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애브비, 고정 치료 기간 벤클렉스타Ⓡ 요법으로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을 치료한 추적 연구의 연장 데이터 발표해

제62회 미국혈액학회(ASH) 온라인 연례 회의 및 박람회

•3상 MURANO 임상연구의 새로운 5년 추적 분석 결과, 이전에 치료 경험이 있는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환자에서 3년 이상 치료를 중단한 후, 벤다무스틴과 리툭시맙 병용요법(BR)군에서의 무진행 생존율(PFS) 중앙값은 17.0개월, 벤클렉스타와 리툭시맙 병용요법군은 53.6개월였음1
•3상 CLL14 연구의 두 가지 분석 결과, 치료 경험이 없는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환자를 대상으로 오비누투주맙과 벤클렉스타 병용요법의 미세 잔존 질환(minimal residual disease, MRD) 측정치를 평가함2, 3
•CLL14 연구의 4년 추적 분석에 따르면 벤클렉스타와 오비누투주맙 병용요법군의 전체 생존율(OS)은 85.3%인 반면, 클로람부실과 오비누투주맙 병용요법군은 83.1%였음.3
 


애브비는 제62회 미국혈액학회(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ASH) 온라인 연례 회의 및 박람회에서 벤클렉스타(성분명: 베네토클락스)의 고정 치료 기간 병용요법을 평가한 3상 MURANO와 CLL 14 임상연구의 새로운 업데이트 결과를 12월 5일 발표했다.(초록125, 127,  1310). 이번 결과로 1차 혹은 이전 치료 경험이 있는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환자를 벤클렉스타로 치료하는 근거가 되는 데이터가 더해졌다. 

애브비의 의학부 총괄 존 헤이슬립(John Hayslip) 의학박사는 "MURANO와 CLL14 임상연구는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환자에서 고정치료기간의 베네토클락스 병용 치료가 지속적인 무진행 생존을 달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을 보여준다"라며, "이러한 반응은 벤클렉스타를 사용하면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환자가 치료를 완료한 후 질병이 진행되지 않은 상태로 더 오래 생존할 수 있다는 사실을 뒷받침한다"고 말했다.

미국혈액학회 연례회의에서 발표된 MURANO 및 CLL14 임상연구 데이터를 통해 재발했거나 치료 경험이 없는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환자를 벤클렉스타 요법으로 치료하면 치료를 중단하더라도 표준 치료옵션과 대비해 장기간 지속되는 반응을 경험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MURANO 5년 분석 데이터 1

MURANO 임상 시험(모든 환자의 추척 기간 중간값 59.2개월, 벤클렉스타와 리툭시맙 병용요법(VenR)  최소 3년 중단; 초록125)의 최종 기술적(descriptive)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내용이 확인됐다.

•연구자(INV) 평가 무진행 생존율(PFS, Progression-Free Survival): 고정 치료 기간 동안 재발성 또는 불응성(R/R)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환자의 PFS 중앙값은 벤다무스틴과 리툭시맙 병용요법군(BR; HR 0.19, 95% CI: 0.15-0.26)은 17.0개월(95% CI: 15.5-21.7)이데 반해, 벤클렉스타와 리툭시맙 병용요법군은 53.6개월(95% CI: 48.4-57.0)이었다.
•전체 생존율(OS, Overall survival): OS추정치는 벤다무스틴과 리툭시맙의 병용요법군(HR 0.40, 95 % CI: 0.26-0.62)이 62.2% (95 % CI : 54.8-69.6)인데 반해 벤클렉스타와 리툭시맙 병용요법군은 82.1% (95% CI : 76.4-87.8)로, 어느 쪽도 중앙값에 도달하지 못했다.
•벤클렉스타와 리툭시맙 병용요법 완료시 미세 잔존 질환(MRD, minimal residual disease) 상태: 치료 종료 시점에 질병 진행 없이 MRD음성에 도달한 환자는 양성 환자에 비해 PFS및 OS가 개선되었다. MRD는 치료 후 체내에 남아있는 적은 수의 암세포를 말하는데 남아있는 세포의 수가 너무 적어서 신체적 징후나 증상을 일으키지 않으며 대개 기존의 방식으로는 감지될 수 없다.4
•일관된 안전성 프로파일 : 벤클렉스타와 리툭시맙 병용요법의 안전성 프로파일은 각 개별 치료에서 알려진 안전성 프로파일과 일치했다. 5년간의 MURANO 업데이트 분석에서 심각한 안전성 문제는 새로 관찰되지 않았다.
 
