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사노피, K-ADVENT 웹 심포지엄 성료

아토피피부염, 천식 등 제2형 염증성 질환 분야 학술 정보 교류

보건의료전문가 대상, 
코로나19로 급변한 의료환경 속 아토피피부염 최신 치료전략 논의 


 
사노피-아벤티스 코리아(대표 배경은, 이하 사노피)가 제2형 염증성 질환에 대한 보건의료전문가 대상 프로그램 ‘K-ADVENT’를 성료했다. 이번 웹 심포지엄은 대표적 ‘제2형 염증(Type 2 Inflammation)’ 질환인 아토피피부염 면역체계에 대한 최신 지견과 치료전략을 주제로 진행됐다.

K-ADVENT는 의료진들간 의학정보 및 최신 치료 지견 교류를 위해 마련된 사노피의 글로벌 심포지엄인 ADVENT의 국내 프로그램으로, 지난 2018년 론칭 이후 제2형 염증 질환 치료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대표적인 논의의 장으로 자리매김했다. 

제2형 염증은 아토피피부염, 천식 등 면역매개 염증성 질환들을 포함하는 병태생리학적 개념으로, 인터루킨-4(IL-4)와 인터루킨-13(IL-13)이 주요 사이토카인으로 밝혀진 바 있다. 아토피피부염에 있어서 제2형 염증은 정상으로 보이는 피부 내 기저염증으로 존재하며, 면역체계의 불균형이 사이토카인 분비 증가를 유도해 제2형 염증 반응을 증폭시킨다. 이는 곧 피부장벽의 비정상화, 병변의 악화, 가려움증으로 발현된다. 

심포지엄은 총 3가지 세션으로  ▷아토피피부염 치료 관련 임상조언 (연세의대 박창욱 교수)  제2형 염증성 아토피피부염 관련 면역학적 지견(미국 뉴욕 마운트 시나이 대학 엠마 거트만 교수)  패널 토론 및 질의응답 (좌장 서울의대 김규한 교수) 등의 시간으로 구성됐다.

연자로 참석한 세브란스병원 박창욱 교수는 강연을 통해 국내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임상적, 면역학적 특징과 치료 경험을 공유했다. 이어 미국 뉴욕 마운트 시나이 대학교의 엠마 거트만 교수는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면역체계에 대한 최신 지견과 함께 제2형 염증 반응이 아토피피부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주요한 임상적, 병리학적 근거를 제시했다. 엠마 거트만 교수는 세계습진학회 공동 창립자 겸 회장으로, 아토피피부염의 면역학적 기반에 대한 제2형 염증 매커니즘을 발견한 세계적 석학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심포지엄의 좌장을 맡은 김규한 교수는 “아토피피부염은 피부에 존재하는 기저염증으로 인해 재발 및 악화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면역 질환인 만큼 아토피피부염의 병태생리에 대한 이해와 이를 기반으로 한 치료접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특히 “최근 코로나19로 치료환경이 급격히 변화하는 시기에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치료에 참고할 수 있는 내용들이 공유돼 치료 환경 개선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사노피 젠자임 의학부의 조하나 상무는 “이번 K-ADVENT는 국내외 아토피피부염 전문가들이 제2형 염증 관련 최신 치료 지견과 임상 경험을 공유하는 자리로 큰 의의가 있었다”며, “앞으로도 사노피는 제2형 염증 질환 환자들을 진료하는 의료진들에게 질환에 대한 최신정보를 전달하고 학술의 장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ADVENT 프로그램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사노피의 ADVENT 프로그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보건의료전문가용 홈페이지(adventprogram.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제2형 염증(Type 2 Inflammation)에 대하여 

