능한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인했다. 이는 국내 환자들이 새로운 맞춤형 치료 기회에 한 발 더 다가서는, 의미있는 결과”라며, “아시아 환자에서 로즐리트렉의 치료 잠재력을 확인한 임상적 근거 발표와 암종불문 항암제 로즐리트렉의 국내 도입을 계기로, 치료적 대안이 없었던 국내 희귀 암 환자들에게 개개인의 유전체 특성에 기반한 맞춤 치료가 확대 제공되고, 환자들의 치료 정보가 다시 연구개발로 이어지는 정밀의료의 선순환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로즐리트렉은 암 발생 부위와 상관없이 NTRK 유전자 융합과 ROS1 변이를 바이오마커로 삼는 개인 맞춤형 항암제로, 중추신경계(CNS)에도 작용하는 선택적인 TRK 융합 단백질 및 ROS1 단백질 티로신키나제 억제제다. 암종불문 항암제(tumor-agnostictherapy)는 종양이 발생한 신체적 위치가 아닌 바이오마커 기반의 암 치료법으로, NGS 검사 기술의 발달로 인해 최근 새롭게 등장한 치료법이다. ,
한국로슈 닉 호리지 대표이사는 “로슈는 환자와 의료진에게 유전체 특성에 기반한 맞춤형 치료의 가치와 혜택을 적시에 전달하기 위해 지난달 전 세계에서 5번째로 빠르게 한국에 암종 불문 항암제 신약인 로즐리트렉을 출시해서 무척 기쁘다”며, “더 많은 NTRK 융합 양성 고형암 및 ROS1 양성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비소세포폐암 환자들에게 맞춤의료에 대한 새로운 희망을 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로즐리트렉은 지난 4월 국내에서 최초로 허가된 암종불문 항암제로 알려진 획득 내성 돌연변이 없이 신경영양 티로신 수용체 키나제(NTRK) 유전자 융합을 보유한 성인 및 만 12세 이상 소아의 고형암 치료와 성인의 ROS1 양성인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치료제로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으며, , 지난 10월 국내 출시됐다.
로즐리트렉 (성분명엔트렉티닙)
로즐리트렉은 암 발생 부위와 상관없이 NTRK 변이(fusion)를 바이오마커로 삼는 개인 맞춤형 항암제로써,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2020년 4월21일 허가됐다.5,6
NTRK 유전자 융합은 다양한 종양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일부 희귀암에서는 아주 높은 빈도로 나타나는 새로운 암 유발 유전체변이다. , NTRK 유전자 융합은 NGS(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PCR 검사와 같은 유전자 검사로 진단이 가능하다.
로즐리트렉은 NTRK 유전자 융합 적응증에 대해 유럽의약품청(EMA)로부터 우선심사 대상 의약품(PRIME)으로 지정되었으며, 2019년 6월 일본 후생노동성으로부터 혁신의약품(sakigake) 대상으로 지정 및 희귀 의약품으로 허가했다.
References
1 Daniel SW Tan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entrectinib in an Asian population with NTRK fusion-positive (fp) solid tumours or ROS1-fp NSCLC. ESMO Asia 2020. https://bit.ly/3lCN9SH 2 Menichincheri M. Discovery of Entrectinib: A New 3-Aminoindazole As a Potent Anaplastic Lymphoma Kinase (ALK), c-ros Oncogene 1 Kinase (ROS1), and Pan-Tropomyosin Receptor Kinases (Pan-TRKs) inhibitor. J Med Chem. 2016 Apr 14;59(7):3392-408. doi: 10.1021/acs.jmedchem.6b00064..
4 Yan L, Zhang W. Precision medicine becomes reality—tumor type-agnostic therapy. Cancer Commun 2018; 38:6. DOI:10.1186/s40880-018-0274-3
7 Amatu A, Sartore-Bianchi A, Siena S. NTRK gene fusions as novel targets of cancer therapy across multiple tumour types. ESMO Open. 2016;1(2).
8 Marchiò C, et al. ESMO recommendations on the standard methods to detect NTRK fusions in daily practice and clinical research. Annals of Oncology. 2019 Sep;30(9):1417-1427. DOI: 10.1093/annonc/mdz204.
9 F. Hoffman La Roche Ltd. Data on 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