백혈병·림프종학회에 따르면, 미세잔존질환(MRD)은 치료 후 체내에 남아있는 적은 수의 암세포를 말한다.4 남아있는 세포의 수가 너무 적어 신체적 징후나 증상을 일으키지 않으며 종종 기존의 방식으로는 감지되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 이것을 감지 불가 미세잔존질환(uMRD, undetectable MRD)라고 한다. 의사는 MRD/uMRD이용하여 치료의 효과를 측정하고 재발 위험이 있는 환자를 예측한다.
 

CLL14 분석2,3

임상 시험에서 MRD 측정의 역할을 평가하는 3상 CLL14 시험의 기술적 분석 데이터도 발표되었다.

한 분석에 따르면 이전에 치료 경험이 없으면서 동반질환이 있는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환자에서 오비누투주맙과 벤클렉스타로 병용치료(Ven-Obi) 시, 부분 반응(PR)을 보인 환자들이 uMRD 수준에 도달하면 완전 반응(CR)을 보인 환자들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데이터는 uMRD이면서 부분반응을 보인 벤클렉스타 병용요법군이 MRD를 보이면서 완전 반응을 보인 군보다 PFS가 더 길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것이 중요한 이유는 화학면역요법에 대해 부분 반응을 보이는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환자가 완전 반응 환자에 비해 예후가 더 좋지 않기 때문이다.2 이 결과는 통계적 유의성에 대해서는 검증되지 않았다. (초록1310)

두 번째 분석에서는 CLL14 임상 시험에서 치료받은 환자의 클론 성장 패턴 또는 암세포가 얼마나 빨리 성장하고 퍼지는지를 조사했다. 분석 결과, 초기 MRD 반응에도 불구하고 해당 환자 그룹이 재발할 위험이 있음이 밝혀졌다.3 (초록 127)

4 년간의 추적 분석에서, 오비누투주맙과 벤클렉스타 병용군(Ven-Obi)의 전체생존율은 85.3%이었고,  클로람부실과 오비누투주맙 병용군에서는 83.1%로 나타났다 (Obi-Clb; HR 0.85, 95 % CI [0.54-1.35]; p=0.4929).

벤클렉스타는 애브비와 로슈가 공동 개발하고 있다. 벤클렉스타는 미국 내에서는 애브비와 로슈 그룹의 일원인 제넨테크가 공동 판매하며, 미국 외의 지역에서는 애브비가 판매한다.


MURANO 임상 연구에 대하여 1,2,3

3상 MURANO 임상연구는 다국가, 다기관, 공개라벨, 무작위 배정 연구로 한가지 이상의 이전 치료 경험이 있는 재발성/불응성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환자 총 389명이 참여했다. 이 연구는  벤다무스틴과 리툭시맙 병용군(BR, n = 195)과 비교하여 벤클렉스타와 리툭시맙 병용군(VenR, n = 194)에서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도록 설계되었다. 임상 시험에 참여한 환자의 연령 중앙값은 65세(범위 : 22 ~ 85 세)였다.

