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한 혈당 조절 효과와 편의성 개선을 바탕으로
인슐린 시장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 달성
한국 노보 노디스크제약(사장: 라나 아즈파 자파)은 자사의 기저 인슐린 트레시바® 플렉스터치®주(성분명 인슐린 데글루덱)의 국내 출시 5주년을 맞아 ‘5! Happy Tresiba® Day’ 사내행사를 개최했다고 12월 1일 밝혔다.
이번 사내행사는 차세대 기저 인슐린 트레시바®의 지난 5년 동안의 성과와 환자에게 이끌어낸 긍정적인 변화를 조명하고자 마련됐다.
이날 한국 노보 노디스크제약 당뇨사업부 임직원들은 트레시바®의 5가지의 환자 중심(Patient Centric) 특장점 ▲25시간 반감기를 통한 안정적인 혈당조절 프로파일 ▲저혈당 위험 감소 ▲성공적인 당화혈색소(HbA1c) 감소 ▲투여 시간의 유연성 ▲플렉스터치펜을 통한 투여 편의성을 되짚어 보고 앞으로도 효율적이고 편리한 혈당 관리를 통해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겠다는 포부를 다지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손으로 숫자 5를 표현해 트레시바® 출시 5주년의 의미를 담은 임직원들의 사진을 모자이크 형태로 만들어 임직원 및 관계자들과 함께 축하의 마음을 나누기도 했다.
트레시바® 플렉스터치®주는 42시간 이상 작용이 지속되는 1일 1회 투여하는 차세대 기저 인슐린으로, 지난 2015년 12월 국내에서 출시된 이후 꾸준한 매출 성장을 보이며 기저 인슐린으로서의 입지를 다져왔다. 2019년에는 누적 처방액 220억원을 기록해 출시 4년 만에 국내 기저 인슐린 시장에서 1위에 등극해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어 냈으며, 2020년 2분기에는 IMS 데이터 기준 매출액뿐 아니라 판매량에서도 1위를 차지하며 대표 기저 인슐린 브랜드로서 리더십을 이어 나가고 있다.
다수의 3상 무작위 대조군 연구(RCT)와 실제 임상 근거(RWE) 연구들을 통해 확인된 혈당 조절 효과와 저혈당 위험 감소 및 안전성 데이터는 트레시바®에 대한 의료진과 환자들의 신뢰의 바탕이 되었다. 인슐린 사용 경험이 없는 제2형 당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장기 안전성과 효능을 비교한 BEGIN 연구에서 트레시바®는 장기적인 혈당 조절을 개선하면서 인슐린 글라진 U100 대비 야간 저혈당 42% 감소, 심혈관 질환 사건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진행된 DEVOTE 연구에서 인슐린 글라진 U100 대비 중증 저혈당을 40% 감소시켰다.
실제 진료환경에서도 기타 기저 인슐린에서 트레시바®로 전환한 당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저혈당 발생을 장기적으로 추적 관찰한 ReFLeCT 연구를 통해, 전체 저혈당 발생 위험은 베이스라인 대비 제1형 당뇨병 환자 치료군에서는 20%, 그리고 제2형 당뇨병 환자 치료군에서는 54% 더 낮은 것을 확인했다.
한국 노보 노디스크제약 라나 아즈파 자파 사장은 “트레시바®는 인슐린 명가 노보 노디스크를 대표하는 제품으로, 한국에서 5년이라는 짧은 기간 내에 시장 점유율 1위의 대표 기저 인슐린으로 거듭날 수 있었던 것은 트레시바®에 대한 의료진과 환자들이 믿음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결과였다”며 앞으로도 보다 많은 당뇨병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끊임없는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전했다.
한편, 트레시바® 플렉스터치®주는 체내 주사 시 ‘멀티헥사머(Multihexamer)’를 형성해 모노머(Monomer, 단량체)가 지속적으로 방출되는 작용기전을 나타낸다. 이를 통해 혈당의 변동폭을 최소화하여 기존 기저 인슐린 대비 저혈당 위험을 감소시키며 25시간의 긴 반감기로 안정적이고 강력한 혈당조절을 돕는다. 또한 투여시간의 유연성으로 하루에 한 번 어느 때나 투여가 가능하며 한 단계 진화된 플렉스터치® 디바이스 적용으로 당뇨병 환자들이 좀더 쉽고 편리하게 인슐린을 투여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극대화했다.
노보노디스크에 대해
노보 노디스크는 95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기업으로 당뇨병 치료 분야에서 혁신과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다. 노보 노디스크는 오랜 역사를 통해 축적한 경험과 능력으로 당뇨병뿐만 아니라 비만, 혈우병, 성장장애 그리고 그 외 심각한 만성 질환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위한 치료제 개발도 활발히 진행해오고 있다.
