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삭센다®, 3분기 비만 치료제 시장 점유율 1위 달성

최근 1년 누적 매출액(MAT) 약 389억 원으로 전체 비만치료제 시장의 약 27% 점유율 기록

 아이큐비아 분석 결과, 
비만 치료제 삭센다® 3분기 매출 약 97억 원으로 1위 유지
라나 아즈파 자파 사장, 
“삭센다®의 체중 감소 효과, 심대사 위험요인 개선 효과, 장기 안전성 등 치료 혜택을 입증했기 때문에 가능한 결과”

 

한국 노보 노디스크제약(사장: 라나 아즈파 자파)은 세계 최초이자 유일한 GLP-1(Glucagon-Like Peptide 1) 유사체 비만 치료제 삭센다®(성분명: 리라글루티드 3.0mg)가 체중 감소 효과와 장기 안전성을 바탕으로 3분기 비만 치료제 시장에서 25.2%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1위를 달성 했다고 밝혔다.

의약품 조사 기관 아이큐비아(IQVIA)에 따르면, 삭센다®는 전체 비만 치료제 시장 3분기 매출 384억 원 중 약 97억 원으로 약 25.2%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8분기 연속 1위를 달성했다.1

또한 삭센다®는 3분기 시장 점유율 1위와 더불어 최근 1년 누적 매출액(MAT) 1위도 기록했다. 삭센다®의 1년간 국내 연간 누적 매출액(MAT)은 약 389억 원으로, 이는 전체 비만 치료제 시장의 27.4%에 해당한다.1 




한국 노보 노디스크 라나 아즈파 자파 사장은 “삭센다®가 비만 치료제 시장 1위의 자리를 수성한 것은 체중 감소 효과, 심대사 위험요인 개선 효과, 장기 안전성 등 삭센다의 다양한 치료 이점을 입증했기에 가능한 결과”라며, “비만은 코로나19 고위험군으로 분류될 정도로 다른 질환의 발생 위험을 높이기 때문에 반드시 치료해야 하는 질병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노보 노디스크는 성별과 연령을 가리지 않고 증가하는 비만 환자들이 적극적으로 치료에 나설 수 있도록 비만에 대한 올바른 정보 제공과 인식 전환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지속적으로 펼칠 것이다”고 전했다.




한편, 삭센다®(성분명 리라글루티드)는 세계 최초이자 유일한 GLP-1 유사체 비만 치료제18으로 음식 섭취에 반응하여 자연적으로 분비되는 인체 내 식욕 조절 물질인 GLP-1과 97%가량 유사해 포만감을 높임으로써 식욕을 조절하고 공복감과 음식 섭취를 줄여 체중을 감소시킨다.   

총 5,358명의 환자 대상 4가지 연구로 구성된 대규모 SCALE™(Satiety and Clinical Adiposity – Liraglutide Evidence) 임상시험 을 통해 유의미한 체중 감소 효과 뿐 아니라, 체중 감량 유지 효과가 확인됐다. 특히 비만 및 당뇨병 전단계 환자 3,73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 연구 결과에서는 삭센다® 투여 군의 체중이 지속적으로 감소해 1년 후 투약 완료군에서 체중의 9.2%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SCALE 3년 연구 결과, 유의미한 체중 감소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위약에 비해 제2형 당뇨병 발생 위험을 약 80%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제2형 당뇨병 환자 9,340명이 참여한 LEADER 임상 시험에서 리라글루티드 1.8mg는 장기적인 심혈관계 안전성 및 우수성을 확인했다. LEADER 임상은 리라글루티드 1.8mg을 투여받은 심혈관계 질환 고위험군 혹은 이전에 심혈관계 질환으로 진단된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위약 대비 주요 심혈관계 이상 사건 발생의 상대적 위험을 13% 감소, 심혈관계 사망 위험은 22% 감소시켰음을 확인했다. 