연구에서 연구자(INV) 평가 PFS의 1차 유효성 평가 변수가 충족됐다. 1차 분석 시, VenR의 PFS 중앙값은 BR의 17.0 개월에 비해 도달하지 못했다 (HR : 0.17; 95 % CI : 0.11- 0.25; p <0.0001). 1차 유효성 분석에서 PFS에 대한 추적 기간 중앙값은 23.8 개월(범위 : 0~37.4)이었다. 추가 평가 변수에는 IRC(독립 검토위원회) 평가 PFS, INV 및 IRC 평가 전체 반응률 (완전 반응 + 불완전 골수 회복을 동반한 완전 반응 + 부분 반응 + 결절성 부분 반응으로 정의됨), OS 및 MRD-음성 비율이 포함되었다.

리툭시맙과 병용요법을 받은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환자에게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심각한 이상 반응(≥5 %)은 폐렴(9%)이었다. 모든 등급에서 가장 흔한 이상 반응(≥20%)은 호중구감소증(65%), 설사 (40%), 상부 호흡기 감염(39%), 피로감(22%), 메스꺼움 (21%)이었다. 질병 진행이 없는 상태에서 그리고 마지막 베네토클락스 치료 후 30일 및/또는 마지막 리툭시맙 투여 후 90일 이내에 발생한 치명적인 이상반응이 환자의 2%(4/194)에서 보고되었다.


CLL14 임상 시험에 대하여 6,7, 8 

독일 CLL 연구 그룹(DCLLSG)과 긴밀히 협력하여 수행된 전향적, 다기관, 공개 라벨, 무작위 배정 3상 CLL14 임상 시험은 이전에 치료 경험이 없으면서 동반질환이 있는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환자(총 누적 질병 평가 척도 [CIRS] 점수> 6 또는 크레아티닌 청소율 <70 mL/분)를 대상으로 Ven-Obi 병용요법 (n = 216) 대 Obi-Clb 병용요법(n = 216)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했다. 치료법으로는 12개월의 고정 치료 기간 동안 벤클렉스타와 병용해 오비누투주맙을  6회의 사이클로 투여하였다. 이 시험에는 432 명의 환자가 참여했으며, 이들 모두는 이전에 만성 림프구성백혈병 국제 워크숍 (International Workshop on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iwCLL) 기준에 따라 치료를 받은 경험이 없었다. 유효성은 IRC가 평가한 PFS에 기반되었다.

주요 2차 평가 변수는 말초 혈액 및 골수에서의 MRD 음성률, 전체 반응률과 완전 반응률, 말초 혈액 및 골수에서의 완전 반응 시 MRD 음성률, OS였다.

오비누투주맙 병용 요법을 받은 CLL 환자들에게서 발생하는 심각한 이상 반응은 주로 열성 호중구 감소증과 폐렴(각각 5%)으로 인한 것이었다. 모든 등급에서 가장 흔한 이상 반응(20% 이상)은 호중구 감소증 (60%), 설사(28%) 및 피로감(21%)이었다. 질병 진행이 없는 상태에서 마지막 연구 치료 후 28일 이내에 치명적인 이상 반응이 환자의 2% (4/212)에서 보고되었으며, 대부분은 감염으로 인해 발생했다.
 

벤클렉스타 (베네토클락스)에 대하여



벤클렉스타(베네토클락스)는 B세포 림프종-2(BCL-2) 단백질에 선택적으로 결합하고 억제하는 혁신 신약  치료제다. 일부 혈액암에서 BCL-2은 암세포가 자연세포사 또는 세포자멸사라고 불리는 자기 파괴 과정을 막는다. 벤클렉스타는 BCL-2 단백을 표적으로 세포자멸사의 과정을 복구하는데 돕는 작용을 한다.  

벤클렉스타는 애브비와 로슈가 공동 개발하고 있다. 미국 내에서는 애브비와 로슈 그룹의 일원인 제넨테크가 공동 판매하며, 미국 외에서는 애브비가 판매한다. 두 회사는 BCL-2 연구와 여러 혈액암 및 기타 암의 임상시험들에서 베네토클락스를 연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벤클렉스타는 미국을 포함한 50 개 이상의 국가에서 승인되었다.

