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Weiß et al. WeiGene replacement therapy with onasemnogene abeparvovec in children with spinal muscular atrophy aged 24 months or younger and bodyweight up to 15 kg: an observational cohort study, Lancet Child Adolesc Health 2021
독일 베를린 샤리테 대학병원(Charité University Hospital) 클라우디아 바이스(Claudia Weiß) 교수팀은 생후 24개월 이하 혹은 체중 15kg 이하의 척수성 근위축증(SMA) 소아 환자에서 졸겐스마(성분명 오나셈노진아베파르보벡)를 사용한 유전자 대체 요법에 대한 관찰 코호트 연구를 영국 의학전문지 ‘란셋 아동·청소년 건강(The Lancet Child & Adolescent Health)’ 온라인판에 지난 10월 28일 발표했다.
이번 발표된 관찰연구는 기존에 발표된 졸겐스마의 안전성 및 유효성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특히 생후 6개월 이상이고 체중이 8.5kg를 초과하는 SMA 환자를 대상으로 한 실제임상자료(Real-world data, RWD)로 졸겐스마의 확대된 안전성 및 유효성을 확인해 학계의 이목을 끌었다.
이번 발표된 연구는 독일과 오스트리아에 위치한 소아 신경근 센터 18곳에서 진행한 다기관 전향적 관찰 연구로, SMA 환자 76명(SMA 제1형 환자 51명, 제 2형 19명, 증상 발현 전 단계(presymptomatic) 환자 6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임상시험 참가자의 평균 연령은 16.8개월(연령 분포 8~59개월), 평균 체중은 9.1kg(체중 분포 4~15kg)이었다. 특히 이번 임상 연구는 기존에 뉴시너센으로 치료받은 경험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졸겐스마 연구 중 가장 많은 수의 환자(58명)가 포함됐다. 이 환자군은 졸겐스마를 투여하기 전 평균 12.4개월간 뉴시너센을 투여한 경험이 있었다.
연구 결과, 졸겐스마는 체중이 최대15kg인 SMA 환자군에서 안전성 및 유효성을 확인했으며, 생후 24개월 이하의 소아환자 및 기존 뉴시너센으로 치료받은 환자에서도 효과를 보였다
졸겐스마 치료 후 6개월 동안 추적관찰을 마친 환자 중 80% 이상(49/60)에서 환자의 운동발달지표를 평가하는 필라델피아 아동병원 영아 신경근장애 검사(CHOP-INTEND) 점수와 해머스미스 기능성 운동확대지수(HFMSE)가 유의미하게 개선됐다.
연령에 따라 운동 기능 개선을 측정한 유효성 평가 지표를 살펴보면, 생후 8개월 미만인 환자 16명의 CHOP-INTEND 점수는 평균적으로 13.8점 증가했고(p<0.0001), 8개월 이상 24개월 미만의 환자 34명은 평균 7.7점 증가해(p<0.0001)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운동 기능 개선 효과를 입증했다. 생후 24개월 이상의 환자 6명에서는 평균 2.5점 증가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HFMSE로 운동 기능을 평가한 4명의 환자 또한 졸겐스마 치료 전과 비교했을 때 평균 10점이 개선됐다.
또한 이전 뉴시너센으로 치료받은 경험이 있는 환자 58명 중 졸겐스마를 투여한 뒤 6개월간 추적관찰을 통해 CHOP-INTEND 점수가 확인 가능한 45명의 환자에서 CHOP-INTEND 점수가 평균 8.8점 증가했다(p<0.0001). 이를 통해 뉴시너센으로 치료받은 후 졸겐스마로 스위치(교차투여)한 환자에서도 운동발달지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이 확인됐다. 다만 뉴시너센의 긴 반감기로 인한 병용효과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해당 연구에서 보고된 모든 이상반응은 기존 임상연구 및 다른 RWE 연구에서 이미 나타난 내용으로, 새로운 안전성 프로파일은 보고되지 않았다.
연구진은 다양한 환자 코호트, 6개월간의 짧은 관찰 기간, 연구의 잠재적 편향성과 대다수의 환자가 기존에 뉴시너센 치료를 받았다는 점 등을 모두 고려했을 때, 체중이 최대 15kg인 SMA 환자에서 졸겐스마 치료의 효과와 안전성을 확인했다는 결론을 내렸다.
현재까지 연령 제한이 없는 폭넓은 환자군에서 졸겐스마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확인한 실제임상근거는 (Real-world evidence, RWE)는 매우 희귀하다. 때문에 지금까지 매우 제한적이었던 SMA 치료 영역에서 실제임상근거(Real-world evidence, RWE)가 발표된 것은 매우 고무적이며, 현재까지 확인한 졸겐스마의 안전성 및 유효성을 뒷받침할 신규 리얼월드 처방사례 및 근거를 잘 보완하고 있어 그 의미가 남다르다.