▶ 비만에 대해 

비만은 과도한 체지방의 증가로 인하여 대사 장애가 유발된 상태를 말한다. 비만은 허혈성 심질환, 뇌졸중, 당뇨병, 고혈압, 이상지혈증, 근골격계 질환, 각종 암 등의 중요한 위험인자다.  비만 유병률의 증가는 이러한 각종 비만합병질환의 증가로 이어져 국가의 사회경제적 부담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1997년에 세계보건기구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도 이를 인지하여 21세기에 비만이 흡연과 더불어 세계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가장 심각한 공중보건학적 문제가 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 노보 노디스크 회사 소개

노보 노디스크는 95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기업으로 당뇨병 치료 분야에서 혁신과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다. 노보 노디스크는 오랜 역사를 통해 축적한 경험과 능력으로 당뇨병뿐만 아니라 비만, 혈우병, 성장장애 그리고 그 외 심각한 만성 질환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위한 치료제 개발도 활발히 진행해오고 있다. 

덴마크에 본사를 두고 있는 노보 노디스크에는 79개국에서 약 43,200명의 직원들이 활동하고 있으며, 170여 개국 이상의 나라에서 자사의 치료제를 판매하고 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novonordisk.com, 페이스북, 트위터, 링크드인, 유튜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References
1  의약품 조사기관 아이큐비아
2  Unger J. Liraglutide: can it make a difference in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Int J Clin Pract Suppl. 2010:1-3.
3  Orskov C, Wettergren A, Holst JJ. Secretion of the incretin hormones glucagonlike peptide-1 and gastric inhibitory polypeptide correlates with insulin secretion in normal man throughout the day. Scandinavi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1996; 31:665-670.
4  Knudsen LB, Nielsen PF, Huusfeldt PO, et al. Potent derivatives of glucagon-like peptide-1 with pharmacokinetic properties suitable for once daily administration.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2000; 43:1664-1669.
5  Secher A, Jelsing J, Baquero AF, et al. The arcuate nucleus mediates GLP-1 receptor agonist liraglutide-dependent weight loss. J Clin Invest. 2014; 124:4473- 4488.
6  van Can J, Sloth B, Jensen CB, et al. Effects of the once-daily GLP-1 analog liraglutide on gastric emptying, glycemic parameters, appetite and energy metabolism in obese, non-diabetic adults.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2014; 38:784-793.
7  FDA Briefing Document for Saxenda® (liraglutide 3 mg): EMDAC meeting 11 Sep 2014. Available at http://www.fda.gov/AdvisoryCommittees/CommitteesMeetingMaterials/
Drugs/EndocrinologicandMetabolicDrugsAdvisoryCommittee/ucm413316.htm (Last accessed: 6 March 2015).
8  Greenway F, et al. Additional analyses of the weight-lowering efficacy of liraglutide 3.0 mg in overweight and
obese adults: the SCALE Obesity and Prediabetes randomized trial. Obesity Week 2014. Oral presentation T-3027-OR.
9  Wadden TA, et al. Int J Obes (Lond) 2013;37:1443–1451.
10  Pi-Sunyer et al. N Engl J Med. 2015;373(1):11-22.
11  Krempf et al. Diabetologia 2014; 57(Suppl. 1): Abstract 903-P
12  Bode et al. Diabetologia 2014; 57 (Suppl 1): Abstract 181-OR
13  Pi-Sunyer X, et al. Diabetologia 2014; 57(Suppl. 1): Abstract 73-OR
14  Davies M, et al. Diabetologia 2014; 57 (Suppl 1): Abstract 39-OR
15  Pi-Sunyer et al. N Engl J Med 2015;373:11–22
16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 정보포털 (https://health.cdc.go.kr/healt h/HealthInfoArea/HealthInfo/ View.do?idx=15020)
17  WHO. Obesity-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1997.
18 미국 FDA, 유럽 EMA,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처. 2020년 8월 조회 기준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