덴마크에 본사를 두고 있는 노보 노디스크에는 79개국에서 약 43,200명의 직원들이 활동하고 있으며, 170여 개국 이상의 나라에서 자사의 치료제를 판매하고 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novonordisk.com, 페이스북, 트위터, 링크드인, 유튜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References
1 식품의약품안전처>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란투스주솔로스타
2 약학정보원>이슈 &트렌드>제2형 당뇨병(Type II Diabetes Mellitus) (3)>인슐린제제>2. 기저 인슐린>2-2. 장시산 지속형인슐린> 2) Insulin Glargine U300(제품명: 투제오, ToujeoⓇ)
3 Heise et al. J Diabetes Sci Technol 2018; 12(2):356-363.
4 Tibaldi J, Hadley-Brown M, Liebl A, et al. A comparative effectiveness study of degludec and insulin glargine 300 U/mL in insulin-naïve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Diabetes Obes Metab. 2019;21:1001–1009.
5 Tresiba (summary of product characteristics). Bagsvaerd, Denmark: Novo Nordisk A/S, January 2015
6 Oyer D et al. Expert Opin. Drug Deliv. (2011) 8(10) 1259-1269
7 Bailey T et al. Cur Med Res & Opi 2011; 27(10):2043–2052
8 Bailey T et al Expert Rev. Med. Devices 9(3), 209–217 (2012)
9 Hemmingsen H et al. Diabetes Technology & Therapeutics 2011; 13(12):1207–1211.
10 식품의약품안전처>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트레시바플렉스터치주(인슐린데글루덱)
11 Data on file. 2019UBIST data
12 Data on file. 2020 2Q IMS data
13 Zinman et al. Diabetes Care 2012;35:2464–71; Rodbard et al. Diabet Med 2013;30:1298–304; Ratner et al. Diabetes Obes Metab 2013;15:175–84
14 Marso SP, McGuire DK, Zinman B, Poulter NR, Emerson SS, Pieber TR, Pratley RE, Haahr P-M, Lange M, Brown-Frandsen K, Moses A, Skibsted S, Kvist K, Buse JB for the DEVOTE Study Group. Efficacy and safety of degludec versus glargine in type 2 diabete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17; 377(8):723–732.
15 WyshChaykin L, de la Rosa R, Handelsman Y, Troelsen L, Kvist K, Norwood P. Effect of insulin degludec vs insulin glaram C, Bhargava A, gine U100 on hypoglycemia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The SWITCH 2 Randomized Clinical Trial. JAMA 2017; 318(1):45–56.
16 Tibaldi J, Hadley-Brown M, Liebl A, Haldrup S, Sandberg V, Wolden ML, Rodbard HW. A comparative effectiveness study of degludec and insulin glargine 300 U/mL in insulin-naïve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Diabetes, Obesity and Metabolism 2019; 21:1001–1009.
17 Philis-Tsimikas, A., Klonoff, D.C., Khunti, K. et al. Risk of hypoglycaemia with insulin degludec versus insulin glargine U300 in insulin-treated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the randomised, head-to-head CONCLUDE trial. Diabetologia (2020). https://doi.org/10.1007/s00125-019-05080-9 18 Rodbard HW, Cariou B, Zinman B, Handelsman Y, Philis-Tsimikas A, Skjøth TV, Rana A, Mathieu C on behalf of the BEGIN Once Long Trial Investigators. Comparison of insulin degludec with insulin glargine in insulin-naive subjects with Type 2 diabetes: a 2-year randomized, treat-to-target trial. Diabetic Medicine 2013; 30(11):1298–1304.
19 Gian Paolo Fadini, Michael Feher, et al. Switching to Degludec From Other Basal Insulins Is Associated With Reduced Hypoglycemia Rates: A Prospective Study. J Clin Endocrinol Metab, December 2019, 104(12):5977–5990. doi: 10.1210/jc.2019-01021
20 Tresiba (summary of product characteristics). Bagsvaerd, Denmark: Novo Nordisk A/S, January 2015
21 Jonassen Ib, Havelund S, Hoeg-Jensen T, et al. Design of the novel protraction mechanism of insuling degludec, an ultra-long-acting basal insulin. Pharm Res (2012) 29:2104–2114
22 Oyer D et al. Expert Opin. Drug Deliv. (2011) 8(10) 1259-1269
23 Bailey T et al. Cur Med Res & Opi 2011; 27(10):2043–2052
24 Bailey T et al Expert Rev. Med. Devices 9(3), 209–217 (2012)
25 Hemmingsen H et al. Diabetes Technology & Therapeutics 2011; 13(12):1207–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