 

벤클렉스타에 대하여9



벤클렉스타정의 정보와 주요 안전성 정보는 한국애브비 웹사이트 벤클렉스타정 제품 설명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종양학 분야에서의 애브비에 대하여

애브비는 다양한 암 유형에 대한 임상시험용 치료의 여러 파이프라인을 발전시키면서 여러 가지 혈액 암에 대한 치료 표준을 바꾸는데 전념하고 있다. 헌신적이고 경험이 풍부한 애브비 팀은 혁신적인 파트너들과 협력해 잠재적 혁신 의약품의 공급을 가속화한다. 우리는 만연한 심신을 약화시키는 암에 대한 전 세계 300건 이상의 임상 실험에서 20건 이상의 임상 시험용 의약품을 평가하고 있다. 애브비는 사람들의 삶에 큰 변화를 가져오기 노력하면서 환자들이 우리의 암 치료제를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 솔루션을 모색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http://www.abbvie.com/oncology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애브비에 대하여

애브비의 사명은 현재의 심각한 건강문제를 해결하고 미래에 발생할 의료분야의 도전을 이겨낼 혁신적인 의약품을 발견하고 제공하는 것이다. 당사는 면역학, 종양학, 신경과학, 안과학, 바이러스학, 여성건강, 소화기내과의 중점 치료분야와 엘러간 에스테틱 포트폴리오의 제품과 서비스를 통해 사람들의 삶에 주목할 만한 변화를 만들기 위해 노력한다. 당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www.abbvie.com을 방문하거나, 트위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링크드인의 애브비 계정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애브비(대표이사 강소영)는 서울 본사와 부산, 대구, 광주, 대전 등 전국에 걸쳐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상세 정보는 www.abbvie.c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ferences
[1] Kater AP, et al. Abstract 125: Five-Year Analysis of Murano Study Demonstrates Enduring Undetectable Minimal Residual Disease (uMRD) in a Subset of Relapsed/Refractory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R/R CLL) Patients (Pts) Following Fixed-Duration Venetoclax-Rituximab (VenR) Therapy (Tx). Presented at the 2020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Annual Meeting & Exposition: December 5, 2020.
[2] Al-Sawaf O, et al. Abstract 1310: Characteristics and Outcome of Patients with Chronic Lymphocytic Leukaemia and Partial Response to Venetoclax-Obinutuzumab. Presented at the 2020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Annual Meeting & Exposition: December 5, 2020.
[3] Al-Sawaf O, et al. Abstract 127: Clonal Dynamics after Venetoclax-Obinutuzumab Therapy: Novel Insights from the Randomized, Phase 3 CLL14 Trial. Presented at the 2020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Annual Meeting & Exposition: December 5, 2020.
[4] Leukemia and Lymphoma Society Minimal Residual Disease (MRD) Fact Sheet https://www.lls.org/sites/default/files/National/USA/Pdf/Publications/FS35_MRD_Final_2019.pdf 
[5] Seymour JF, et al. Venetoclax-rituximab in relapsed or refractory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N Engl J Med. 2018;378(12):1107-1120
[6] Summary of Product Characteristics for VENCLYXTO (venetoclax). Ludwigshafen, Germany: AbbVie Deutschland GmbH & Co. KG.
[7] VENCLEXTA (venetoclax) [Package Insert]. North Chicago, Ill.: AbbVie Inc.
[8] Fischer K, et al. Venetoclax and Obinutuzumab in Patients with CLL and Coexisting Conditions. N Engl J Med. 2019;380:2225-2236.
[9] 벤클렉스타 정 제품사용설명서, 한국애브비 웹사이트 https://www.abbvie.co.kr/content/dam/abbvie-dotcom/kr/documents/products-info/venclexta_20200402.pdf, accessed on December 9, 2020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