제2형염증이란 아토피피부염, 천식 등 면역매개 염증성질환들을 포함하는 넒은 병리생리학적 개념을 뜻한다.1 2형염증 질환과 관련해서는 IL-4(인터루킨-4)와 IL-13(인터루킨-13)이 주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규명된바 있으며, 이에 두 인터루킨은 제2형사이토카인으로도 구분된다.2 제2형염증 메커니즘은 아토피피부염, 천식, 호산구성식도염(EoE) 등 다양한 질환범위에 영향을 미친다.1


중등도-중증 아토피피부염(Moderate-to-SevereAtopicDermatitis)에 대하여

중등도-중증 아토피피부염은 만성적인 전신면역 질환으로 발진, 심각한 가려움증, 피부 건조, 피부 갈라짐, 붉어짐(발적), 부스럼딱지 및 진물 등이 동반될 수 있다. 아토피피부염은 복합적인 유전적 환경적 면역체계의 이상으로  발생한다. 아토피피부염을 앓고있는 성인 환자들이 겪는 신체적 고통은 정신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다.8 성인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경우 3명중 1명은 불안 및 우울증같은 정신건강 문제를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경우 4명 중 1명 꼴로 불안장애를 앓고 있으며, 그 중 사회적 불안장애가 14%로 가장 흔하다.

특히 청소년 아토피환자들의 경우에는 환자 본인의 삶과 학업은 물론, 부모 등 가족의 직업생활에까지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연구에 따르면 중증 아토피피부염 청소년 환자들은 증상으로 인해 결석하는 일수가 연간 평균 10.9일에 이르며,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가족들은 간병을 위해 매주 12.5시간을 소비하고 특히 중증 환자의 가족은 10명 중 8.7명이 지난 한달간 환자 간병을 위해 하루 이상 휴가를 낸 것으로 조사됐다.


References
1  Gause WC, et al. Nat Rev Immunol 2013;13:607-614.
2  Gandhi NA, et al. Nat Rev Drug Discov. 2016;15(1):35-50.
3  Suárez-Fariñas M et al. J Allergy Clin Immunol. 2011;127(4)954-964.
4  Gittler JK et al. J Allergy Clin Immunol. 2012;130(6)1344-1354
6  Garmhausen D et al. Allergy 2013; 68:498–506.
7  Eichenfield LF at al. J Am Dermatol. 2014;71:116-132
8  Zuberbier  T, Orlow SJ, Paller AS, et al. Patient perspectives on the management of atopic dermatitis. J Allergy Clin Immunol. 2006;118(1):226-232.
9 Eichenfield LF, Tom WL, Chamlin SL, et al. Guidelines of care for the management of atopic dermatitis. Section 1: diagnosis and assessment of atopic dermatitis. J Am Acad Dermatol. 2014; 70(2):338-351.
10  Leung, D. Y., Boguniewicz, M., Howell, M. D., Nomura, I., & Hamid, Q. A. (2004). New insights into atopic dermatitis.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113(5), 651-657.
11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 Handout on Health: Atopic Dermatitis (A type of eczema) May 2013. Available online:
http://www.niams.nih.gov/Health_Info/Atopic_Dermatitis/default.asp. Accessed: August 31, 2016.
12  Clark C. Atopic eczema- clinical features and diagnosis. Clinical Pharmacist. 2010;54(3):285-289;
13  Eckert L et al, Impact of Atopic Dermatitis on Patient Self-Reported Quality of Life, Productivity Loss, and Activity Impairment: An Analysis Using the US National Health and Wellness Survey. 2016. Presented at the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74th Annual Meeting, March 4–8, 2016, Washington DC."
14  Marcia J. Slattery et al, Depression, Anxiety, and Dermatologic Quality of Life in Adolescents with Atopic Dermatitis. J Allergy Clin Immunol. 2011 Sep; 128(3): 668–671.e3.
15  Barbarot S, et al. 2019. The family impact of atopic dermatitis in adolescents: a cross-sectional study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Presented at: European Academy of Dermatology and Venereology Congress; October 9 – 13, 2019; Madrid, Spain. E-Poster. Abstract ID: 2594; Poster: P1463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