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MSD 임직원 대상 삼중음성유방암 인식 향상을 위한 질환 소개 팜플렛 배포
한국MSD 임직원, 환우 응원하는 마음 담은 사진으로 화답하며 희망 메시지 전해
한국MSD(대표 케빈 피터스)는 10월 유방암 예방의 달을 맞아 10월 11일부터 22일까지 약 2주간 삼중음성유방암(Triple-Negative Breast Cancer, TNBC) 환우들을 응원하고 치료에 대한 희망 메시지를 전하기 위한 사내 비대면 캠페인을 전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삼중음성유방암 환자의 새로운 시작을 응원합니다’를 컨셉으로 삼중음성유방암 환우를 응원하고, 치료 후 정상적인 삶으로 복귀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기획됐다. 삼중음성유방암 전반에 대한 인식 향상을 위해 질환의 정의와 치료의 어려움 등에 대한 내용을 담은 팜플렛을 배포했으며, 임직원들은 환우들의 새로운 시작을 응원하는 마음을 손하트 모양으로 표현한 사진을 보내는 것으로 화답했다.
삼중음성유방암은 에스트로겐 수용체(ER), 프로게스테론 수용체(PR), 표피성장인자 수용체(HER2)가 모두 음성인 유방암으로, 전체 유방암의 약 15%를 차지한다. 50세 미만의 젊은 환자들이 많은 편이며, 진단 후 2-3년 이내에 원격 전이의 가능성이 높아 불량한 예후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가지 수용체에 음성이다보니 치료제가 제한적이어서 유방암 중에서도 치료가 어려운 암종이었다.1 ,4 한국MSD 키트루다는 2021년 7월 전이성 삼중음성유방암 적응증을 추가하며 새로운 치료 옵션으로 등장했다.7
한국MSD 항암제 사업부를 이끌고 있는 김성필 전무는 “삼중음성유방암은 젊은 환자의 비율이 많음에도 불구하고3 질환 특성 상 치료가 어렵고1,4 전이와 재발 위험이 높아 환자들과 의료진의 어려움이 컸다”면서, “키트루다가 삼중음성유방암 환자의 새로운 치료 옵션으로 등장하면서 환자와 환자 가족 모두에게 ‘새로운 시작’의 치료 희망을 전했으면 한다. 한국MSD는 그동안 의료진과 환자분들이 겪어온 치료 현실에 깊이 공감하며 환자들이 건강한 일상을 영위할 수 있도록 더 나은 치료 환경을 만드는데 노력하겠다 ”고 전했다.
한편, 한국MSD의 항PD-1 면역항암제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는 국내에서 항 PD-1 면역항암제로는 첫번째로 PD-L1 발현 양성(CPS≥10)이며, 수술이 불가능한 국소 재발성 또는 전이성 삼중음성유방암 환자의 치료로서 항암화학요법과의 병용요법으로 허가 받았다. 특히, 키트루다는 3가지 항암화학요법(알부민 결합 파클리탁셀, 파클리탁셀, 젬시타빈+카보플라틴)과의 병용으로 KEYNOTE-355에서 투여되어 환자 상태에 따라 적절한 치료제를 사용하는 맞춤형 치료에 대한 가능성을 열었다.7
MSD에 대하여 ━ “삶을 위한 발명이 이루어지는 곳, MSD”
MSD는 미국 뉴저지주 케닐워스에 본사를 두고 있는 머크(Merck & Co., Inc.)의 등록 상표다. MSD는130년간 생명을 구하고 삶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류를 위협하는 질병의 치료제 및 백신 개발을 선도하며 삶을 위한 발명(Inventing for Life)에 매진해왔다. MSD는 의료접근성 향상을 통한 환자와 인류의 건강을 위해 전 세계 보건의료 전문가, 관련 기관 등과 협업하고 있다. MSD는 세계 최고의 연구 중심 바이오헬스케어 기업을 목표로 한다. 현재 암, HIV 및 에볼라를 포함한 감염질환, 새로운 동물질환 등 사람과 동물의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생명을 구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삶을 위한 발명’을 지속할 것이다. 자세한 사항은 www.msd.com, 트위터, 링크드인, 유튜브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MSD에 대하여
한국MSD는 세계적인 바이오헬스케어 기업 MSD(Merck Sharp & Dohme Corp)의 한국법인이다. 1994년 설립 이래 100개 이상의 혁신적인 의약품백신 및 수준 높은 의학정보를 제공하며 한국인의 질병치료와 건강증진을 위해 노력해왔다. 한국MSD는 ‘삶을 위한 발명’이라는 기업철학의 국내 실현을 책임으로 여기며 한국인의 더 건강한 내일을 위해 전문가, 파트너사, 정부 당국 등과 함께 계속해서 노력할 것이다. 자세한 정보는 한국MSD 홈페이지(www.msd-korea.com) 및 페이스북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ferences
1 이경근 외. 삼중음성유방암과 비삼중음성유방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성의 비교. J Korean Surg Soc 2010;79:14-19.
2 CAPARICA, Rafael; LAMBERTINI, Matteo; DE AZAMBUJA, Evandro. How I treat metastatic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ESMO open, 2019, 4: e000504.
3 BAUER, Katrina R., et al. Descriptive analysis of estrogen receptor (ER)‐negative, progesterone receptor (PR)‐negative, and HER2‐negative invasive breast cancer, the so‐called triple‐negative phenotype: a population‐based study from the California cancer Registry. Cancer, 2007, 109.9: 1721-1728.
4 DIANA, Anna, et al. Early triple negative breast cancer: conventional treatment and emerging therapeutic landscapes. Cancers, 2020, 12.4: 819.
5 Caparica R, et al. How I treat metastatic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ESMO Open 2019;4:e000504. doi
7 키트루다 제품허가사항, 식품의약품안전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