졸겐스마®(Zolgensma)에 대하여
졸겐스마(오나셈노진아베파르보벡)은 척추성 근위축증(SMA)를 위한 유일한 유전자 치료제로, 단 한번의 정맥 주사로 지속적인 SMN 단백질 발현을 통해 누락되거나 작동하지 않는 SMN 유전자의 기능을 대체함으로써 질환 진행을 멈추고 질병의 유전적 근본 원인을 직접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SMA 치료제다.
졸겐스마는 Novartis Gene Therapies 가 보유한 유전자 치료제 독점 플랫폼에서 단일유전자질환(monogenic)을 치료하기 위해 최초로 승인된 치료제다. 졸겐스마는 2019년 5월 미국에서 승인돼 현재 40개국에서 승인됐다.2 현재까지 1,200명 이상의 환자들이 임상시험, 동정적 사용 프로그램 및 실제 의료 현장에서 졸겐스마로 치료를 받았다.
Novartis Gene Therapies는 미국 네이션와이드 어린이 병원과 함께 모든 타입의 SMA 치료를 위한 AAV9 유전자 치료의 혈관 및 척수강 내 전달에 대한 전세계 독점적 권리를 보유하고 있으며, 레젠엑스바이오(REGENXBIO)로부터 인간 SMA의 생체 내 유전자 치료를 위한 재조합 AAV 벡터에 대한 모든 지적 재산 권리, 제네톤(Généthon) 으로부터 SMA 치료를 위해 AAV9 벡터를 중추 신경계로 생체 전달이 가능한 권리, 애스크바이오(AskBio) 로부터 SMA 치료를 위한 자체 보완 DNA 기술 사용에 대한 전 세계 독점적 권리를 보유하고 있다.
척수성 근위축증 (Spinal Muscular Atrophy; 이하 SMA)에 대하여
척수성 근위축증은 진행성 희귀 유전질환으로, 영아 사망의 가장 큰 유전적 원인 중 하나이다. 척수성 근위축증(Spinal Muscular Atrophy, 이하 SMA) 정상적인 SMN1 유전자의 결핍 혹은 돌연변이로 인해 근육이 점차적으로 위축되는 치명적인 희귀 유전질환으로, 질환이 진행될수록 모든 근육이 약해져 자가 호흡이 어려워지며 치료하지 않을 시 SMA 1형의 90%는 2세 전 사망하거나 영구적인 호흡 보조 장치가 필요하다.3, 또한 SMA 2형 환자의 30% 이상의 환자들이 만 25세 이전에 사망한다.
노바티스(Novartis)에 대하여
노바티스는 인류의 생명 연장과 삶의 질 개선을 목표로 의약품 혁신에 매진하는 세계적인 제약 기업이다. 업계를 선도하는 노바티스는 최첨단 과학기술과 디지털 기술을 접목하여 사회와 환자가 필요로 하는 혁신적인 의약품 개발에 앞장서고 있으며, 매년 세계에서 R&D에 가장 많은 투자를 하는 기업 순위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노바티스의 의약품으로 치료 받는 인구는 전 세계적으로 약 10억여명에 달하며 최신 의약품에 대한 환자 접근성을 높이는 혁신적인 방안들을 도입하고자 하는 노바티스의 노력은 현재도 계속되고 있다. 전 세계 각지에서 140여개 국가 출신 125,000명의 노바티스 임직원들이 근무하고 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www.novartis.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노바티스(Novartis Korea)에 대하여
세계적인 제약•바이오기업, 노바티스의 자회사인 한국노바티스(www.novartis.co.kr)는 계열사인 한국산도스를 포함해 약 580여 명의 직원을 두고 있다. 한국노바티스는 지난 10년 간 한국에서만 약 200 여 건의 임상시험을 진행하여 국내 연구진과의 협력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으며, 환우 및 가족 정서 지원 프로그램인 ‘치유(CHEER YOU)’, 환우의 사회 복귀 지원 프로그램 ‘이음’, 여성 암환자 지원 프로그램인 ‘가화맘사성’과 매년 전 직원이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지역 봉사의 날’ 행사 등 다채로운 사회공헌활동을 통해 지역 사회에 이바지하는 기업이 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References
1 C Weiß et al. WeiGene replacement therapy with onasemnogene abeparvovec in children with spinal muscular atrophy aged 24 months or younger and bodyweight up to 15 kg: an observational cohort study, Lancet Child Adolesc Health 2021
2 ZOLGENSMA U.S Label; 2021
3 Avexis. Patient caregivers guide to Zolgensma
4 Data on file, 2021. AveXis, Inc
5 Govoni A, et al. Mol Neurobiol. 2018;55(8):6307-6318.
7 Darras BT, Finkel RS Spinal Muscular Atrophy. Chapter 25 - Natural History of Spinal Muscular Atrophy. October 2016.