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졸레어®, 만성 두드러기 정보 담은 인포그래픽 공개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 적응증 허가 3주년


국내 10만명당 약 2,300명에 달하는 환자 있지만, * 질환 인지도 낮아 만성 두드러기 주요 증상, 특징 등 정보 담은 인포그래픽 제작 공개 
만성 두드러기, 6주 이상 지속되고 원인 불분명하게 갑자기 나타나는 증상으로 환자들 불안감에 삶의 질 저하 문제 심각 
졸레어®,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 치료제로 허가 받은 최초이자 유일한 생물학적 제제로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으로 자리매김 



한국노바티스㈜(대표 조쉬 베누고팔)가 졸레어®(성분명: 오말리주맙)의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 적응증 허가 3주년을 맞아3 질환의 인지도가 낮아 조기 진단과 치료가 어려운 만성 두드러기에 대한 증상과 질환 정보를 담은 인포그래픽을 12월 11일 공개했다. 



졸레어®는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 치료제로 허가 받은 최초이자 유일한 생물학적 제제로3,4 다양한 임상 연구를 통해 만성 두드러기 환자들의 증상 완화와 삶의 질 개선 효과를 입증한 바 있다. 국내에는 지난 2017년 H1-항히스타민제 요법에 충분히 반응하지 않는 12세 이상의 성인 및 청소년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 환자의 증상 조절을 위한 추가 요법제로 승인 받아 2020년에 3주년을 맞았다.3





허가 3주년 기념으로 제작된 인포그래픽은 만성 두드러기 질환에 대한 정보를 한 눈에 쉽게 소개하며 ▲만성 두드러기의 증상과 특징 ▲환자들의 삶의 질 저하 문제 ▲증상 조절과 약물 치료의 한계 ▲글로벌 가이드라인에서 권고하는 만성 두드러기 치료법 등을 담고 있다.





만성 두드러기는 식품이나 약물 등에 의해 일시적으로 나타났다가 쉽게 호전되는 급성 두드러기와 달리2 피부가 부풀어 오르는 팽진, 혈관부종 등의 증상과 함께 화끈거리거나 따끔거리는 통증이 동반되며 이러한 증상이 악화와 호전을 반복해 6주 이상 지속되는 것이 특징이다.2 국내 만성 두드러기 환자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로 인구 10만명 당 약 2,310명(2014기준)으로 추산된다.1*





만성 두드러기의 치료는 주로 증상 조절을 목표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다른 만성 질환에 비해 치료법의 선택에 제한이 있다.2 환자의 약 50%는 일차적인 항히스타민제 처방으로 증상 조절 효과가 불충분하고, 약 30%는 항히스타민제를 4배까지 증량한 후에도 증상이 잘 조절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는 등2 약물 치료에도 한계가 있다. 또한 치료반응이나 예후를 평가하기 위한 객관적 지표가 없어 환자들은 지속적인 증상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2 보고된 연구에 따르면 환자의 약 50%는 6개월 내 증상이 호전되지만 3년 또는 5년까지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가 각 20%에 달하고, 2%미만에서는 25년 간 지속되는 증상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세계 주요 알레르기학회에서는 2세대 항히스타민제를 4배까지 증량해도 충분한 치료 효과를 보지 못하는 환자에게 3단계 치료에서 2세대 항히스타민제에 생물학적 제제를 추가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 EAACI/GA²LEN/EDF/WAO,두드러기의 정의, 분류, 진단 및 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2018)

한국노바티스㈜의 면역 간 피부 사업부 송경령 전무는 “졸레어가 기존 1-2단계 치료로도 증상 조절이 불충분한 국내 만성 특발성 두드러기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으로 혜택을 제공해 온 지 3년을 맞았다. 새로운 치료 옵션으로 새 삶을 찾았다는 환자들도 많지만 여전히 증상에 시달리면서도 질환명 조차 모르는 채 고통 받는 환자가 적지 않은 현실이다”라며 “만성 두드러기 질환에 대한 이해를 높여 6주 이상 지속되는 두드러기로 삶의 질 저하가 심각한 환자들에게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 관리를 독려하고자 인포그래픽을 제작해 공개하게 됐다. 한국노바티스는 앞으로도 만성 두드러기 환자를 위한 다양한 정보 알림 활동 등을 이어갈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References
1  Nami Lee et al. Epidemiology of chronic urticarial in Korea using the Korean Health Insurance Database, 2010-2014. Allergy Asthma Immunol Res 2017; 9:438-45
2  예영민 외, 만성 두드러기의 진단과 치료:전문가 의견서. Allergy Asthma Respir Dis 3(1):3-14, January 2015 
3  [졸레어주사, 졸레어프리필드시린지주75 및 150].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nedrug.mfds.go.kr)
4  A. M. GimenezArnau, et al. Clinical management of urticaria using omalizumab: the first licensed biological therapy available for chronic spontaneous urticaria. JEADV 2016, 30 (Suppl. 5), 25–32
5  Sarbjit S. Saini,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Omalizumab in Patients with Chronic Idiopathic/Spontaneous Urticaria Who Remain Symptomatic on H1 Antihistamines: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Study. Sarbjit S. 2015 The Society for Investigative Dermatology
6  Marcus Maurer, et al. Omalizumab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Idiopathic or Spontaneous Urticaria. N Engl J Med 2013
7  노주영. 만성두드러기의 최신 치료 가이드라인. J Korean Med Assoc 2019 January; 62(1):37-46
8  Beltrani VS. Clin Rev Allergy Immunol 2002;23:147–69
9  Zuberbier at al. The EAACI/GA²LEN/EDF/WAO Guideline for the Definition, Classification, Diagnosis and Management of Urticaria. Allergy. 2018;73:1393–1414. doi:10.1111/all.13397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청구 자료(2010-2014), 통계청 인구자료(2012) 기준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